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7 15:20 기준
종목명 | 현재가 | 등락률 | 거래대금(원) | 테마 포함 사유 |
---|---|---|---|---|
메디포스트 | 15,630 | +8.24% | 57억 100만 | 건강기능식품 판매 |
휴럼 | 780 | +1.96% | 9,900만 | 다이어트제품, 프로바이오틱스 등 건강기능식품 사업 영위. |
노바렉스 | 16,600 | +1.84% | 38억 2,100만 | 건강기능식품 제조업체. 국내 건강기능식품 업체 중 가장 많은 36건의 개별인정 원료를 확보. 주요 제품으로는 루테인지아잔틴164, 아이클타임, 화애락 이너제틱 등이 있음. |
HK이노엔 | 47,700 | +1.60% | 90억 1,900만 | 뉴틴, 홍삼진 등의 건강기능식품 판매 |
KT&G | 139,700 | +0.72% | 426억 1,800만 | 홍삼 등 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하는 (주)한국인삼공사을 주요 종속회사로 보유. 주요상표로는 홍삼정, 홍삼정환, 홍이장군, 아이패스 등이 있음. |
비엘팜텍 | 708 | +0.14% | 5,000만 | 건강기능식품 유통 및 판매업체. 자회사인 건강기능식품 제조사 네추럴에프앤피를 통해 건강식품을 직접 제조하여 유통. 기존 '보의당', '내몸에 사과해' 브랜드와 함께 건강식품 유통의 다양성 및 확장성을 위해 다이어트 전문 브랜드인 '먹어도 좋아' 브랜드를 인수. |
에이치엘사이언스 | 10,050 | 0.00% | 6,800만 | 건강기능식품 전문업체. 건강기능식품법의 기준에 따라 천연물 등을 소재로 하여 기능성 원료 및 천연물 신약을 연구/개발,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지향식품 등을 개발, 제조, 판매 사업을 영위. 닥터슈퍼칸(간 건강), 닥터써큐원(혈행 개선), 닥터스피루리나(항산화, 피부건강), 황후의석류진(갱년기여성 건강, 피부보습), 슈퍼루테인(눈 건강) 등 독자 브랜드 제품을 개발, 제조. |
CJ제일제당 | 230,000 | -0.22% | 126억 6,900만 | 자회사인 CJ웰케어가 건강기능식품 브랜드 런칭 |
롯데칠성 | 114,400 | -0.35% | 15억 8,700만 | 건강기능식품 시장 진출 |
모아라이프플러스 | 1,807 | -0.39% | 6억 5,400만 | 면역 증진 생리활성물질인 γ-PGA(폴리감마글루탐산)을 활용하여 경쟁품과 차별화된 건강기능식품과 기능성화장품을 제조, 판매. 건강기능식품 제품으로는 '면역엔 PGA-K' 등이 있음. 16년3월 이롬과 폴리감마글루탐산을 원료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연구 개발 협약 체결.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폴리감마글루탐산칼륨(이하 PGA-K)’의 신규 건강기능식품 원료(NDI) 승인 신청 |
팜스빌 | 3,860 | -0.52% | 3,700만 | 건강기능식품 전문업체. B2C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기본으로 건강기능식품과 건강지향식품 자체 브랜드와 유통, 생산(OEM) 및 소재 개발을 주요사업으로 영위. 사업 부문은 인터넷 전자상거래 플랫폼 사업, 자체 브랜드 기획 사업, 유통 플랫폼 사업, 해외수출사업, C & BD 사업 등으로 분류. 주요 브랜드로는 애플트리김약사네, 악마다이어트, 비타민스토리, 애플트리, 골든가든, 애플킨더, 데일리그린, 상상방, 닥터스앤서, 닥터솔루션, 그린오션 등이 있음. |
