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3 19:44 기준
| 종목명 | 현재가 | 등락률 | 거래대금(원) | 테마 포함 사유 |
|---|---|---|---|---|
| LS머트리얼즈 | 15,500 | +15.67% | 693억 5,400만 | 전력 안정화를 위한 신제품 LS 울트라그리드(UltraGrid) 출하. 메가와트(MW)급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랙형 울트라커패시터 시스템으로 풍력·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전력 안정화를 위해 공급될 예정 |
| 대원전선 | 4,220 | +15.62% | 2,439억 600만 | 전력 및 통신 케이블 제조. 전력 및 통신케이블(광케이블포함), 절연선(자동차전선포함) 등을 생산. |
| LS ELECTRIC | 488,500 | +12.30% | 2,414억 5,500만 | LS그룹 계열의 전력기기 및 시스템 제조업체로, 전력사업(저압/고압기기, 계량기, 계전기, 초고압, 배전반, 진단, 철도시스템 등) 등을 영위. |
| 일진전기 | 63,600 | +10.42% | 1,936억 9,700만 | 각종 전선(초고압전선, 중고압전선 등), 전력기기(개폐기, 변압기 등)를 제조, 판매하는 종합 중전기 제조업체. |
| 에이루트 | 1,713 | +9.81% | 16억 8,900만 | 전력공급기 및 전력변환기 제조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주요제품으로 무정전 전원장치(UPS), 정류기(SR포함), B/CH 등 다양한 전원공급 장치 및 전력변환 장치 생산 공급하고 있는 지오닉스(분기보고서 (2021.03) 기준 지분 99.94% 보유)를 자회사로 보유중. |
| HD현대일렉트릭 | 949,000 | +9.08% | 2,478억 6,900만 | 전력기기(변압기, 고압차단기 등), 회전기기(회전기, 저압전동기 등), 배전기기(배전반, 전력제어, 중저압차단기 등) 등을 생산 |
| 효성중공업 | 2,328,000 | +9.04% | 2,311억 8,100만 | 변압기, 차단기, 전동기, 감속기 등 전력기기(중공업) 사업을 영위. |
| 가온전선 | 91,000 | +8.33% | 215억 1,300만 | LS그룹 계열사로 전력케이블 및 통신케이블을 생산하는 국내 3대 전선 전문 제조업체. |
| 산일전기 | 168,700 | +7.66% | 1,685억 7,500만 | 전력용 변압기와 배전용 변압기를 주로 제조하고 있으며, 이 중에서도 전력기기 시장 내에서 72kV까지의 전압을 다루는 배전 변압기 시장을 주요 목표시장으로 하고 있음 |
| 한국전력 | 45,100 | +5.99% | 1,687억 3,800만 | 국내 발전 및 송전사업을 책임지고 있는 공기업으로 전기판매, 원자력발전, 화력발전, 기타(발전소 설계 및 정비 등)사업을 영위. |
| 이삭엔지니어링 | 9,310 | +5.68% | 118억 9,500만 | 초고압 전력설비 예방진단 솔루션 공급. |
| 보성파워텍 | 5,650 | +5.61% | 194억 8,200만 | 전력산업 기자재 생산. 발전소, 변전소 철골 및 송배전 기자재 등 제조. 한국전력공사에 연간 매출이 집중됨. |
| 서전기전 | 3,310 | +5.58% | 6억 1,100만 | 수배전반 생산업체. 수전반, 배전반 설비 및 전력기기 생산. |
| 티씨머티리얼즈 | 4,260 | +5.19% | 23억 5,600만 | 구리 소재 가공 및 절연 기술 노하우를 바탕으로 전력 인프라 사업을 주력으로 영위 |
| 세명전기 | 12,040 | +5.06% | 1,090억 1,800만 | 송/배전선로 가설 및 전철선로용 금구류, 섬유직기용 섹셔날빔 등을 생산. 송/배/변전선로 가설용 금구류를 제조하여 한국전력공사 등에 공급. |
| 제룡전기 | 40,700 | +4.63% | 279억 7,800만 | 변압기, 개폐기, GIS 제조 및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하는 업체. 주력 제품은 변압기. |
| 씨피시스템 | 4,240 | +4.43% | 452억 6,300만 | 전선 보호용 케이블 체인, 주로 케이블이 고정되어 있는 환경에 사용되는 플렉시블 튜브, 산업기계 컨트롤 판넬과 케이블을 연결하는 용도인 커넥터를 자체 제작하는 사업을 영위 |
| 제룡산업 | 6,740 | +4.17% | 33억 3,500만 | 금속 및 합성수지제품 제조 및 판매를 주 사업으로 영위. 주요제품으로 송ㆍ배전, 통신 및 철도전차선 금구류, 가공 및 지중배전 수지제품 등이 있음. |
| LS | 217,500 | +4.07% | 1,275억 3,300만 | LS그룹의 지주회사. 전력기기 제조업체인 LS산전(주), LS전선(주)을 자회사로 보유. |
