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2 05:22 기준
종목명 | 현재가 | 등락률 | 거래대금(원) | 테마 포함 사유 |
---|---|---|---|---|
아이컴포넌트 | 5,440 | +2.64% | 0 | 플랙시블 OLED용 차단성 필름 생산. |
APS | 5,370 | +1.90% | 0 | 자회사 APS머티리얼즈, OLED용 FMM(파인메탈마스크) 생산 |
신화인터텍 | 1,760 | +1.79% | 0 | OLED 패널 부품인 블랙차광 테이프 생산 및 2차 가공 |
아바텍 | 8,440 | +1.69% | 0 | 디스플레이 패널 코팅 식각 사업 영위. |
풍원정밀 | 13,370 | +1.52% | 0 | OLED용 FMM 생산 |
핌스 | 1,661 | +1.47% | 0 | OLED 디스플레이 메탈 마스크 생산. |
LX세미콘 | 56,900 | +1.43% | 0 | OLED TV용 드라이버 IC 제조. LG와 애플에 납품. |
이녹스 | 7,460 | +1.22% | 0 | OLED TV용 봉지재료 필름생산. |
와이엠씨 | 3,560 | +1.14% | 0 | 디스플레이 부품 업체. OLED 소재 개발. |
삼성물산 | 123,000 | +0.99% | 0 | OLED 발광층 핵심소재 생산. |
이엔에프테크놀로지 | 26,000 | +0.97% | 0 | 반도체소재, 디스플레이 소재인 프로세스 케미칼 생산 판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디스플레이에 납품. |
이녹스첨단소재 | 23,850 | +0.42% | 0 | OLED용 봉지재 공급 |
아나패스 | 19,360 | +0.36% | 0 | OLED TV용 T-CON부품 개발. |
탑런토탈솔루션 | 8,420 | +0.12% | 0 | 열을 분산시키는 핵심 부품인 'OLED 플레이트'를 개발 예정 |
제이엠티 | 2,260 | 0.00% | 0 | OLED 패널용 PBA(Printed Board Assembly) 생산. |
덕산네오룩스 | 31,350 | 0.00% | 0 | OLED소재사업 담당. 폴더블폰에 들어가는 OLED소재생산. AMOLED,HTL(정공수송층). 삼성디스플레이에 납품. |
LB세미콘 | 3,310 | -0.15% | 0 | OLED TV 에 들어가는 DDI(구동회로칩) 생산. LG그룹의 방계그룹 |
에스켐 | 5,150 | -0.19% | 0 | 국내 최대 디스플레이 패널 업체를 최종 고객사로 두고, OLED 디스플레이의 다양한 유기층 소재(발광층, 발광보조층, 공통층)를 공급 |
스킨앤스킨 | 882 | -0.23% | 0 | OLED 소재, 승화정제장비 제조. HTL(정공수송총), 그린호스트에 주력. |
우리넷 | 6,980 | -0.57% | 0 | OLED 소재 공급 |
코리아써키트 | 10,360 | -0.86% | 0 | OLED 패널용 MLB(다층인쇄회로기판) 생산. |
램테크놀러지 | 3,790 | -1.17% | 0 | 디스플레이, 반도체 제조용 소재 제조.OLED 공정용 마스크 세정액 생산. |
국전약품 | 3,155 | -1.25% | 0 | QD OLED AR 필름 소재 및 폴더블용 소재 상용화 확정 |
PI첨단소재 | 16,410 | -1.26% | 0 | OLED Display 패널용 PI(폴리이미드) 생산. |
프로이천 | 2,080 | -1.42% | 0 | OLED검사용 핀보드, ICP 등 제조 |
에이치엔에스하이텍 | 17,330 | -1.53% | 0 | 이방성전도필름(ACF) 및 주파수 관련 전자부품기업으로 TV·모니터·휴대폰과 같은 디스플레이 제품에 핵심 소재로 사용 |
에스앤에스텍 | 33,250 | -1.63% | 0 | 반도체 필수소재인 블랭크 마스크 제조사. 삼성디스플레이, 중국기업인 고마진에게 납품. |
원익머트리얼즈 | 19,600 | -1.95% | 0 | 디스플레이, 반도체 제조용 특수가스 제조. 삼성에 납품 |
솔브레인홀딩스 | 31,650 | -2.01% | 0 | 디스플레이, 반도체용 화학 소재업체. |
제이아이테크 | 3,395 | -2.30% | 0 | OLED 소재인 쿼츠,블랭크,포토마스크용 보관케이스 제조 및 판매 |