코스맥스엔비티 | 3,465 | -0.57% | 3,900만 | 건강기능식품 전문업체. 건강기능식품 산업에서 기능성 원료 및 성분을 연구하는 연구개발 사업,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지향식품을 생산하는 제조업, 건강기능식품을 판매하는 유통사업을 주요사업으로 영위. OEM/ODM제품과 브랜드(OBM) 제품으로 구분되며, 주로 유통회사, 제약/식품회사, 네트워크 등 B2C 회사에 직접 납품하는 B2B 형태로 판매. |
콜마비앤에이치 | 14,500 | -0.68% | 5억 9,700만 |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품 생산, 판매 업체. 건강기능식품과 화장품 생산에 사용하는 원료를 직접 개발해 유통업체에 제품을 공급(ODM/OEM). 주력제품은 면역기능개선 건강기능식품 "헤모힘", 기능성화장품 "스킨케어 6시스템" . 577억 규모 건기식 제조공장 신설 |
LG생활건강 | 281,000 | -0.88% | 105억 1,300만 | '생활정원', '리튠' 등의 브랜드를 통해 건강기능식품 사업 영위 |
경남제약 | 562 | -0.88% | 1억 1,100만 | 의약품 및 원료의약품의 제조 및 도,소매업과 건강기능식품 제조 및 판매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 대표 브랜드로 레모나를 보유하고 있으며, 다이어트 건기식 '칼로-시리즈' 신제품을 출시. 이너뷰티 원료 소재를 바탕으로 건강기능식품 제제 개발. |
시너지이노베이션 | 2,610 | -0.95% | 6억 800만 | 건강기능식품의 OEM, ODM, 제품개발, 생산/판매하는 노비스바이오㈜를 종속회사로 보유. 주요 제품으로는 네이처락 포스트바이오틱스, 키즈징크락토 등이 있음. |
아미코젠 | 3,505 | -0.99% | 8억 6,000만 | 특수효소와 효소기반 바이오 신소재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생명공학 업체. 기능성 식품소재인 피니톨(Pinitol)이 혈당감소 기능성, 간 건강 도움 기능성으로 식약처로부터 2중 기능성 원료 최종 승인. 건강기능식품 제조/판매 사업을 영위하는 아미코젠퍼시픽을 종속회사로 보유. |
광동제약 | 5,620 | -1.06% | 3억 4,300만 | 비타500 등 건강기능식품 제조. |
우리바이오 | 2,255 | -1.10% | 7억 3,500만 | 건강기능식품 '솔루티오', '신비락' 제조/판매 |
청담글로벌 | 7,970 | -1.12% | 20억 5,600만 | 네슬레, Swisse 브랜드의 건강기능식품 유통 |
에쓰씨엔지니어링 | 1,286 | -1.23% | 1억 8,200만 | 건강기능식품 유통사업 영위. |
대원제약 | 13,100 | -1.43% | 4억 4,200만 | 국내 최초 유기농 인증 프로바이오틱스 건강기능식품 장대원을 중심으로 한 건강기능식품 사업 진행중. |
휴온스 | 29,950 | -1.48% | 6억 3,800만 | 건강기능식품 OEM/ODM 전문 업체 (주)휴온스내츄럴과 홍삼 건강기능식품 전문 업체 (주)휴온스네이처를 종속회사로 보유. |
대상홀딩스 | 9,130 | -1.62% | 8억 600만 | 대상그룹 지주회사로 건강기능식품 사업 등을 영위하는 대상라이프사이언스를 자회사로 보유. 대상라이프사이언스는 2002년부터 건강기능식품 브랜드인 '웰라이프' 를 중심으로 '클로렐라', '홍삼' 등을 판매하고 있으며, 2008년부터 뉴트리션 브랜드인 '뉴케어' 를 중심으로 임상영양제품 및 환자용영양식제품을 판매. |
쎌바이오텍 | 12,010 | -1.64% | 2억 2,600만 | 국내 1위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생산업체. 유산균 제조. |
