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기능식품 테마 설명 테마록 16 위
  • 관련 종목 53
  • 상승 종목 26
  • 하락 종목 24
+9.31% (등락룰 TOP5 종목 평균)
  • 최고 등락률 +12.88%
  • 최저 등락률 +6.73%
  • 전체 거래 대금 3,253억
  • TOP5 거래 대금 2,523억

2025-07-08 02:25 기준

일별 등락률

관련 종목
종목명 현재가 등락률 거래대금(원) 테마 포함 사유
일동홀딩스 9,540 +29.97% 196억 1,700만 계열사 일동바이오사이언스가 미 FDA로부터 프로바이오틱스 원료 2종에 대한 ‘GRAS’(Generally Recognized As Safe) 인증 획득
일동제약 18,050 +29.95% 595억 6,200만 아로나민류, 비오비타 등 건강기능식품 제조.
노바렉스 19,890 +12.88% 269억 3,800만 건강기능식품 제조업체. 국내 건강기능식품 업체 중 가장 많은 36건의 개별인정 원료를 확보. 주요 제품으로는 루테인지아잔틴164, 아이클타임, 화애락 이너제틱 등이 있음.
달바글로벌 195,100 +10.29% 852억 5,700만 건강기능식품 판매
바이오포트 16,820 +8.73% 24억 5,200만 체지방 감소를 돕는 ‘털부처꽃추출물(제2024-37호)’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개별인정형 원료 승인을 획득
에스앤디 129,100 +7.94% 56억 3,300만 감태추출물, 미강주정추출물 등 건강기능식품소재 공급
헬릭스미스 3,170 +6.73% 5억 4,500만 바이오 및 천연물 소재를 활용한 신약 개발 전문업체. 천연물 사업은 천연물의약품 사업과 건강기능식품 사업부문으로 나눌 수 있으며, 면역과민반응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알렉스), 관절건강제품(무르핀), 기억력개선제품(니모신) 등을 판매.
서흥 20,850 +5.89% 12억 4,900만 의약품 전공정 수탁 및 건강기능식품 제조 전문업체. 소프트캡슐, 하드캡슐, 정제, 액제/젤리, 분말/과립 등의 다양한 제형으로 건강기능식품을 생산. 하드캡슐 및 소프트캡슐 주원료인 젤라틴 제품 및 콜라겐 제품 등도 생산 및 판매.
KT&G 136,200 +5.09% 586억 9,200만 홍삼 등 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하는 (주)한국인삼공사을 주요 종속회사로 보유. 주요상표로는 홍삼정, 홍삼정환, 홍이장군, 아이패스 등이 있음.
롯데칠성 131,000 +3.39% 55억 3,900만 건강기능식품 시장 진출
케어젠 37,500 +3.16% 36억 5,000만 건강기능식품 원료 '디글루스테롤'이 FDA로부터 신규건강기능식품 원료 승인 획득
네오팜 14,500 +3.13% 13억 2,300만 화장품 개발/제조/판매 사업을 영위중인 아토피보습제 전문업체로 건강기능식품(유산균 등)도 판매중. 건강기능식품 브랜드로 프로비라이프, 에이토솔루션을 보유중.
내츄럴엔도텍 3,360 +2.75% 4억 1,900만 헬스케어 신소재 연구개발 전문 바이오업체. 천연물신약, 건강기능식품 신소재, 화장품 연구개발 및 제조/판매를 주력사업으로 영위. 건강기능식품 형태인 백수오 여성호르몬제 등을 생산/판매.
종근당바이오 23,050 +1.54% 3억 1,500만 50여년 발효기술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특허기술을 통해 안정성이 우수한 프로바이오틱스 원료 및 완제를 생산. 안산공장에서 종근당 건강향 락토핏 원말과 OEM 물량을 담당.
아시아종묘 2,650 +1.53% 1억 혈당 상승을 억제하는 효소인 알파 글루코시다제 억제제(AGI) 성분이 풍부한 고추 품종을 활용한 천연물 소재 건강기능식품 원료 '일릭시(ILIXY)'를 개발
펌텍코리아 57,400 +1.41% 20억 6,200만 건강기능식품 판매
쎌바이오텍 13,100 +1.16% 1억 1,500만 국내 1위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생산업체. 유산균 제조.
