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설비 테마 설명 테마록 125 위
  • 관련 종목 39
  • 상승 종목 16
  • 하락 종목 21
-3.43% (등락룰 TOP5 종목 평균)
  • 최고 등락률 +4.47%
  • 최저 등락률 +1.39%
  • 전체 거래 대금 6,743억
  • TOP5 거래 대금 4,914억

2025-04-25 00:49 기준

일별 등락률

관련 종목
종목명 현재가 등락률 거래대금(원) 테마 포함 사유
두산에너빌리티 26,900 +4.47% 1,900억 400만 기초소재인 주단조에서부터 원자력, 화력 등 발전설비, 해수담화 플랜트, 환경설비 등을 제작 및 공급.
세명전기 7,250 +3.57% 563억 5,200만 송/배전선로 가설 및 전철선로용 금구류, 섬유직기용 섹셔날빔 등을 생산. 송/배/변전선로 가설용 금구류를 제조하여 한국전력공사 등에 공급.
가온전선 56,100 +2.56% 148억 400만 LS그룹 계열사로 전력케이블 및 통신케이블을 생산하는 국내 3대 전선 전문 제조업체.
위너스 22,050 +1.61% 1,017억 900만 배선시스템 전문기업으로 자동소화기능 및 트래킹 화재 방지용 멀티탭과 콘센트, 방수기능을 강화한 결로 방지 콘센트 등 다양한 제품을 시장에 공급
보성파워텍 2,920 +1.39% 7억 2,500만 전력산업 기자재 생산. 발전소, 변전소 철골 및 송배전 기자재 등 제조. 한국전력공사에 연간 매출이 집중됨.
씨피시스템 1,345 +1.36% 4,400만 전선 보호용 케이블 체인, 주로 케이블이 고정되어 있는 환경에 사용되는 플렉시블 튜브, 산업기계 컨트롤 판넬과 케이블을 연결하는 용도인 커넥터를 자체 제작하는 사업을 영위
한전산업 10,790 +1.12% 9억 9,400만 검침사업(검침, 송달, 단전, 중계, 인터넷빌링 등)과 발전사업(연료,탈황,회처리 운전 및 정비 등) 등을 영위. 전력공급 및 소내 전력설비 구축 사업도 진행.
LS머트리얼즈 10,810 +0.93% 26억 4,000만 전력 안정화를 위한 신제품 LS 울트라그리드(UltraGrid) 출하. 메가와트(MW)급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랙형 울트라커패시터 시스템으로 풍력·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전력 안정화를 위해 공급될 예정
비츠로시스 335 +0.90% 4,000만 전력자동화시스템, 배전반, 제어반, 전력설비에 대한 종합예방진단시스템(GIS, 변압기, 케이블, 모터 진단 등)등의 전력솔루션 공급
서전기전 4,305 +0.70% 1억 7,700만 수배전반 생산업체. 수전반, 배전반 설비 및 전력기기 생산.
LS 122,300 +0.41% 120억 6,200만 LS그룹의 지주회사. 전력기기 제조업체인 LS산전(주), LS전선(주)을 자회사로 보유.
금화피에스시 25,650 +0.39% 7,000만 플랜트 건설 및 발전소 경상정비 사업 영위. 화력/원자력/조력발전소 설비 등의 기계설비 공사와 경상정비 공사에 주력.
지엔씨에너지 22,500 +0.22% 74억 9,500만 인터넷데이터센터(IDC, Internet Data Center)를 포함한 비상발전기 정보통신(IT) 부문 시장 점유율 70% 이상을 차지
에이루트 1,689 +0.18% 4,500만 전력공급기 및 전력변환기 제조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주요제품으로 무정전 전원장치(UPS), 정류기(SR포함), B/CH 등 다양한 전원공급 장치 및 전력변환 장치 생산 공급하고 있는 지오닉스(분기보고서 (2021.03) 기준 지분 99.94% 보유)를 자회사로 보유중.
한전KPS 41,550 +0.12% 31억 4,300만 한국전력공사 계열의 발전설비 정비 전문업체.
대한전선 11,670 +0.09% 37억 8,700만 국내 최초의 종합 전선제조업체. 전력 및 절연선, 나선 및 권선 등 제조. 초고압케이블, 통신케이블, Copper Rod 등을 생산.
