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30 06:45 기준
종목명 | 현재가 | 등락률 | 거래대금(원) | 테마 포함 사유 |
---|---|---|---|---|
에이텀 | 7,750 | +12.97% | 0 | 전기 에너지 전환 역할을 하는 소형변압기인 트랜스를 주력 제품으로 사업을 영위 중 |
티씨머티리얼즈 | 4,660 | +5.79% | 0 | 구리 소재 가공 및 절연 기술 노하우를 바탕으로 전력 인프라 사업을 주력으로 영위 |
비츠로테크 | 8,430 | +3.82% | 0 | 자동절환 개폐기, 진공차단기/저압차단기, 배전반 등을 생산하는 전력기기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
LS | 177,600 | +2.54% | 0 | LS그룹의 지주회사. 전력기기 제조업체인 LS산전(주), LS전선(주)을 자회사로 보유. |
에이루트 | 1,735 | +2.36% | 0 | 전력공급기 및 전력변환기 제조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주요제품으로 무정전 전원장치(UPS), 정류기(SR포함), B/CH 등 다양한 전원공급 장치 및 전력변환 장치 생산 공급하고 있는 지오닉스(분기보고서 (2021.03) 기준 지분 99.94% 보유)를 자회사로 보유중. |
보성파워텍 | 4,020 | +1.64% | 0 | 전력산업 기자재 생산. 발전소, 변전소 철골 및 송배전 기자재 등 제조. 한국전력공사에 연간 매출이 집중됨. |
효성중공업 | 1,240,000 | +0.90% | 0 | 변압기, 차단기, 전동기, 감속기 등 전력기기(중공업) 사업을 영위. |
뉴인텍 | 500 | +0.40% | 0 | 고압 진상용 콘덴서 등 제조. |
LS ELECTRIC | 284,500 | +0.35% | 0 | LS그룹 계열의 전력기기 및 시스템 제조업체로, 전력사업(저압/고압기기, 계량기, 계전기, 초고압, 배전반, 진단, 철도시스템 등) 등을 영위. |
그리드위즈 | 18,830 | +0.32% | 0 | 전력 수요 관리 서비스 제공(DR) |
LS에코에너지 | 39,600 | +0.25% | 0 | 케이블 공급업 영위하는 종속회사의 지주사 |
금화피에스시 | 33,200 | -0.30% | 0 | 플랜트 건설 및 발전소 경상정비 사업 영위. 화력/원자력/조력발전소 설비 등의 기계설비 공사와 경상정비 공사에 주력. |
HD현대일렉트릭 | 492,500 | -0.30% | 0 | 전력기기(변압기, 고압차단기 등), 회전기기(회전기, 저압전동기 등), 배전기기(배전반, 전력제어, 중저압차단기 등) 등을 생산 |
앱튼 | 1,100 | -0.45% | 0 | 비상발전기 사업 등 영위. |
피앤씨테크 | 4,680 | -0.53% | 0 | 전력계통의 배전분야에서 디지털전력기기를 생산하는 전력 IT 전문업체. |
지투파워 | 8,870 | -0.67% | 0 | 수배전반 전력설비 생산 |
대한전선 | 15,670 | -0.70% | 0 | 국내 최초의 종합 전선제조업체. 전력 및 절연선, 나선 및 권선 등 제조. 초고압케이블, 통신케이블, Copper Rod 등을 생산. |
제일일렉트릭 | 9,850 | -0.71% | 0 | 차단기 및 전기배선기구류 등 전기기기를 개발, 제조 및 판매업체. 일반배선기구, 스마트 배선기구, 차단기, 스마트분전반, 주택용 분전반, 전자접촉기/개폐기 등을 제조, 판매. |
비츠로시스 | 394 | -0.76% | 0 | 전력자동화시스템, 배전반, 제어반, 전력설비에 대한 종합예방진단시스템(GIS, 변압기, 케이블, 모터 진단 등)등의 전력솔루션 공급 |
한전KPS | 50,300 | -0.79% | 0 | 한국전력공사 계열의 발전설비 정비 전문업체. |
가온전선 | 60,100 | -0.83% | 0 | LS그룹 계열사로 전력케이블 및 통신케이블을 생산하는 국내 3대 전선 전문 제조업체. |
제룡산업 | 6,620 | -0.90% | 0 | 금속 및 합성수지제품 제조 및 판매를 주 사업으로 영위. 주요제품으로 송ㆍ배전, 통신 및 철도전차선 금구류, 가공 및 지중배전 수지제품 등이 있음. |
키스트론 | 5,200 | -0.95% | 0 | 리드 와이어, 전기통신용 케이블 도체, 접지 연선 및 소선 제조,판매 하는 기업 |