알피바이오 5,870 +0.69% 5,100만 건강기능식품 제조/판매
아이진 3,120 +0.48% 7,600만 노화 관련 성인 질환의 예방 및 치료 의약품 연구개발 업체로 2018년 하반기부터 루테인이 함유된 눈건강기능식품과 피부 보습에 효과가 있는 세라마이드를 주원료로 하는 건강기능식품/화장품 출시. 루테인코어, 세라마이드, 오메가3, 종합비타민, 밀크씨슬, 무부형제 비타민 제품 등을 판매 중.
모아라이프플러스 1,940 +0.47% 1억 800만 면역 증진 생리활성물질인 γ-PGA(폴리감마글루탐산)을 활용하여 경쟁품과 차별화된 건강기능식품과 기능성화장품을 제조, 판매. 건강기능식품 제품으로는 '면역엔 PGA-K' 등이 있음. 16년3월 이롬과 폴리감마글루탐산을 원료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연구 개발 협약 체결.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폴리감마글루탐산칼륨(이하 PGA-K)’의 신규 건강기능식품 원료(NDI) 승인 신청
휴럼 703 +0.43% 2,800만 다이어트제품, 프로바이오틱스 등 건강기능식품 사업 영위.
팜스빌 3,975 +0.38% 3,600만 건강기능식품 전문업체. B2C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기본으로 건강기능식품과 건강지향식품 자체 브랜드와 유통, 생산(OEM) 및 소재 개발을 주요사업으로 영위. 사업 부문은 인터넷 전자상거래 플랫폼 사업, 자체 브랜드 기획 사업, 유통 플랫폼 사업, 해외수출사업, C & BD 사업 등으로 분류. 주요 브랜드로는 애플트리김약사네, 악마다이어트, 비타민스토리, 애플트리, 골든가든, 애플킨더, 데일리그린, 상상방, 닥터스앤서, 닥터솔루션, 그린오션 등이 있음.
코스맥스엔비티 4,760 +0.32% 1억 7,900만 건강기능식품 전문업체. 건강기능식품 산업에서 기능성 원료 및 성분을 연구하는 연구개발 사업,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지향식품을 생산하는 제조업, 건강기능식품을 판매하는 유통사업을 주요사업으로 영위. OEM/ODM제품과 브랜드(OBM) 제품으로 구분되며, 주로 유통회사, 제약/식품회사, 네트워크 등 B2C 회사에 직접 납품하는 B2B 형태로 판매.
경남제약 659 +0.30% 5,900만 의약품 및 원료의약품의 제조 및 도,소매업과 건강기능식품 제조 및 판매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 대표 브랜드로 레모나를 보유하고 있으며, 다이어트 건기식 '칼로-시리즈' 신제품을 출시. 이너뷰티 원료 소재를 바탕으로 건강기능식품 제제 개발.
휴온스 28,300 +0.18% 4억 600만 건강기능식품 OEM/ODM 전문 업체 (주)휴온스내츄럴과 홍삼 건강기능식품 전문 업체 (주)휴온스네이처를 종속회사로 보유.
아미코젠 3,690 +0.14% 4억 4,000만 특수효소와 효소기반 바이오 신소재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생명공학 업체. 기능성 식품소재인 피니톨(Pinitol)이 혈당감소 기능성, 간 건강 도움 기능성으로 식약처로부터 2중 기능성 원료 최종 승인. 건강기능식품 제조/판매 사업을 영위하는 아미코젠퍼시픽을 종속회사로 보유.
아이큐어 1,918 0.00% 2억 1,400만 자회사 바이오로제트, 건강기능식품사업 영위.
프롬바이오 2,050 0.00% 2억 6,000만 관절연골엔 보스웰리아 등 건강기능식품 판매
청담글로벌 6,090 0.00% 1억 5,300만 네슬레, Swisse 브랜드의 건강기능식품 유통
대원제약 13,280 -0.15% 2억 4,100만 국내 최초 유기농 인증 프로바이오틱스 건강기능식품 장대원을 중심으로 한 건강기능식품 사업 진행중.
네오크레마 5,580 -0.18% 1억 1,100만 건강기능식품 제조.
콜마비앤에이치 14,890 -0.20% 8억 1,600만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품 생산, 판매 업체. 건강기능식품과 화장품 생산에 사용하는 원료를 직접 개발해 유통업체에 제품을 공급(ODM/OEM). 주력제품은 면역기능개선 건강기능식품 "헤모힘", 기능성화장품 "스킨케어 6시스템" . 577억 규모 건기식 제조공장 신설
