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노인복지 테마 설명 테마록 49 위
  • 관련 종목 36
  • 상승 종목 8
  • 하락 종목 28
-4.47% (등락룰 TOP5 종목 평균)
  • 최고 등락률 +1.58%
  • 최저 등락률 +0.45%
  • 전체 거래 대금 4,612억
  • TOP5 거래 대금 4,548억

2025-04-02 11:15 기준

일별 등락률

관련 종목
종목명 현재가 등락률 거래대금(원) 테마 포함 사유
에르코스 7,720 +1.58% 11억 6,300만 대체식품과 고령친화식품 등을 제조
바텍 21,150 +1.20% 1억 5,900만 치과용 디지털 엑스레이(파노라마) 및 CT, 구강카메라, 구강센서와 인체용 엑스레이 센서 제조/판매. 국내 치과영상진단(2D 및 3D X-ray) 분야(치과용 디지털 엑스레이 및 CT)에서 독보적인 시장 점유율을 차지.
피제이전자 5,500 +0.92% 4,100만 GE ,SIEMENS로 생산 판매되는 초음파진단기 및 부품, 반제품 생산.
인바디 22,350 +0.45% 8,200만 체성분 분석기 개발/생산. 체성분 분석기, 자동신장계, 자동혈압계 등을 생산. InBody, Lookin'Body, BPBIO, InBody Band 등의 주요 상표를 보유. 홈헬스케어용 체성분분석기와 헬스케어시스템 등을 개발.
원익 3,515 +0.43% 1억 2,200만 외과 및 비뇨기과 수술장비, 피부과용 레이져장비 등 첨단 의료 장비 수입/판매.
퓨쳐켐 22,000 +0.23% 8억 5,500만 방사성의약품 생산. 다양한 F-18 표지 관련 특허기술을 보유. 알츠하이머 진단용 방사성의약품 알자뷰®([18F]FC119S), 파킨슨 진단용 방사성의약품 피디뷰®([ [18F]FP-CIT) 등의 방사능의약품 신약 개발.
마크로젠 15,850 +0.19% 3,800만 서울의대 유전자이식연구소를 모태로 설립된 생명공학기업. DNA 염기서열 분석 서비스, 올리고 합성, 마이크로어레이(Microarray) 분석, 유전자 편집 마우스 공급 서비스, 임상진단서비스, 개인유전체분석서비스 등의 사업 영위.
메타바이오메드 4,500 +0.11% 2억 400만 치과용재료 및 기기, 생분해성 봉합원사, 정형외과 및 치과용골수복재 제품 생산/판매.
신흥 14,705 -0.03% 0 치과의료기기 제조/유통. 주요제품으로 치과용합금, 치과용진료대, 치과용X선 촬영기, 공기압축기 등이 있으며, 치과에서 사용하는 소모성 재료 등의 상품도 판매.
삼성전자 58,750 -0.09% 4,102억 1,800만 2010년 디지털 X-RAY업체 레이, 2010년 초음파진단기업체 메디슨, 2011년 의료진단기기업체 넥서스, 2012년 삼성메디슨의 프로소닉, 2013년 미국 CT업체 뉴로로지카 인수 등 M&A를 통해 의료기기사업 확장 중. 삼성메디슨과 함께 AI 기술이 적용된 영상진단기기 제품군을 공개.
테라젠이텍스 2,935 -0.17% 7,500만 제약사업과 바이오/유전체 서열 분석사업 영위. 전문의약품 유통사업을 영위하는 리드팜과 의약품외품 유통사업을 영위하는 테라젠헬스케어, NIPT 산전 진단 서비스를 영위하는 테라젠지놈케어(주) 등을 종속회사로 보유.
오텍 2,900 -0.34% 300만 특수차량 제조. 최첨단 한국형 앰뷸런스와 복지차량, 암검진 및 전문 진료차량, 냉동 탑차 등 특수 물류차량, 의료기기, 기타 자동차부품 등 생산. 장애인승용차, 장애인버스, 이동식 목욕차량 등도 생산.
휴비츠 7,320 -0.41% 8,400만 안과 및 안경점용 필수 진단기기인 자동 검안기, 자동 렌즈미터, 근접 시력 진단기, 디지털리프렉터, 챠트 프로젝터, 리프렉션 테이블, 세극등현미경 등 개발/생산/판매.
대원제약 13,490 -0.66% 1억 1,400만 ETC(전문의약품) 제조. 순환기계, 호흡기계, 소화기계, 근골격계, 항생제 및 진입장벽이 있는 마약성 진통제 등 다양한 질환군별로 특화된 전문치료제 중심 제품군을 보유. 동사의 의약제품들은 당뇨, 고혈압 등의 노인성질환 치료제로서 실질적인 인구노령화 수혜를 받을 것으로 전망.
인피니트헬스케어 5,040 -0.79% 2억 2,000만 솔본그룹 계열의 PACS(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 의료영상 저장 전송 시스템) 솔루션을 개발/서비스. PACS 및 3차원 의료영상 소프트웨어 개발/제공.
씨유메디칼 576 -0.86% 1,900만 자동심장충격기(AED) 등의 의료기기 개발/제조/판매. 국내 최초의 자동심장충격기(AED) 제조업체로 시장점유율 50% 이상의 선두 기업. 최근 고령화 인구 증가 및 1인 가구 증가 추세 가속화 등으로 AED 설치 확대.
비트컴퓨터 4,580 -0.97% 8,700만 의료기관에 통합의료정보솔루션을 개발/공급. 디지털헬스케어사업에서는 원격의료시스템인 비트케어플러스(BITCare Plus)와 독립 키오스크 형태인 비트케어스테이션(BITCare Station), 원격건강모니터링서비스 비트케어(BIT Care)등 제품 라인업 보유.
앱클론 8,160 -0.97% 7억 9,800만 난치성 암 또는 자가면역 질환 극복을 위한 바이오시너지 항체의약품 신약개발사업 영위. 주력제품으로는 위암 및 유방암 관련 AC101 (HER2) 항체치료제, 류마티스 관절염 관련 AM201 (TNFa x IL-6) 이중항체치료제 등이 있음.