광명전기 | 1,119 | -0.97% | 0 | 중전기 전문 제조업체로 수배전반 및 배전제어장치, 가스절연개폐장치(GIS) 등을 생산. |
LS머트리얼즈 | 9,880 | -1.00% | 0 | 전력 안정화를 위한 신제품 LS 울트라그리드(UltraGrid) 출하. 메가와트(MW)급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랙형 울트라커패시터 시스템으로 풍력·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전력 안정화를 위해 공급될 예정 |
일진전기 | 36,250 | -1.09% | 0 | 각종 전선(초고압전선, 중고압전선 등), 전력기기(개폐기, 변압기 등)를 제조, 판매하는 종합 중전기 제조업체. |
동양이엔피 | 21,600 | -1.37% | 0 | 전원공급장치 생산 |
산일전기 | 111,800 | -1.41% | 0 | 전력용 변압기와 배전용 변압기를 주로 제조하고 있으며, 이 중에서도 전력기기 시장 내에서 72kV까지의 전압을 다루는 배전 변압기 시장을 주요 목표시장으로 하고 있음 |
제룡전기 | 34,600 | -1.42% | 0 | 변압기, 개폐기, GIS 제조 및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하는 업체. 주력 제품은 변압기. |
이삭엔지니어링 | 6,950 | -1.56% | 0 | 초고압 전력설비 예방진단 솔루션 공급. |
대원전선 | 2,830 | -1.74% | 0 | 전력 및 통신 케이블 제조. 전력 및 통신케이블(광케이블포함), 절연선(자동차전선포함) 등을 생산. |
서전기전 | 3,300 | -1.79% | 0 | 수배전반 생산업체. 수전반, 배전반 설비 및 전력기기 생산. |
삼화전기 | 24,550 | -1.80% | 0 | 삼화전기의 'S-CAP'은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에서 요구하는 고신뢰성의 모든 특성을 만족시키며, 정전 시 데이터가 삭제되는 것을 방지. 전력 소비량을 절감시키는 역할을 하는 핵심 부품 |
바이오스마트 | 2,965 | -1.82% | 0 | 자회사인 티씨티가 초고압변압기 및 발전기용 동 구리 소재를 독과점 |
두산에너빌리티 | 61,700 | -1.91% | 0 | 기초소재인 주단조에서부터 원자력, 화력 등 발전설비, 해수담화 플랜트, 환경설비 등을 제작 및 공급. |
한국전력 | 36,350 | -2.02% | 0 | 국내 발전 및 송전사업을 책임지고 있는 공기업으로 전기판매, 원자력발전, 화력발전, 기타(발전소 설계 및 정비 등)사업을 영위. |
한전산업 | 12,450 | -2.05% | 0 | 검침사업(검침, 송달, 단전, 중계, 인터넷빌링 등)과 발전사업(연료,탈황,회처리 운전 및 정비 등) 등을 영위. 전력공급 및 소내 전력설비 구축 사업도 진행. |
위너스 | 12,230 | -2.24% | 0 | 배선시스템 전문기업으로 자동소화기능 및 트래킹 화재 방지용 멀티탭과 콘센트, 방수기능을 강화한 결로 방지 콘센트 등 다양한 제품을 시장에 공급 |
세명전기 | 10,840 | -2.87% | 0 | 송/배전선로 가설 및 전철선로용 금구류, 섬유직기용 섹셔날빔 등을 생산. 송/배/변전선로 가설용 금구류를 제조하여 한국전력공사 등에 공급. |
씨피시스템 | 1,720 | -4.44% | 0 | 전선 보호용 케이블 체인, 주로 케이블이 고정되어 있는 환경에 사용되는 플렉시블 튜브, 산업기계 컨트롤 판넬과 케이블을 연결하는 용도인 커넥터를 자체 제작하는 사업을 영위 |
지엔씨에너지 | 28,750 | -4.49% | 0 | 인터넷데이터센터(IDC, Internet Data Center)를 포함한 비상발전기 정보통신(IT) 부문 시장 점유율 70% 이상을 차지 |
전선
송전
원자력
대북/남북경협
7시간 전
재생에너지 437MW 접속지역 착수…접속지연 과다 지역 우선 배분
전력 설비 전자파 정보공개 확대 방안 등 재생에너지 수용력 확대를 위한 현장 중심 실행 과제를 중점 논의했다. 전력당국은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하여... 인·허가 지연 요소에 대해서는 개별 현안들에 대해 정부·한전 등이 공동으로 인허가 기관들과 소통하고, 설비증설을 위한 자재 조기 확보, 변전소 입지...