셀로맥스사이언스 | 5,410 | -1.64% | 8,400만 | 고품질 원료를 사용한 프리미엄 건기식 전문기업으로, 현재 132종의 라인업을 갖추고 있다. 주력 제품은 ‘알티지 오메가-3’. 회원약국 판매 사업 모델도 구축, 올해 상반기 기준 회원약국은 5210개로 국내 전체의 20.8%. |
종근당홀딩스 | 46,350 | -1.70% | 4억 9,800만 | 종근당그룹 지주회사로 유산균(락토핏), 오메가3(프로메가), 홍삼 등 건강기능식품을 생산/판매하는 종근당건강을 자회사로 보유. |
서흥 | 25,250 | -1.94% | 9억 7,800만 | 의약품 전공정 수탁 및 건강기능식품 제조 전문업체. 소프트캡슐, 하드캡슐, 정제, 액제/젤리, 분말/과립 등의 다양한 제형으로 건강기능식품을 생산. 하드캡슐 및 소프트캡슐 주원료인 젤라틴 제품 및 콜라겐 제품 등도 생산 및 판매. |
종근당바이오 | 21,950 | -2.01% | 5억 9,900만 | 50여년 발효기술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특허기술을 통해 안정성이 우수한 프로바이오틱스 원료 및 완제를 생산. 안산공장에서 종근당 건강향 락토핏 원말과 OEM 물량을 담당. |
바이오니아 | 13,100 | -2.02% | 9억 2,600만 | 다이어트 유산균 등 건강기능식품사업 영위. |
알피바이오 | 7,330 | -2.27% | 6억 2,900만 | 건강기능식품 제조/판매 |
케어젠 | 59,600 | -2.30% | 52억 1,600만 | 건강기능식품 원료 '디글루스테롤'이 FDA로부터 신규건강기능식품 원료 승인 획득 |
네오팜 | 16,310 | -2.34% | 22억 7,600만 | 화장품 개발/제조/판매 사업을 영위중인 아토피보습제 전문업체로 건강기능식품(유산균 등)도 판매중. 건강기능식품 브랜드로 프로비라이프, 에이토솔루션을 보유중. |
에이치피오 | 2,630 | -2.41% | 2억 3,200만 | 프로바이오틱스, 비타민 등 건강기능식품 판매. |
뉴트리 | 5,130 | -2.66% | 1억 5,800만 | 이너뷰티 건강식품 제조업체. 홈쇼핑/온라인/백화점 경로는 피부건강 브랜드로 에버콜라겐, 다이어트는 판도라, 수퍼푸드 및 기능성 식품은 이츠코어 등 3개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으며, 프리미엄제품을 판매하는 텔레마케팅 판매채널은 뉴피니션다이어트와 천수애(피부건강) 브랜드를, 네트워크 마케팅 판매채널에서는 에버스프링(Ever spring) 브랜드를 운영 중. |
현대바이오랜드 | 4,565 | -2.67% | 5억 5,700만 | 건강기능식품 원료 개발 |
프롬바이오 | 1,457 | -2.74% | 3억 7,900만 | 관절연골엔 보스웰리아 등 건강기능식품 판매 |
달바글로벌 | 141,100 | -2.76% | 289억 2,900만 | 건강기능식품 판매 |
녹십자웰빙 | 9,560 | -2.85% | 6억 4,500만 | 건강기능식품 제조. |
아시아종묘 | 2,185 | -2.89% | 1억 4,700만 | 혈당 상승을 억제하는 효소인 알파 글루코시다제 억제제(AGI) 성분이 풍부한 고추 품종을 활용한 천연물 소재 건강기능식품 원료 '일릭시(ILIXY)'를 개발 |
펌텍코리아 | 53,600 | -2.90% | 47억 6,500만 | 건강기능식품 판매 |
압타바이오 | 7,680 | -2.91% | 11억 7,800만 | 건강기능식품 사업 진출 |
네오크레마 | 7,960 | -3.52% | 11억 3,800만 | 건강기능식품 제조. |
바이오포트 | 10,380 | -3.71% | 5억 7,200만 | 체지방 감소를 돕는 ‘털부처꽃추출물(제2024-37호)’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개별인정형 원료 승인을 획득 |