비피도 3,325 -0.30% 7,500만 건강기능식품 및 원료 제조.
CJ제일제당 260,500 -0.38% 218억 2,700만 자회사인 CJ웰케어가 건강기능식품 브랜드 런칭
에이치엘사이언스 11,830 -0.42% 6,100만 건강기능식품 전문업체. 건강기능식품법의 기준에 따라 천연물 등을 소재로 하여 기능성 원료 및 천연물 신약을 연구/개발,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지향식품 등을 개발, 제조, 판매 사업을 영위. 닥터슈퍼칸(간 건강), 닥터써큐원(혈행 개선), 닥터스피루리나(항산화, 피부건강), 황후의석류진(갱년기여성 건강, 피부보습), 슈퍼루테인(눈 건강) 등 독자 브랜드 제품을 개발, 제조.
광동제약 5,930 -0.50% 4억 7,200만 비타500 등 건강기능식품 제조.
에쓰씨엔지니어링 1,300 -0.54% 3억 700만 건강기능식품 유통사업 영위.
HK이노엔 42,550 -0.58% 31억 1,200만 뉴틴, 홍삼진 등의 건강기능식품 판매
LG생활건강 322,000 -0.62% 146억 7,700만 '생활정원', '리튠' 등의 브랜드를 통해 건강기능식품 사업 영위
우리바이오 2,365 -0.63% 8억 1,300만 건강기능식품 '솔루티오', '신비락' 제조/판매
셀로맥스사이언스 4,705 -0.63% 6,900만 고품질 원료를 사용한 프리미엄 건기식 전문기업으로, 현재 132종의 라인업을 갖추고 있다. 주력 제품은 ‘알티지 오메가-3’. 회원약국 판매 사업 모델도 구축, 올해 상반기 기준 회원약국은 5210개로 국내 전체의 20.8%.
현대바이오랜드 5,200 -0.76% 3억 400만 건강기능식품 원료 개발
바이오니아 14,700 -0.88% 7억 3,100만 다이어트 유산균 등 건강기능식품사업 영위.
대상홀딩스 10,680 -1.02% 15억 8,500만 대상그룹 지주회사로 건강기능식품 사업 등을 영위하는 대상라이프사이언스를 자회사로 보유. 대상라이프사이언스는 2002년부터 건강기능식품 브랜드인 '웰라이프' 를 중심으로 '클로렐라', '홍삼' 등을 판매하고 있으며, 2008년부터 뉴트리션 브랜드인 '뉴케어' 를 중심으로 임상영양제품 및 환자용영양식제품을 판매.
뉴트리 5,580 -1.24% 3,000만 이너뷰티 건강식품 제조업체. 홈쇼핑/온라인/백화점 경로는 피부건강 브랜드로 에버콜라겐, 다이어트는 판도라, 수퍼푸드 및 기능성 식품은 이츠코어 등 3개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으며, 프리미엄제품을 판매하는 텔레마케팅 판매채널은 뉴피니션다이어트와 천수애(피부건강) 브랜드를, 네트워크 마케팅 판매채널에서는 에버스프링(Ever spring) 브랜드를 운영 중.
시너지이노베이션 2,750 -1.26% 6억 7,200만 건강기능식품의 OEM, ODM, 제품개발, 생산/판매하는 노비스바이오㈜를 종속회사로 보유. 주요 제품으로는 네이처락 포스트바이오틱스, 키즈징크락토 등이 있음.
메디포스트 11,160 -1.41% 9억 6,000만 건강기능식품 판매
녹십자웰빙 9,300 -1.59% 2억 5,200만 건강기능식품 제조.
에이치피오 2,565 -2.10% 4,500만 프로바이오틱스, 비타민 등 건강기능식품 판매.
종근당홀딩스 52,200 -2.25% 1억 7,100만 종근당그룹 지주회사로 유산균(락토핏), 오메가3(프로메가), 홍삼 등 건강기능식품을 생산/판매하는 종근당건강을 자회사로 보유.
비엘팜텍 842 -2.55% 5,400만 건강기능식품 유통 및 판매업체. 자회사인 건강기능식품 제조사 네추럴에프앤피를 통해 건강식품을 직접 제조하여 유통. 기존 '보의당', '내몸에 사과해' 브랜드와 함께 건강식품 유통의 다양성 및 확장성을 위해 다이어트 전문 브랜드인 '먹어도 좋아' 브랜드를 인수.
압타바이오 8,000 -2.79% 9억 4,900만 건강기능식품 사업 진출
인스코비 1,400 -3.51% 14억 4,500만 자회사 프로바이오틱스, 영국 '옵티바이오틱스'의 건강기능식품 국내 독점 총판계약 체결.