큐렉소 7,990 -0.99% 3억 9,800만 미국에 있는 자회사 Think Surgical, Inc., 의료용 수술로봇 로보닥(Robodoc) 생산.
현대바이오랜드 4,280 -1.04% 4,900만 건강식품의 원료(홍삼농축액분말,마린키토올리고당, 글로코사민분말) 사업과 Wound care(의료용 핵심원료소재인 콜라겐을 이용한 창상치료 의료기기 등) 의료기기 사업 영위. 치매(알츠하이머성)치료를 위한 천연물신약후보물질(BL153)이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사업"에 선정.
뷰웍스 23,550 -1.05% 1억 2,200만 의료용 X-ray 디텍터(Detector) 설계/생산. 국내 최초 무선 평판 엑스레이 디텍터 제품에 대해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획득.
세운메디칼 2,340 -1.06% 3,400만 의료용 흡인기(Barovac), 도뇨용, 위장용, 배액용 및 의약품 주입용 카테터, 튜브 등의 소모성 의료기기 제조/판매.
유비케어 3,290 -1.20% 5,000만 솔루션사업과 U-Healthcare 사업 영위. 솔루션사업부문은 EMR, 약국 경영관리시스템, 의약품 통계정보서비스 관련 제품(의사랑,미소몰닷컴,유팜시스템,오토팩 등) 등을 개발/판매. U-Healthcare 사업부문은 기업의 임직원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
차바이오텍 10,960 -1.26% 2억 9,400만 2010년 1월 ㈜핸슨바이오텍과 합병을 통해 의료기기사업 및 성장인자관련사업 진출. 인간배아줄기세포 유래 망막색소상피세포를 이용한 건성 노인성 황반변성 세포치료제 개발.
녹십자홀딩스 13,000 -1.37% 2억 1,200만 녹십자그룹 지주회사로 자회사인 녹십자헬스케어가 U-Healthcare 사업 영위.
나노엔텍 3,235 -1.37% 1억 2,000만 나노바이오 및 진단의료사업 영위. 나노바이오 융복합기술(Lab-On-A-Chip) 기반의 생명공학 연구기기와 현장진단 의료기기 제조/판매. 생명공학기기는 자체 브랜드와 ODM/OEM 공급으로 영업을 진행 중. 진단의료기기의 경우 전립선암 진단기인 FREND PSA와 갑상선질환 진단기인 FREND TSH, FREND Free T4 등이 미국 FDA 승인을 획득. 잔존백혈구 분석 장비에 대해 미국 FDA 승인을 획득.
JW중외제약 21,150 -1.40% 2억 800만 수액제(링겔)를 비롯해 프리페넴(항생제), 리바로(고지혈증치료제), 시그마트(협심증치료제), 트루패스(전립선비대증 치료제) 등 다양한 약효군의 전문의약품 제조/판매.
인성정보 1,546 -1.90% 1억 1,600만 U-Health 관련 Device 및 Platform 생산.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인 하이케어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아이센스 15,100 -2.08% 2억 1,900만 자가 혈당 측정기기 및 혈액분석기와 같은 화학 및 바이오센서 제조/판매. 주요제품으로 혈당측정기, 혈당측정스트립, 혈액 분석기(병원진단용 장비) 및 카트리지 등.
엔지켐생명과학 1,077 -2.89% 1억 1,100만 원료의약품 제조. 세파계 항생제, 일반 의약품과 MRI/CT 조영제 등을 개발하여 국내시장과 일본 등 해외시장에 판매. 호중구감소증 치료제와 구강점막염 치료제 중심의 글로벌 신약사업 영위. 류마티스관절염, 건선, 패혈증, 천식, 아토피피부염 적응증에 대해서는 비임상 효능, 임상1상시험을 종료하였고, 당사의 전략적 판단에 따라 임상2상에 진입하는 시기를 조율 중.
LG화학 236,000 -3.28% 267억 9,300만 LG그룹 계열의 국내 대표적인 화학기업으로 17년1월 바이오의약품 전문 제약업체 LG생명과학 흡수합병을 통해 생명과학사업 진출. 당뇨신약 '제미글로'를 비롯하여, 인간성장호르몬제 '유트로핀', 류머티스관절염 치료제 '유셉트' 등의 의약품 생산/판매.
HLB제약 19,990 -3.66% 33억 8,800만 완제의약품 및 원료의약품 개발/제조. 주요 제품으로 로자틴정(고혈압치료), 엑셀씨캡슐(치매증상치료 등) 등이 있음.
메디포스트 8,430 -3.77% 2억 6,000만 업계 상위의 제대혈 은행업체. 제대혈 보관, 건강기능식품 판매, 줄기세포치료제 개발/판매 사업 등 영위. 항암후보물질 개발 전문회사인 큐로닉스㈜와 건강관리 서비스업체인 ㈜에임메드 등을 계열사로 보유. 무릎골관절염 치료제 카티스템과 주사형 골관절염치료제 'SMUP-IA-01'의 글로벌 임상추진 중
코오롱티슈진 43,100 -4.75% 125억 2,200만 무릎 골관절염(Knee OA) FDA 임상 3상 시험 진행중
셀루메드 1,092 -4.96% 1억 5,400만 의료기기(동종이식재, 수술용고정체, 인공관절, SPINE 등) 사업과 바이오시밀러 사업 영위. 정형외과와 신경외과에서 사용하는 인체조직과 인공관절 등을 주력 생산.
오스코텍 29,550 -5.14% 19억 600만 골다공증과 관절염, 치주질환 등과 관련된 천연물 신약물질 개발. 치주질환 및 골다공증, 관절염치료제 등의 국내 특허를 보유.