| 대한전선 | 25,150 | +3.93% | 1,387억 5,300만 | 국내 최초의 종합 전선제조업체. 전력 및 절연선, 나선 및 권선 등 제조. 초고압케이블, 통신케이블, Copper Rod 등을 생산. |
| 지투파워 | 9,010 | +3.92% | 46억 2,500만 | 수배전반 전력설비 생산 |
| 삼화전기 | 36,450 | +3.85% | 32억 2,900만 | 삼화전기의 'S-CAP'은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에서 요구하는 고신뢰성의 모든 특성을 만족시키며, 정전 시 데이터가 삭제되는 것을 방지. 전력 소비량을 절감시키는 역할을 하는 핵심 부품 |
| 제일일렉트릭 | 11,460 | +2.96% | 167억 7,800만 | 차단기 및 전기배선기구류 등 전기기기를 개발, 제조 및 판매업체. 일반배선기구, 스마트 배선기구, 차단기, 스마트분전반, 주택용 분전반, 전자접촉기/개폐기 등을 제조, 판매. |
| 지엔씨에너지 | 41,700 | +2.46% | 353억 1,600만 | 인터넷데이터센터(IDC, Internet Data Center)를 포함한 비상발전기 정보통신(IT) 부문 시장 점유율 70% 이상을 차지 |
| LS에코에너지 | 46,950 | +1.84% | 191억 8,100만 | 케이블 공급업 영위하는 종속회사의 지주사 |
| 비츠로테크 | 8,960 | +1.47% | 40억 2,100만 | 자동절환 개폐기, 진공차단기/저압차단기, 배전반 등을 생산하는 전력기기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
| 광명전기 | 1,589 | +1.08% | 23억 7,400만 | 중전기 전문 제조업체로 수배전반 및 배전제어장치, 가스절연개폐장치(GIS) 등을 생산. |
| 두산에너빌리티 | 89,500 | +0.90% | 3,720억 2,000만 | 기초소재인 주단조에서부터 원자력, 화력 등 발전설비, 해수담화 플랜트, 환경설비 등을 제작 및 공급. |
| 바이오스마트 | 2,775 | +0.73% | 3억 8,300만 | 자회사인 티씨티가 초고압변압기 및 발전기용 동 구리 소재를 독과점 |
| 그리드위즈 | 17,960 | +0.06% | 4억 400만 | 전력 수요 관리 서비스 제공(DR) |
| 한전KPS | 50,700 | 0.00% | 113억 9,300만 | 한국전력공사 계열의 발전설비 정비 전문업체. |
| 에이텀 | 7,830 | 0.00% | 1억 6,400만 | 전기 에너지 전환 역할을 하는 소형변압기인 트랜스를 주력 제품으로 사업을 영위 중 |
| 위너스 | 11,510 | -0.52% | 1억 9,700만 | 배선시스템 전문기업으로 자동소화기능 및 트래킹 화재 방지용 멀티탭과 콘센트, 방수기능을 강화한 결로 방지 콘센트 등 다양한 제품을 시장에 공급 |
| 한전산업 | 12,270 | -0.65% | 18억 4,100만 | 검침사업(검침, 송달, 단전, 중계, 인터넷빌링 등)과 발전사업(연료,탈황,회처리 운전 및 정비 등) 등을 영위. 전력공급 및 소내 전력설비 구축 사업도 진행. |
| 키스트론 | 4,610 | -0.65% | 2억 3,600만 | 리드 와이어, 전기통신용 케이블 도체, 접지 연선 및 소선 제조,판매 하는 기업 |
| 동양이엔피 | 21,250 | -0.70% | 11억 9,600만 | 전원공급장치 생산 |
| 피앤씨테크 | 4,665 | -0.85% | 1억 4,000만 | 전력계통의 배전분야에서 디지털전력기기를 생산하는 전력 IT 전문업체. |
| 뉴인텍 | 450 | -1.10% | 6,000만 | 고압 진상용 콘덴서 등 제조. |
| 마이크로컨텍솔 | 26,500 | -1.30% | 47억 4,100만 | 번인 소켓, 써멀 프로텍터, 전자개폐기 생산 |
| 금화피에스시 | 31,150 | -2.04% | 2억 5,800만 | 플랜트 건설 및 발전소 경상정비 사업 영위. 화력/원자력/조력발전소 설비 등의 기계설비 공사와 경상정비 공사에 주력. |
| 비츠로시스 | 421 | -3.22% | 1억 6,300만 | 전력자동화시스템, 배전반, 제어반, 전력설비에 대한 종합예방진단시스템(GIS, 변압기, 케이블, 모터 진단 등)등의 전력솔루션 공급 |
| 앱튼 | 624 | -4.00% | 9억 9,800만 | 비상발전기 사업 등 영위. |
전선
원자력
송전
대북/남북경협
35분 전, 전남매일
대형 국가 연구시설 없는 호남…‘인공태양’ 최적지다
또 내년 중 인공태양 핵융합 연구의 핵심 기반인 ‘초전도 도체 시험설비’를 한국에너지공대에 갖춘 후 본격 가동하게 된다는 점도 강점이다. 특히... 시험설비, 부지 안정성, 주민 수용성을 모두 갖춘 나주야말로 인공태양 연구시설의 최적지다”고 강조했다. 전남도의회 이재태 의원(더불어민주당·나주3)은...