테마 포커스

유사 테마

관련 뉴스

  • 20시간 전, 약업닷컴

    [히트상품톺아보기] ㉔ 보습부터 탄력까지 ‘CNP 프로폴리스 앰플’

    건강기능식품의 원료로 각광받았던 프로폴리스를 눈썰미 좋은 피부과 의사들이 화장품으로 데려왔다. 당시 차앤박피부과 원장들은 ‘누구도 흉내낼 수 없는 우리의 제품을 만들자’는 목표를 세웠다. 연구를 거듭한 끝에 고순도의 프로폴리스 추출물이 함유돼 있는 고농축 영양 앰플인 프로폴리스 앰플을...

    뉴스 썸네일
  • 1일 전, 데일리안

    "매거진 구독권부터 할인·적립까지" 프랜차이즈 업계, 자사앱 키우기

    이번 기획전은 여름을 맞이해 시즌 인기 음료와 건강기능식품을 할인 판매로 칠성몰 이벤트 페이지에서 '올여름, 몸도 마음도 시원하게 너의 여름을 준비해'라는 이벤트로 제로 칼로리 음료 '칠성사이다', 에너지 음료 '핫식스 더킹', 식물성 음료 '오트몬드' 등을 포함한 63가지 인기 음료를 최대 50% 할인혜택을...

    뉴스 썸네일
  • 1일 전, 글로벌이코노믹

    B2C 확장하는 제약사들…연예인 마케팅 적극 활용

    기존에 소비자와 접점이 있는 파스나 소화제 등이 있었지만 매출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았기 때문에 직접적인 홍보는 하지 않았는데 최근에는 의약품뿐만 아니라 건강기능식품(이하 건기식)이나 음료, 화장품 등 다양한 B2C 제품을 생산하고 이에 대한 성과를 거두기 위해 연예인이나 인플루언서를 기용하는...

    뉴스 썸네일
  • 1일 전, 데일리안

    "매거진 구독권부터 할인·적립까지" 프랜차이즈 업계, 자사앱 키우기

    이번 기획전은 여름을 맞이해 시즌 인기 음료와 건강기능식품을 할인 판매로 칠성몰 이벤트 페이지에서 '올여름, 몸도 마음도 시원하게 너의 여름을 준비해'라는 이벤트로 제로 칼로리 음료 '칠성사이다', 에너지 음료 '핫식스 더킹', 식물성 음료 '오트몬드' 등을 포함한 63가지 인기 음료를 최대 50% 할인혜택을...