테마 포커스

유사 테마

관련 뉴스

  • 2025-02-11

    새로운 '탈모치료제' 패러다임 도래...경쟁력은 크기 축소·제형 변경

    초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탈모치료제 시장이 황금기를 맞이했기 때문이다. 노인성 탈모 외에도 최근에는 스트레스나 잘못된 식습관, 무리한 다이어트 등으로 여성 탈모 환자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3년 탈모로 병원을 찾은 환자 24만7382명 중 여성...

  • 2025-02-10

    삼성 노조 "65세 정년연장·임금 5.7% 인상"

    노조는 "초고령화에 따른 노동자들의 노후 소득 공백을 보존하고 국민연금 수급 연령과 정년을 맞추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시기"라고 밝혔다. 이어 "삼성이 정년 연장을 선도해 노동자들의 노후를 보장하는 데 기여한다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숙련된 고경력 인력을 지속 활용해 기업 경쟁력도 높일...

  • 2025-02-10, 프레스9

    HLB그룹, '진단-치료-예방' 밸류체인 구축 전략 통했다

    여기에 더해 지난해 HLB글로벌도 HLB라이프케어(구 바라바이오)를 인수하며 인구 고령화에 따라 급성장하고 있는 시니어케어 시장 공략에도 나섰다. HLB라이프케어는 당뇨병 등 만성대사질환에 대한 진단, 관리 플랫폼을 구축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시니어 건강기능식품(건기식)과 디지털 헬스케어...

  • 2025-02-06

    EV첨단소재, M&A로 외형·수익 '일거양득'

    인구 고령화에 따라 재생의료 시장 확대가 예상되는 상황이다. 셀론텍에 따르면 통계청 자료(2023년 12월 기준)를 기반으로 고령 인구 36.5%가 관절염을 동반한다고 가정했을 때 2030년 470만명, 2040년에는 625만명이 퇴행성관절염 환자로 추정된다. 현재 2000억원 규모인 국내 관절강내 주사제 시장은 향후...

실시간 테마 순위

자동차 부품 +17.47 %
전기자동차 부품 -17.47 %
초전도체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