일동제약 | 21,800 | -3.75% | 353억 400만 | 아로나민류, 비오비타 등 건강기능식품 제조. |
인스코비 | 716 | -3.76% | 1억 7,900만 | 자회사 프로바이오틱스, 영국 '옵티바이오틱스'의 건강기능식품 국내 독점 총판계약 체결. |
내츄럴엔도텍 | 2,415 | -3.78% | 1억 9,200만 | 헬스케어 신소재 연구개발 전문 바이오업체. 천연물신약, 건강기능식품 신소재, 화장품 연구개발 및 제조/판매를 주력사업으로 영위. 건강기능식품 형태인 백수오 여성호르몬제 등을 생산/판매. |
오아 | 11,100 | -4.15% | 7억 9,200만 | '삼대오백' 이라는 자체 브랜드를 통해 2030 남성 헬스장 이용자 중심 상품 판매 |
일동홀딩스 | 8,500 | -4.49% | 12억 8,900만 | 계열사 일동바이오사이언스가 미 FDA로부터 프로바이오틱스 원료 2종에 대한 ‘GRAS’(Generally Recognized As Safe) 인증 획득 |
헬릭스미스 | 5,590 | -5.09% | 20억 4,500만 | 바이오 및 천연물 소재를 활용한 신약 개발 전문업체. 천연물 사업은 천연물의약품 사업과 건강기능식품 사업부문으로 나눌 수 있으며, 면역과민반응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알렉스), 관절건강제품(무르핀), 기억력개선제품(니모신) 등을 판매. |
에스앤디 | 80,200 | -5.09% | 78억 800만 | 감태추출물, 미강주정추출물 등 건강기능식품소재 공급 |
아이진 | 2,205 | -5.57% | 5억 6,000만 | 노화 관련 성인 질환의 예방 및 치료 의약품 연구개발 업체로 2018년 하반기부터 루테인이 함유된 눈건강기능식품과 피부 보습에 효과가 있는 세라마이드를 주원료로 하는 건강기능식품/화장품 출시. 루테인코어, 세라마이드, 오메가3, 종합비타민, 밀크씨슬, 무부형제 비타민 제품 등을 판매 중. |
비피도 | 3,720 | -7.12% | 1억 2,000만 | 건강기능식품 및 원료 제조. |
제약/바이오
화장품
코로나 치료제
음식료
2시간 전, 매일일보
'애터미' 혈당컷 여주, 2025 식품기술대상 수상
매일일보 = 오정환 기자 | 애터미는 13일 건강기능식품 애터미 혈당컷 여주가 '2025 식품기술대상'에서 장려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식품기술대상은 한국식품연구원이 주최하며 국내 식품산업의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술성, 시장성, 사업성 등을 종합 평가해 우수 제품을 선정하는 제도다. 애터미...
2시간 전, 이데일리
한미그룹, 창립 52주년 기념 봉사주간 성료
청각장애 어르신을 위한 나눔 활동에서는 우리나라 최초의 청각장애인복지관인 청음복지관에 한미 임직원들이 직접 준비한 눈과 건강에 도움을 주는 한미 건강기능식품 2종과 균형 잡힌 영양을 챙길 수 있는 한미 케어미로 구성된 건강보따리 100세트를 전달하고, 자원봉사와 청각장애 이해 교육도 함께...
3시간 전, 헬스조선
[식품업계 이모저모] 파리바게뜨, ‘2025년 APEC 정상회의’ 공식 협찬 ...
더퓨처는 건강기능식품 브랜드 닥터블릿을 시작으로 푸응, 소우코우 등 다양한 히트 제품을 선보이며 웰니스 분야에서 입지를 강화해왔다. ‘KOOM’은 2019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시작된 K-컬처 페스티벌로, 음식, 문화, 뷰티 등 한국의 다양한 면모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글로벌 행사다. 더퓨처는 이번...
