[데일리 이슈] 2023-07-25 오후 2:39:10

D램 현물가 상승 국면 진입에 'K-반도체 반등설 제기'


메모리 반도체의 선행지표로 불리는 D램 현물가격이 최근 회복세를 보이면서 하반기 메모리 업황 반등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24일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이달 21일 기준 PC용 DDR4 16Gb(1Gx16)의 현물가격은 평균 2.95달러로 집계됐는데요. 해당 제품은 지난 5월 3달러 선이 무너진 이후 이달 초 2.903달러까지 떨어졌지만, 최근 2주간 다시금 우상향 곡선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업계에서는 이번 현물가격 상승을 D램 시장의 반등 조짐으로 해석해야 한다는데 입을 모았는데요. 통상적으로 현물가격이 상승하면 3-6개월의 시차를 두고 고정가격(기업 간 계약 가격)이 오를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아울러 지난해 말부터 삼성전자·SK하이닉스·마이크론의 감산효과가 시장에 반영되면서 공급과잉이 정상화됐고 AI 서버가 급성장함에 따라 HBM, DDR5 등 고성능·고용량 첨단 D램에 대한 수요가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D램 고정가격 협상 또한 공급자 우위로 재편될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올해 2분기를 메모리 업황 바닥으로 판단한 고객사들이 D램 가격 인상에 대비해 선제적인 물량 확보에 나섰기 때문인데요. 이에 제조사들은 최근 협상에서 가격 인상에 한목소리를 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 제조사 관계자는 "D램 수급이 정상 수준에 근접하면서 사실상 공급과잉은 사라진 상황"이라며 "3·4분기부터 D램 가격이 완연한 상승세로 접어들며 제조사들의 실적 개선에 본격적으로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