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8 23:26 기준
종목명 | 현재가 | 등락률 | 거래대금(원) | 테마 포함 사유 |
---|---|---|---|---|
CNT85 | 722 | +2.27% | 3,000만 | 환경시설 및 플랜트 설비 관련 설계, 시공 및 관련 기계 등의 제조및 판매, 필터프레스 제조 및 설치 등 사업을 영위 |
HD현대건설기계 | 67,000 | +0.60% | 54억 1,500만 | 기존 현대중공업에서 건설장비 사업이 인적 분할돼 재상장된 업체. 국내 상위 건설장비 업체로 주력제품은 중대형 굴삭기 등. |
혜인 | 5,070 | +0.40% | 2억 5,400만 | 세계 최대의 중장비 제조업체인 美 캐터필러를 비롯해 Metso, Jungheinrich, Vermeer 社의 한국내 독점 딜러 및 대리점. |
디와이파워 | 11,860 | +0.17% | 1억 6,000만 | 기존 동양기전에서 분할되어 설립된 회사. 유압실린더(굴삭기, 지게차, 고소작업차 등의 용도) 등 유공압기기 및 유공압기계 제조/판매. |
진성티이씨 | 9,010 | 0.00% | 7억 5,000만 | 건설중장비 등의 무한궤도를 받쳐주는 하부주행체(Under-carriage)부품 중 상부 Roller, 하부 Roller, Front Idler(또는 Idler) 및 Sprocket 등 제품 생산. |
HD현대인프라코어 | 8,130 | -0.37% | 42억 6,800만 | 두산그룹 계열의 국내 최대 종합기계회사로 건설기계, 엔진 등 생산/판매. |
수산세보틱스 | 1,861 | -0.64% | 7,900만 | 주요제품은 유공압기계사업부문의 유압브레이커와 크레인사업부문의 트럭크레인으로 국내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차지. |
두산밥캣 | 46,050 | -0.65% | 44억 3,400만 | 종속회사들을 통하여 건설기계(Compact 건설기계, Portable Power 등) 제조업 영위. |
서연탑메탈 | 3,685 | -0.81% | 3,900만 | 건설용 중장비 부품사업(CABIN) 영위. 건설용 중장비 부품인 굴삭기의 CABIN 등은 두산인프라코어, 볼보그룹코리아에 납품. |
흥국 | 5,130 | -0.97% | 1억 5,900만 | 무한궤도식 굴삭기의 하부주행체에 들어가는 롤러(트랙롤러, 캐리어롤러) 및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는 형단조품을 생산. |
동일금속 | 7,900 | -1.13% | 4,800만 | 건설기계용 장비부품 생산. 크롤러 크레인용 부품은 미국, 일본으로 전량 수출. 굴삭기용 부품 국내 굴삭기업체 3사와 일본 제조업체 2개사에 공급. |
대동금속 | 6,420 | -1.38% | 2,700만 | 건설장비 부품 납품 |
현대에버다임 | 8,660 | -1.48% | 12억 | 굴삭기용 어태치먼트(브레이커 등), 타워크레인, 발전기 등의 유압기계사업 및 콘크리트펌프카 등 차량사업, 락드릴 등의 드릴사업, 굴삭기 휠로더 등의 중장비사업 영위. |
프리엠스 | 10,100 | -1.56% | 5억 2,400만 | 건설용 중장비 전장품과 자동제어기기 제조/판매. |
대모 | 8,100 | -1.58% | 2억 5,700만 | 굴삭기 어태치먼트인 유압브레이커, 퀵커플러 등 제조. |
대창단조 | 5,010 | -1.96% | 1억 4,500만 | 중장비 부품 제조. 굴삭기 및 불도저용 중장비 하부주행체의 무한궤도부분인 링크, 로라, 슈 및 자동차 엔진 핵심부품인 크랑크샤프트 등 생산/판매. |
전진건설로봇 | 47,250 | -2.68% | 48억 3,200만 | 콘크리트 펌프 건설기계 제조·판매업 등을 영위하며, 국내 최대 콘크리트 펌프카 제조 업체. 콘크리트 펌프카란 건설 현장에서 시멘트나 콘크리트를 펌프로 이동시켜 고층 타설 작업을 할 수 있게 하는 장비 |
우크라이나 재건
우크라이나 재건 - 건설
대북/남북경협
북한 광물
32분 전
HD현대건설기계 1분기 매출 9068억원, 영업이익 417억원… 전년동기 대비...
HD현대건설기계는 28일 공시를 통해 올 1분기 매출 9068억원, 영업이익 417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인도와 브라질 등 주력 신흥시장에서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갔지만, 선진시장의 수요 회복이 지연되며 전년 동기 대비 7.4%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22.3% 줄었다. 지역별로는 인도와 브라질, 중국...