1시간 전, 참여와혁신
발전노조 해고자들 "퇴직 전 단 하루 일하더라도 현장으로"
도서 지역 발전노동자 181명은 발전노조 도서전력지부 조합원들로, 이들은 본래 한국전력공사 하청업체 ㈜제이비씨 소속으로 도서 지역 발전·배전 설비 운영 업무를 맡아 왔다. 이들은 2020년부터 한국전력공사(한전)을 상대로 근로자지위확인소송을 벌여 2023년 6월 광주지방법원에서 1심 승소했다. 그러나...
6시간 전
글로벌 전력설비 기업과 공급 논의…LS머트리얼즈, UC로 해외 진출 가속
LS머트리얼즈는 신재생에너지 설비용 중대형 울트라커패시터와 스마트팩토리 AGV(무인운반차)용, 전기차용 울트라커패시터를 생산하며 산업 전반의... LS머트리얼즈는 AI 데이터센터 전력 안정화를 위해 글로벌 전력설비기업 버티브(Vertiv)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를 통해 데이터센터 전력 공급...
9시간 전, 글로벌이코노믹
[특징주] 전력기기주, AI발 수요 급증에 '슈퍼 사이클' 전망에 '강세'
전력기기 관련주가 동반 강세다. 인공지능(AI)발 전력 수요가 급증하면서 전력 설비 기업이 ‘슈퍼 사이클’(초호황기)에 진입했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긍정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51분 기준 전력설비 빅3 기업 중 LS ELECTRIC은 전 거래일 대비 13.45...
10시간 전, 이데일리
“AI발 슈퍼사이클 진입”…‘전력기기 관련주’ 동반 강세[특징주]
전력기기 관련주가 3일 장 초반 동반 강세다. 인공지능(AI)발 전력 수요가 급증하면서 전력 설비 기업이 ‘슈퍼 사이클’(초호황기)에 진입했다는 전망이 나오면서다. 3일 엠피닥터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24분 기준 전력설비 빅3 기업 중 LS ELECTRIC(010120)은 전 거래일 대비 5만 1000원(11.72%) 증가한...
23시간 전, 데일리한국
안도걸, 공동접속설비사업자에 전기사업자 지위 부여
민간사업자의 지정 조건·절차, 설비의 양도방법을 대통령에 위임했다. 또 안 의원은 전기사업법에 해상풍력·태양광 등 재생에너지단지에 필요한 공동접속설비사업자에 전기사업자의 법적 지위와 근거를 부여하고 전원개발촉진법에 전원개발사업자의 법적 지위를 부여해 공동접속를 신속 건설할 수...
1일 전, 경남도민일보
밀양 송전탑 할매·할배는 아직 싸우고 있다
이후 송변전 설비계획이 확정되고 2003년 최종 경과지로 밀양 등이 선정됐다. 밀양 주민들이 이 사실을 알게 된 것은 2005년. 한국전력은 주민설명회를... 밀양 송전탑 투쟁 주민들은 △6.11 행정대집행 진상조사·책임자 처벌 △에너지 3대 악법(송·변전 주변지역 보상·지원법·전기사업법·전원개발촉진법)...
1일 전, 신아일보
온라이프건설, 올해 관급공사만 280여 억원 수주
철근콘크리트 및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지하 1층, 지상 4층, 최고 19.9m 높이의 중대형 설비가 조성된다. 온라이프건설은 정밀한 시공 품질관리와 친환경 설계, 지능형 설비 시스템 도입을 주요 경쟁력으로 내세웠다. 특히 발전 주변에는 내구성과 심미성을 모두 갖춘 압출성형시멘트패널(T50)과...
| 자동차 부품 | +17.47 % |
|---|---|
| 전기자동차 부품 | -17.47 % |
| 초전도체 | 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