뉴인텍 495 0.00% 1,000만 고압 진상용 콘덴서 등 제조.
지투파워 7,810 0.00% 140억 5,200만 수배전반 전력설비 생산
제일일렉트릭 8,730 -0.11% 9억 2,100만 차단기 및 전기배선기구류 등 전기기기를 개발, 제조 및 판매업체. 일반배선기구, 스마트 배선기구, 차단기, 스마트분전반, 주택용 분전반, 전자접촉기/개폐기 등을 제조, 판매.
이삭엔지니어링 7,380 -0.27% 2억 1,800만 초고압 전력설비 예방진단 솔루션 공급.
에이텀 6,390 -0.31% 5,900만 전기 에너지 전환 역할을 하는 소형변압기인 트랜스를 주력 제품으로 사업을 영위 중
한국전력 25,100 -0.40% 476억 2,600만 국내 발전 및 송전사업을 책임지고 있는 공기업으로 전기판매, 원자력발전, 화력발전, 기타(발전소 설계 및 정비 등)사업을 영위.
효성중공업 438,500 -0.45% 149억 4,300만 변압기, 차단기, 전동기, 감속기 등 전력기기(중공업) 사업을 영위.
LS에코에너지 31,500 -0.47% 20억 200만 케이블 공급업 영위하는 종속회사의 지주사
LS ELECTRIC 179,400 -0.61% 288억 9,800만 LS그룹 계열의 전력기기 및 시스템 제조업체로, 전력사업(저압/고압기기, 계량기, 계전기, 초고압, 배전반, 진단, 철도시스템 등) 등을 영위.
비츠로테크 7,560 -0.79% 3억 3,100만 자동절환 개폐기, 진공차단기/저압차단기, 배전반 등을 생산하는 전력기기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광명전기 1,469 -1.14% 7억 9,500만 중전기 전문 제조업체로 수배전반 및 배전제어장치, 가스절연개폐장치(GIS) 등을 생산.
피앤씨테크 4,310 -1.15% 6,200만 전력계통의 배전분야에서 디지털전력기기를 생산하는 전력 IT 전문업체.
동양이엔피 19,960 -1.19% 1억 6,100만 전원공급장치 생산
일진전기 23,250 -1.27% 89억 7,200만 각종 전선(초고압전선, 중고압전선 등), 전력기기(개폐기, 변압기 등)를 제조, 판매하는 종합 중전기 제조업체.
HD현대일렉트릭 293,000 -1.51% 957억 1,200만 전력기기(변압기, 고압차단기 등), 회전기기(회전기, 저압전동기 등), 배전기기(배전반, 전력제어, 중저압차단기 등) 등을 생산
앱트뉴로사이언스 1,171 -1.51% 8억 9,600만 비상발전기 사업 등 영위.
산일전기 49,500 -1.79% 63억 5,600만 전력용 변압기와 배전용 변압기를 주로 제조하고 있으며, 이 중에서도 전력기기 시장 내에서 72kV까지의 전압을 다루는 배전 변압기 시장을 주요 목표시장으로 하고 있음
대원전선 2,815 -1.92% 115억 6,600만 전력 및 통신 케이블 제조. 전력 및 통신케이블(광케이블포함), 절연선(자동차전선포함) 등을 생산.
그리드위즈 18,380 -1.97% 92억 2,100만 전력 수요 관리 서비스 제공(DR)
제룡산업 5,950 -1.98% 24억 2,400만 금속 및 합성수지제품 제조 및 판매를 주 사업으로 영위. 주요제품으로 송ㆍ배전, 통신 및 철도전차선 금구류, 가공 및 지중배전 수지제품 등이 있음.
삼화전기 27,600 -2.13% 12억 2,000만 삼화전기의 'S-CAP'은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에서 요구하는 고신뢰성의 모든 특성을 만족시키며, 정전 시 데이터가 삭제되는 것을 방지. 전력 소비량을 절감시키는 역할을 하는 핵심 부품
제룡전기 31,350 -2.94% 59억 3,900만 변압기, 개폐기, GIS 제조 및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하는 업체. 주력 제품은 변압기.
바이오스마트 3,735 -8.12% 278억 6,000만 자회사인 티씨티가 초고압변압기 및 발전기용 동 구리 소재를 독과점