5시간 전, 조선비즈
HD현대건설기계, 1분기 영업익 417억원… 전년比 22.3% 감소
HD현대의 건설기계 계열사 HD현대건설기계는 올해 1분기에 매출액 9068억원, 영업이익 417억 원을 기록했다고 28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7.4%, 22.3% 줄어든 수치다. 인도, 브라질, 중국 등 신흥 시장에서는 매출이 늘었으나 북미와 유럽에서는 수요 회복이 지연됐다. 인도와 브라질은 정부 주도 공공...
5시간 전, 비즈니스포스트
HD현대건설기계 1분기 영업이익 23.3% 감소, 선진시장 수요 회복 지연
HD현대건설기계가 미국을 포함한 선진시장에서 수요 회복이 지연돼 1분기 영업이익이 감소했다. HD현대건설기계는 2025년 1분기 연결기준 매출 9068억 원, 영업이익 417억 원을 낸 것으로 잠정집계됐다고 28일 공시했다. 설명 2024년 1분기보다 매출은 7.4%, 영업이익은 23.3%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주력...
5시간 전, 비즈니스워치
HD현대건설기계·인프라코어, 이익 20%대 동반 후진
HD현대그룹 양대 건설기계회사인 HD현대건설기계와 HD현대인프라코어의 지난 1분기 영업이익이 나란히 20%대 감소했다. 전략지역인 북미와 유럽에서 건설기계 성장세가 꺾이면서다. 28일 HD현대건설기계는 지난 1분기 매출이 9068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7.4% 줄었다고 공시했다. 이 기간 영업이익은...
5시간 전, 한국금융
HD현대건설기계 "러시아 재건시 연 매출 5800억 늘어날 것"
HD현대건설기계(대표이사 최철곤) 올해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감소한 가운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결 이후 러시아 재건 수요가 본격화될 시 연간 매출이 5800억원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HD현대건설기계는 28일 2025년 1분기 실적 콘퍼런스콜에서 올 1분기 매출 9068억원, 영업이익 417억원을...
5시간 전, 한국경제
HD현대건설기계, 1분기 영업익 417억…전년비 22.3% 감소
HD현대건설기계는 올해 1분기 매출 9068억원, 영업이익 417억원을 기록했다고 28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와 비교해 7.4%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22.3% 줄었다. HD현대건설기계는 매출은 인도와 브라질 등 주력 신흥시장에서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갔으나, 선진시장의 수요 회복이 지연됐다고 설명했다. 지역별로는...
5시간 전, 서울경제
HD현대건설기계, 1분기 417억원 흑자…매출·영익 동반 하락
HD현대건설기계(267270)는 올해 1분기 매출 9068억원, 영업이익 417억원을 기록했다고 28일 밝혔다. 지난해 동기와 비교해 매출은 7.4%, 영업이익은 22.3% 감소했다. HD현대건설기계는 "인도와 브라질 등 주력 신흥시장에서 탄탄한 성장세를 이어갔으나 북미, 유럽 등 선진 시장에서 수요 회복이 지연된 데 영향을...
5시간 전, 브릿지경제
HD현대건설기계, 1Q 영업익 417억⋯ 전년比 22.3%↓
HD현대건설기계는 올해 1분기 매출 9068억원, 영업이익 417억원을 기록했다고 28일 밝혔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7.4%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22.3% 급감했다.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44% 줄어든 257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회사 측은 “인도와 브라질 등 주력 신흥시장에서 매출의 성장세가 있었으나...
5시간 전, 미디어펜
HD현대건설기계, 1분기 영업이익 417억원…전년대비 22.3% ↓
HD현대건설기계는 1분기 영업이익 417억 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22.3% 감소했다고 28일 밝혔다. 1분기 매출은 9068억 원으로 지난해보다 7.4% 줄었다. HD현대건설기계의 80톤급 초대형굴착기./사진=HD현대건설기계 제공 인도와 브라질 등 주력 신흥시장에서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갔으나 선진시장의 수요 회복이...
5시간 전, 한국경제 TV
HD현대건설기계, 1분기 영업익 417억원...22% 감소
HD현대건설기계가 올해 1분기 매출 9,068억 원, 영업이익 417억 원을 기록했다고 28일 밝혔다. 매출은 인도와 브라질 등 주력 신흥시장에서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갔으나, 선진시장의 수요 회복이 지연되며 전년 동기 대비 7.4%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22.3% 줄었다. 지역별로는 인도와 브라질, 중국 시장에서 실적...
자동차 부품 | +17.47 % |
---|---|
전기자동차 부품 | -17.47 % |
초전도체 | 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