9시간 전
한전KPS, 국가품질혁신경진대회 서 '29년 연속' 대통령상 영예
전력설비 정비 전문기업인 한전KPS(사장 김홍연)가 산업통상자원부 주최 국가품질혁신경진대회(전국품질분임조경진대회)에서 29년 연속 대통령상을... 한전KPS 김홍연 사장은 "고품질·무결점 책임정비를 통해 발전설비의 안정과 안전을 책임지고, 고객 가치를 창출한 결과"라며 "앞으로도 과거의 영광에...
14시간 전, 이코노믹리뷰
"에너지 고속도로 따내라" 효성·LS, HVDC 독자 기술 각축전
LS일렉트릭은 지난 2014년 국내 유일 HVDC 변환설비 공급 사업자로 선정된 이후 북당진~고덕 HVDC 환설비 건설사업(2014~2024), 동해안-수도권 HVDC 변환설비 건설사업(2012~2026) 등 누적 수주액이 1조원을 넘어섰다. 그간 전류형 HVDC 기술력 부문에서 다양하게 쌓은 경험력을 바탕으로, LS일렉트릭은 최근 국내...
14시간 전, 아시아투데이
지난해 이어 올해도 'DC' 강조하는 한전…1년동안 어디까지 왔나
기존 통신국사의 냉방기·정류기 등 노후 AC 설비를 DC로 전환해 통신·오피스·홈 분야까지 DC 생태계를 확산시키겠다는 복안이다.한전은 내년까지 DC 기반 마련에 집중하고 2027년부터는 DC 생태계 구축 및 전주기 DC 활성화에 나서겠다는 목표다. 한전 관계자는 "독일의 ODCA, 네덜란드의 Current/OS와의...
