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6 03:05 기준
종목명 | 현재가 | 등락률 | 거래대금(원) | 테마 포함 사유 |
---|---|---|---|---|
서연탑메탈 | 3,550 | +1.72% | 3,300만 | 건설용 중장비 부품사업(CABIN) 영위. 건설용 중장비 부품인 굴삭기의 CABIN 등은 두산인프라코어, 볼보그룹코리아에 납품. |
전진건설로봇 | 37,400 | +1.49% | 144억 3,500만 | 콘크리트 펌프 건설기계 제조·판매업 등을 영위하며, 국내 최대 콘크리트 펌프카 제조 업체. 콘크리트 펌프카란 건설 현장에서 시멘트나 콘크리트를 펌프로 이동시켜 고층 타설 작업을 할 수 있게 하는 장비 |
CNT85 | 654 | +1.24% | 800만 | 환경시설 및 플랜트 설비 관련 설계, 시공 및 관련 기계 등의 제조및 판매, 필터프레스 제조 및 설치 등 사업을 영위 |
현대에버다임 | 8,690 | +0.93% | 33억 3,500만 | 굴삭기용 어태치먼트(브레이커 등), 타워크레인, 발전기 등의 유압기계사업 및 콘크리트펌프카 등 차량사업, 락드릴 등의 드릴사업, 굴삭기 휠로더 등의 중장비사업 영위. |
수산중공업 | 2,055 | +0.74% | 1억 6,300만 | 주요제품은 유공압기계사업부문의 유압브레이커와 크레인사업부문의 트럭크레인으로 국내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차지. |
혜인 | 5,090 | +0.20% | 2억 4,200만 | 세계 최대의 중장비 제조업체인 美 캐터필러를 비롯해 Metso, Jungheinrich, Vermeer 社의 한국내 독점 딜러 및 대리점. |
흥국 | 5,010 | -0.20% | 1억 1,400만 | 무한궤도식 굴삭기의 하부주행체에 들어가는 롤러(트랙롤러, 캐리어롤러) 및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는 형단조품을 생산. |
대모 | 9,230 | -0.22% | 4억 8,400만 | 굴삭기 어태치먼트인 유압브레이커, 퀵커플러 등 제조. |
대동금속 | 6,580 | -0.30% | 1억 2,200만 | 건설장비 부품 납품 |
진성티이씨 | 9,180 | -0.43% | 9억 5,000만 | 건설중장비 등의 무한궤도를 받쳐주는 하부주행체(Under-carriage)부품 중 상부 Roller, 하부 Roller, Front Idler(또는 Idler) 및 Sprocket 등 제품 생산. |
대창단조 | 5,100 | -0.78% | 2억 5,800만 | 중장비 부품 제조. 굴삭기 및 불도저용 중장비 하부주행체의 무한궤도부분인 링크, 로라, 슈 및 자동차 엔진 핵심부품인 크랑크샤프트 등 생산/판매. |
두산밥캣 | 47,100 | -1.57% | 190억 5,000만 | 종속회사들을 통하여 건설기계(Compact 건설기계, Portable Power 등) 제조업 영위. |
동일금속 | 8,060 | -1.71% | 8,100만 | 건설기계용 장비부품 생산. 크롤러 크레인용 부품은 미국, 일본으로 전량 수출. 굴삭기용 부품 국내 굴삭기업체 3사와 일본 제조업체 2개사에 공급. |
디와이파워 | 11,580 | -1.78% | 2억 2,700만 | 기존 동양기전에서 분할되어 설립된 회사. 유압실린더(굴삭기, 지게차, 고소작업차 등의 용도) 등 유공압기기 및 유공압기계 제조/판매. |
프리엠스 | 12,010 | -2.67% | 5억 800만 | 건설용 중장비 전장품과 자동제어기기 제조/판매. |
HD현대건설기계 | 63,800 | -3.92% | 132억 900만 | 기존 현대중공업에서 건설장비 사업이 인적 분할돼 재상장된 업체. 국내 상위 건설장비 업체로 주력제품은 중대형 굴삭기 등. |
HD현대인프라코어 | 7,200 | -4.38% | 135억 5,300만 | 두산그룹 계열의 국내 최대 종합기계회사로 건설기계, 엔진 등 생산/판매. |
우크라이나 재건
우크라이나 재건 - 건설
대북/남북경협
북한 광물
2시간 전, 이코노뉴스
HD현대사이트솔루션, 서울 모빌리티쇼 참가…"스마트 건설기계 기술 공...
HD현대의 건설기계 부문 중간지주사인 HD현대사이트솔루션은 오는 4월 4일부터 13일까지 열흘 간 경기도 킨텍스에서 열리는 2025 서울 모빌리티쇼에 참가한다고 5일 밝혔다. 건설기계 기업이 이 전시회에 참가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룹 건설기계 계열사의 브랜드인 '현대(HYUNDAI)'와 '디벨론...