    뉴스 썸네일
  • 2일 전

    콜마 윤동한 외손주는 매수 장남엔 소송···3년 새 1만 주 추가 확보

    콜마홀딩스·한국콜마로 대표되는 화장품·제약 부분은 윤상현 부회장이, 콜마비앤에이치로 대표되는 건강기능식품 부문은 윤여원 대표가 맡기로 했는데 이를 위반했다는 것이다. 콜마홀딩스 지분은 윤상현 부회장이 31.75%로 가장 많이 갖고 있다. 윤여원 대표와 남편이 10.62%를, 윤동한 회장이 5.59를 보유...

    뉴스 썸네일
  • 3일 전

    콜마 윤동한 외손주는 매수 장남엔 소송···3년 새 1만 주 추가 확보

    콜마홀딩스·한국콜마로 대표되는 화장품·제약 부분은 윤상현 부회장이, 콜마비앤에이치로 대표되는 건강기능식품 부문은 윤여원 대표가 맡기로 했는데 이를 위반했다는 것이다. 콜마홀딩스 지분은 윤상현 부회장이 31.75%로 가장 많이 갖고 있다. 윤여원 대표와 남편이 10.62%를, 윤동한 회장이 5.59를 보유...

    뉴스 썸네일
  • 3일 전, 아주경제

    [콜마家 전쟁, 능력이냐 핏줄이냐] ③ 콜마그룹 내분, 한국콜마는 안전...

    <편집자 주> [이코노믹데일리] 윤상현 콜마홀딩스 부회장이 건강기능식품 기업 콜마BNH를 ‘생명과학 중심 고부가가치 기업’으로 재정하겠다고 선언하자, 동생 윤여원 대표 측이 즉각 반발하며 ‘2차 갈등’의 서막을 알렸다. 윤 부회장은 콜마BNH의 수년간 누적된 실적 부진과 기업가치 하락을 타개하기...

    뉴스 썸네일
  • 3일 전, 블로터

    [상법개정안 여파] 콜마그룹 운명 가를 남매 갈등...'주주가치' 판단 기...

    앞서 2018년 윤 회장은 화장품·의약품을 만드는 한국콜마와 지주사 콜마홀딩스를 윤 부회장에게, 건강기능식품을 생산하는 콜마비앤에이치를 윤 대표에게 물려주기로 하고 3자 간 승계 합의를 맺었다. 이 와중에 소액주주의 권리를 강화, 보호하는 내용의 상법개정안이 국회에서 가결되면서 콜마그룹의 경영권...

    뉴스 썸네일
  • 3일 전, 메디파나뉴스

    인천시약사회-일동제약, 건기식 공동 개발 나선다

    인천광역시약사회(회장 윤종배)와 일동제약(대표이사 윤웅섭)이 공동으로 건강기능식품 개발에 나선다. 인천시약사회와 일동제약은 최근 ‘약사(藥師)가 운영하는 약국의 경영 활성화 및 약사 직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 측은 공동 개발을...

    뉴스 썸네일
  • 3일 전

    대상, '미원→김치→바이오·축산' 변화...'소재부터 유통까지' 글로벌...

    클로렐라 기반 건강기능식품과 '술로몬' 숙취해소제 등 신제품 개발로 제품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고 있다. 대상홀딩스 지분 비중. [자료=더밸류뉴스]다만 글로벌 확장 과정에서 직면한 리스크 요인들도 상존한다. ESG 이슈로는 배터리 케이지 사용 지속으로 동물복지 단체들의 비판을 받고 있어...

    뉴스 썸네일
더보기

실시간 테마 순위

자동차 부품 +17.47 %
전기자동차 부품 -17.47 %
초전도체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