21시간 전, 정책브리핑
재생에너지 437MW 접속지연 해소 추진, 인버터 성능기준 강화로 전력계통의 재생에너지 수용성 제고
재생에너지 437MW 접속지연 해소 추진,인버터 성능기준 강화로 전력계통의 재생에너지 수용성 제고- 접속지연 과다 지역 중심 437MW 지연물량 연내 해소에 박차- 인버터 성능기준 강화로 재생에너지 확대와 전력망 안정성 확보 병행- 지역단위 계통운영 역량 고도화, 전자파 정보공개 대폭 확대 산업통상자원부는 8월 29일(금)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2025년 제 2차 전력계통혁신포럼」을 개최하였다. 이번 포럼에는 국가기술표준원(이하 국표원), 한국전력공사(이하 한전), 전력거래소(이하 거래소), 전기안전공사(이하 전안공) 등 관계기관과 민간 전문가들이 함께 참여하여 ➀접속지연 지역 애로해소, ➁인버터 성능기준 강화, ➂지역 단위 계통 운영역량 강화, ➃전력 설비 전자파 정보공개 확대 방안 등 재생에너지 수용력 확대를 위한 현장 중심 실행 과제를 중점 논의하였다. ➀ 접속지연 지역 애로해소 → 애로지역 437MW 연내접속 목표 전력당국은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하여 사업자들의 접속 대기 현안 해소에 역점을 기울일 예정이다. 태양광 등 소규모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을 신청하였으나 전력망 부족으로 인해 접속 대기 중인 사업자의 현황을 지역별·시기별로 분석하고 접속지연 맞춤 해소 대책을 입체적으로 시행할 계획이다.인·허가 지연 요소에 대해서는 개별 현안들에 대해 정부・한전 등이 공동으로 인허가 기관들과 소통하고, 설비증설을 위한 자재 조기 확보, 변전소 입지 조기 확정 등을 통해 공사에 차질이 없도록 할 예정이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전북, 광주・전남, 대구・경북 등 지역 약 437MW의 시급한 접속 대기 물량이 올해 안으로 해소될 것으로 기대되며, 잔여 접속 대기 물량 역시 단계적으로 해소하는 데 총력을 다할 계획이다.➁ 인버터 성능기준 강화 → 전력계통의 재생에너지 수용성 제고 재생에너지 기반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위해서는 인버터의 지속운전성능* 강화가 필수적이다. 전력당국은 국표원, 한전, 거래소와 함께 연내 성능 규정을 개정하고, 신규 설비 및 기설 설비의 성능구비를 위해 제도적, 재정적 지원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 전력계통 고장으로 인한 전압, 주파수 변화에도 재생에너지가 정지 또는 전력망에서 탈락하지 않고 계속 운전 가능한 기능으로 저(고)전압/저(고)주파수 지속운전기능이 대표적 이번 개정 추진은 지금까지 개별 설비보호 관점에서 마련된 성능 규정 체계에서 과감히 탈피, 전력망 안정성 유지 차원으로 성능 규정 패러다임을 전면 전환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이를 통해 재생에너지와 같은 인버터 기반 설비의 수용성을 대폭 확대시키는 동시에 전력망의 안정적 운영 환경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➂ 기관간 계통정보 연계 지속확대 → 지역 단위 계통운영 역량 고도화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서는 계통 운영의 정확도 향상도 중요하다. 전력 당국은 송·배전망의 정밀한 관제운영과 신속한 출력제어 대응을 위하여 '24년부터 거래소, 한전, 전안공의 전력정보 연계를 추진 중이며, 지난 6월 1차 정보연계를 완료한 바 있다. 금년 내 배전망 제어 정보의 연계를 더욱 고도하는 2차 연계를 시행함으로써, 발전량 실측 정보의 활용도를 높이고 발전량 추정 정보의 정확도 역시 개선할 예정이다. 또한, 전안공이 보유한 자가용 태양광 설비정보 등 그간 전력망 운영시스템에서 실측 계량이 부족했던 발전설비에 대해서도 정보관리 체계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④ 전력설비 전자파 정보공개 확대 → 투명성에 기반한 수용성 개선 재생에너지 확대와 더불어 전력 설비에 대한 지역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도 함께 논의되었다. 한전은 전력 설비 전자파 발생 측정량과 발생 영향 등 상세 정보를 금년 내로 홈페이지에 투명하게 공개하여 전자파에 대한 우려를 완화해 나갈 계획이다. 포럼에 참석한 최연우 산업부 전력정책관은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서는 전력망 안정성 확보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하고, "계통 운영 및 관리자들의 통합 대응력 강화와 사업자들의 책임성 확대를 합리적으로 병행하겠다."라고 밝혔다.
1일 전, 동아일보
중공업-에너지업계 “해상풍력발전 우리가 선점”
정부가 추진 중인 대규모 해상풍력발전단지 건설 및 운영이 가시화되면서 관련 설비를 개발하는 중공업 및 에너지 업계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해상변전소는 해상풍력단지에서 생산된 전력을 육상으로 송전할 때 쓰이는 설비다. HD현대중공업이 이번에 개발한 500MW급 해상변전소는 14MW...
자동차 부품 | +17.47 % |
---|---|
전기자동차 부품 | -17.47 % |
초전도체 | 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