8시간 전, 시사오늘
뷰티 격전지 된 다이소…가성비 화장품 매력에 제약사까지 빠졌다
의약품과 건강기능식품 개발로 쌓은 기술력과 신뢰도를 앞세워 화장품 분야로 외연을 확장하겠다는 전략이다. 대표적으로 동아제약은 이달 트러블케어 전문 브랜드 '파티온'의 다이소 전용 신제품 '파티온 노스카나인 퍼스트스텝'을 선보였다. 해당 제품은 트러블 고민이 시작되는 청소년층을 주요 타깃으로...
9시간 전
코로나19 특수 끝난 K-진단키트…체질 개선 '속도'
지난 6월 기능성 화장품 브랜드 '슈어스킨랩(SureSkinLab)'과 건강기능식품 브랜드 '슈어메디(Suremedy)'를 선보이며 진단-예방-케어로 이어지는 여성 헬스케어 플랫폼 구축을 추진 중이다. 회사는 진단기술을 기반으로 소비자 건강 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제품군을 확대하겠다는 전략이다. 일부 코로나19 특수를...
22시간 전, 충청뉴스
혈당 건강 돕는 애터미 혈당컷 여주, 2025 식품기술대상 수상
지난 10월 13일, 애터미의 건강기능식품 애터미 혈당컷 여주가 '2025 식품기술대상'에서 장려상을 수상했다. 식품기술대상은 한국식품연구원이 주최하며 국내 식품산업의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술성, 시장성, 사업성 등을 종합 평가해 우수 제품을 선정하는 제도다. 이번 수상은 분야에서...
22시간 전
애터미 혈당 관리 건강기능식품, '2025 식품기술대상 장려상' 수상
초소형 정제와 국내산 여주 원료를 강조한 건강기능식품 패키지. 애터미의 건강기능식품 '애터미 혈당컷 여주'가 우수한 기술력과 사회적 가치를 인정받아 지난 10월 13일 열린 '2025 식품기술대상'에서 장려상을 수상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기능성을 인정받은 원료를 사용하고, 혁신적인 제형 기술과...
22시간 전, 뉴데일리
애터미 '혈당컷 여주', 2025 식품기술대상 장려상 수상
뉴데일리 이길표 기자 = 애터미는 건강기능식품 '혈당컷 여주'가 최근 '2025 식품기술대상'에서 장려상을 받았다고 16일 밝혔다. 식품기술대상은 한국식품연구원이 주최하며, 국내 식품산업의 기술성·시장성·사업성을 종합 평가해 우수 제품을 선정하는 제도다. '혈당컷 여주'는 식약처 개별인정형 원료...
1일 전, STN SPORTS
"혈당 관리부터 스포츠 후원까지"… 애터미, 기술·건강·스포츠 ESG 아우...
류승우 기자┃혈당 건강기능식품 '애터미 혈당컷 여주'가 '2025 식품기술대상'을 수상하며 기술력과 기능성을 입증했다. 동시에 애터미는 청소년 스포츠 후원과 사회공헌을 통해 ESG 경영을 실천하며 '건강한 기업 생태계'를 확장하고 있다. 기술·기능성 모두 인정받은 '혈당컷 여주' 지난 10월 13일, 애터미의...
1일 전, It조선
과학으로 접근하는 '그린바이오' 기술, 현실화 위해서는 '구체화' 필요해
박종환 노드큐어 대표도 "건강기능식품 개발에서 국내의 인증 제도는 제법 까다로운 편이다. 개별인정형 원료 인증을 받은 기업들에 대한 존중도 필요하겠지만, 글로벌로 봤을 때는 임상실험 등을 잘 했는데 식약처 요건 충족을 못해서 실패하는 경우도 생긴다. 심사역에 따른 변수 측면도 있다. 이에 대한...
자동차 부품 | +17.47 % |
---|---|
전기자동차 부품 | -17.47 % |
초전도체 | 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