11시간 전, 시사저널e
K건설기계, 북미시장 부활 전망에 시장 공략 강화
국내 건설기계 기업들이 북미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HD현대건설기계, HD현대인프라코어, 두산밥캣 등 건설기계 3사는 경기 둔화로 시장 조정을 겪고 있지만 현지 맞춤형 제품군 확대와 생산 거점 강화, 신규 고객 확보 등을 통해 돌파구를 찾고 있다. ◇美 건설산업협회 "건설기계 수요 올해 회복세...
11시간 전, 시사위크
HD현대, 서울 모빌리티쇼 출격한다… 건설기계 기업 최초
모터쇼와는 다소 거리가 있던 '건설기계'가 처음으로 참여하는 것이다. HD현대그룹의 건설기계부문 중간지주사인 HD현대사이트솔루션은 오는 4일부터 13일까지 킨텍스에서 개최되는 '2025 서울 모빌리티쇼'에 참가한다. '서울 모터쇼' 시절을 통틀어 건설기계 기업이 참여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1시간 전, 데일리카
HD현대, 건설기계로 ‘서울모터쇼’ 참가..배경은?
HD현대의 건설기계 부문 중간지주사인 HD현대사이트솔루션은 오는 4월 4일부터 13일까지 열흘 간 경기도 킨텍스에서 열리는 ‘2025 서울 모빌리티쇼’에 참가한다고 5일 밝혔다. 건설기계 기업이 이 전시회에 참가하는 것은 HD현대 건설기계 3사가 처음이다. 그룹 건설기계 계열사의 브랜드인...
11시간 전, AU경제
[아유경제_경제] HD현대인프라코어, 지난해 영업이익 1842억 원… 전년비...
매출은 글로벌 건설기계 시장의 긴축 장기화로 전년 대비 11.7%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건설기계 매출 감소와 판촉비, 물류비 등 변동비 증가에 따라 전년 대비 56% 하락했다. 건설기계 사업 부문은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감소했다. 금리 인하 지연과 선진시장인 북미ㆍ유럽 지역의 수요 부진이 이어지며 2조9723억...
13시간 전, 국제뉴스
HD현대, 건설기계로 '모터쇼' 참가한다
건설기계 기술력을 결집한 차세대 신모델도 국내에서 첫선을 보인다. HD현대의 건설기계 부문 중간지주사인 HD현대사이트솔루션은 오는 4월 4일부터 13일까지 열흘 간 경기도 킨텍스에서 열리는 '2025 서울 모빌리티쇼'에 참가한다고 4일 밝혔다. 건설기계 기업이 이 전시회에 참가하는 것은 HD현대...
13시간 전, 내일신문
건설 후방산업 건설기계시장도 휘청
건설산업 침체에 건설기계시장도 휘청였다. 건설 후방산업인 건설기계업은 건설사 줄도산 등으로 국내 건설시장이 회복되는데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 대표 건설기계 기업인 HD현대인프라코어 실적을 보면 국내 건설산업의 현주소를 파악할 수 있다. HD현대인프라코어는 4일 공시를 통해...
14시간 전, 시장경제신문
HD현대, 건설기계로 '모빌리티쇼' 참가… 차세대 신모델 첫 공개
HD현대, 서울 모빌리티쇼 데뷔 업계 최초 서울 모빌리티쇼 참가 모빌리티 산업 확장성 강조 건설기계 3사 협력, 차세대 모델 공개 [시장경제=박진철 기자] HD현대 차세대 신모델 티저 이미지. 사진=HD현대 건설기계가 '모빌리티쇼'에… HD현대, 산업 경계 허문다 HD현대가 글로벌 건설기계 기술력을 앞세워...
15시간 전, 비즈니스포스트
다올투자 "HD현대인프라코어 올해 공격적 매출 목표 제시, 목표주가 상...
특히 건설기계부문이 매출 6831억 원, 영업손실 370억 원을 거뒀다. 매출은 지난해 4분기보다 4% 감소했고 영업손실을 거두며 적자가 지속되고 있다. 엔진부문도 지난해 4분기 기준 순매출 2558억 원, 영업이익 262억 원을 거둬 2023년 4분기보다 매출은 4.7% 줄고 영업이익은 51% 증가했다. HD현대인프라코어는...
17시간 전, 아시아투데이
"HD현대인프라코어, 4분기 '어닝쇼크'…올해 반등 기대"
매출 감소·영업적자 전환, 글로벌 건설기계 시장 침체 영향 올해 매출 4조8000억원·영업이익 2335억원 목표…반등 전망 신한투자증권은 5일 HD현대인프라코어에 대해 2024년 4분기 실적이 예상보다 부진했다며 업황 둔화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올해는 글로벌 건설경기 회복이 기대되면서 반등...
자동차 부품 | +17.47 % |
---|---|
전기자동차 부품 | -17.47 % |
초전도체 | 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