테마 포커스

유사 테마

관련 뉴스

  • 47분 전, 경인일보

    하남시장·한전 사장 만났지만 실마리 안풀리는 ‘동서울변전소’

    한전은 “33만 하남시민들이 매일 사용하는 모든 전기 역시 멀게는 400㎞ 떨어진 발전소로부터 수많은 경과지역을 거쳐 모두의 대승적 이해와 협조로 만들어진 것”이라며 “‘우리 지역에는 전력설비를 건설할 수 없다’라고 주장하는 모순된 태도는 일반적 상식으로 납득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뉴스 썸네일
  • 1시간 전, 이코노미톡뉴스

    [진단] 한전, 왜 공개 호소 나섰나?… "국민 부담 3000억 원 늘어"

    한전 측에 따르면 실제로 송전설비는 46년간 운영된 기존의 부지 내에서만 이뤄지며, 일부 선로는 땅속에 묻고, 변전소는 복합업무 건물로 조성하는 등... 여야 합의하고, 특별법까지 마련됐는데 특히 "전력설비는 우체국, 소방서처럼 공익 인프라로 봐야 한다"라면서 한전은 "국가 전력망 확충을 위한 특별법까지...

    뉴스 썸네일
  • 1시간 전, 부산일보

    [에너지 소식] 남부발전, 내부통제 고도화 위한 ‘시스템 개선 TF 킥오프...

    ◆한전KPS·부안군, 수소도시 조성사업 MOU 가스기술공사·한전KDN·전북TP와 ‘부안군 수소도시 조성’ 힘모아 발·송전설비 정비전문 공기업인 한전KPS(사장 김홍연)가 ‘부안군 수소도시 조성사업’의 세부사업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지난 23일 체결된 협약에는 한전KPS와 부안군을 비롯해...

    뉴스 썸네일
  • 1시간 전, 일렉트릭파워

    시행령 구체화로 전력망 특별법 실효성 확보해야

    송변전설비 구축 기간 대폭 단축 기대 포럼 발제를 맡은 이동일 법무법인 에너지 대표는 전력망 특별법 제정 의미와 기대효과를 설명했다. 이동일 대표는 "송전설비주변법 제정·시행에도 불구하고 지역사회 반발 등으로 송변전 구축 사업 초기부터 절차가 지연되는 상황이 반복됐고, 지자체 협조를...

    뉴스 썸네일
  • 5시간 전, 전자신문

    하남시, 행정심판 패소에도 동서울발전소 증설 '몽니'....한전 “국가적...

    한전은 “주민수용성 확보를 위해 7차례 이상의 설명회를 자발적으로 실시했고 이번 사업은 46년간 운영해온 기존 변전소 부지 내에서만 진행되기 때문에 주민생활권을 침해하지 않는단 사실을 주민분들께 지속해 설명해 드렸다”며 “전력를 단순히 설치만 하는 것이 아니라 직원들이 상시 근무하는...

    뉴스 썸네일
  • 6시간 전, e대한경제

    국익 외면하고, 법도 무시…하남시 ‘몽니 행정’에 국가전력망 또 지연

    기존 변전 설비를 옥내로 배치하고 잔여 부지에 500㎸급 HVDC 변환소를 건립하는 것인데, 아직 첫 삽조차 뜨지 못하고 있다. 동서울변전소가 조성되지 않으면 동해안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력의 수도권 운송에 심각한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다. 데이터센터ㆍAI(인공지능)ㆍ반도체 등 전력 수요는 날로 커지고...

    뉴스 썸네일
  • 6시간 전, 뉴스핌

    한전, '하남시 전력망 건설 허가' 호소…"요금 인상요인 연간 3000억 달해...

    주민 수용성에 대해서는 "7차례 이상의 설명회를 자발적으로 실시했고, 이번 사업은 46년간 운영해 온 기존 변전소 부지 내에서만 진행되기 때문에 주민 생활권을 침해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지속적으로 설명드렸다"며 "비용이 더 들더라도 송전선로 일부를 땅속으로 묻고, 야외 를 건물 안으로 옮기기로...

    뉴스 썸네일
  • 6시간 전, 글로벌이코노믹

    서부발전, ‘에너지 저소비·고효율구조 전환’ 공동선언...9개 협력사 ...

    서부발전과 참여사는 에너지 다소비·저효율 설비의 단계적 퇴출, 최신 기술과 방법 공유, 정부 정책에 부합하는 선도적 역할 수행, 에너지 절감 문화 확산 등 4대 실천 방안이 담긴 선언문에 서명했다. 이정복 서부발전 사장은 “에너지 고효율 구조로의 전환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필수 전략”이라며...

    뉴스 썸네일
  • 6시간 전, 연합인포맥스

    한전, 하남 동서울변전소 허가 호소…年 3천억 국민 부담 우려

    비용이 더 들더라도 송전선로 일부를 땅속으로 묻고 야외 설비를 건물 안으로 옮기기로 결정했고, '소음·경관 개선 상생협의체'를 구성해 건물 설계와 디자인도 주민들과 함께 고민 중이라고 부연했다. 업무겸용 복합사옥으로 만들어 상시 근로 직원까지 배치한다. 그만큼 전자파 걱정에 자신이 있다는...

    뉴스 썸네일
  • 10시간 전, 신소재경제신문

    중기중앙회-한전, 전기요금·E효율 해법 모색

    참석자들은 특히 핵심인력 장기재직 사업과 뿌리산업 공동설비 고효율기기 교체 지원사업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이어진 간담에서는 △개폐기 PT(변압기) 납품시험 절차 및 기준 개선 △군산항 해상풍력 중량물 부두 개발사업 지원 등 중소기업계 현안이 논의됐으며, 특히 ‘산업용 전기요금제도’가 핵심...

    뉴스 썸네일
더보기

실시간 테마 순위

자동차 부품 +17.47 %
전기자동차 부품 -17.47 %
초전도체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