한켐 | 8,860 | -2.42% | 0 | 탄소화합물 첨단소재 합성 개발·제조 기업으로, 고객사 요구에 따라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소재를 연구·개발해 생산하는 사업 영위 |
오디텍 | 3,205 | -2.44% | 0 | 열과 습도에 안정적으로 성능을 유지하는 양자점 개발 |
이엠앤아이 | 1,187 | -2.94% | 0 | OLED 유기 재료 제조 및 판매 |
아이씨에이치 | 2,835 | -3.41% | 0 | 메인일렉콤의 폴리우레탄 사업 양수 계약을 체결해 OLED용 복합소재 사업 진출. |
덕산테코피아 | 20,950 | -3.90% | 0 | OLED 디스플레이, 반도체 공정 핵심소재 개발 생산. 첨단산업 핵심소재 전문 기업. |
솔루스첨단소재 | 8,070 | -4.16% | 0 | 디스플레이용 소재 생산. |
필옵틱스 | 31,250 | -4.58% | 0 | OLED 제조공정장비인 레이저 응용장비 제작. |
코오롱인더 | 30,150 | -4.74% | 0 | 폴더블 디스플레이 부품인 윈도우 커버용 CPI필름 개발 생산. |
피엔에이치테크 | 5,690 | -5.01% | 0 | OLED 소재, OLED 소재 합성에 필요한 촉매, 원료 등을 제조, 판매하는 업체. 주요 사업으로 OLED 특허소재개발사업, 공동기술개발 및 양산화 사업, OLED 원료공급사업 등을 영위. |
동진쎄미켐 | 28,150 | -5.85% | 0 | OLED 포토레지스트용 안료 공급 |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LCD
LCD 부품/소재
반도체 재료/부품
2일 전
솔루스첨단소재, OLED 소재 사업부 매각 검토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소재 사업부 매각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주력 사업인 전지박에 집중하기 위해 사업 구조를 재편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이 회사는 앞서 룩셈부르크 소재 동박 자회사 서킷포일룩셈부르크(CFL) 매각을 추진 중인데, 사업부까지 정리할 경우 투자 여력을 더욱...
8일 전, 한국강사신문
김성각 카이스트 명예교수, 성균관대에 (주)한켐 주식 1만1천주 기부
KAIST 분자설계 및 합성연구센터(CMDS-SRC)가 기술 투자한 (주)한켐은 1999년 창업이후 유기합성기술을 기반으로 OLED 소재 등 첨단화학 소재 분야에서 고객 맞춤형 개발생산(CRO/CDMO)을 선도해온 기업으로 지난해 10월 성공적으로 코스닥 상장을 마친 바 있다. 김성각 교수는 KAIST 교수 재직 시절...
8일 전
김성각 KAIST 명예교수, 성균관대에 (주)한켐 주식 1만1000주 기부
이 연구센터의 기술 투자로 설립된 (주)한켐은 1999년 창업 이후 OLED 소재 등 첨단화학 분야에서 맞춤형 소재 개발과 생산(CRO/CDMO)을 선도해왔으며, 지난해 10월 코스닥에 성공적으로 상장된 바 있다. 성균관대 화학과 유찬모 명예교수와 함께 오랜 기간 공동연구를 진행해온 인연이 이번 기부의 배경이 됐다....
9일 전, 현대경제신문
반도체 재료·부품 관련주, '함박웃음' 3S·메가터치·마이크로투나노
덕산테코피아는 반도체용 증착소재(Precursor) 및 합성수지용 고분자 촉매 등 전자재료 소재 합성 OLED의 핵심구성요소인 유기재료와 반도체 전자재료 등 화학제품을 전문적으로 생산하고 있다. 주요 제품인 HCDS는 반도체 제조에 필수적인 소재로 국내외 소수 업체들이 생산·공급하고 있다. 미코는 반도체...
9일 전
김성각 KAIST 명예교수, 성균관대에 (주)한켐 주식 1만1천주 기부
KAIST 분자설계 및 합성연구센터(CMDS-SRC)가 기술 투자한 (주)한켐은 1999년 창업이후 유기합성기술을 기반으로 OLED 소재 등 첨단화학 소재 분야에서 고객 맞춤형 개발생산(CRO/CDMO)을 선도해온 기업으로 지난해 10월 성공적으로 코스닥 상장을 마친 바 있다. 김성각 교수는 KAIST 교수 재직 시절...
9일 전, 아시아타임즈
[2일 대학가] 고려대·동국대·성균관대·세종대
KAIST 분자설계 및 합성연구센터(CMDS-SRC)가 기술 투자한 ㈜한켐은 1999년 창업이후 유기합성기술을 기반으로 OLED 소재 등 첨단화학 소재 분야에서 고객 맞춤형 개발생산(CRO/CDMO)을 선도해온 기업으로 지난해 10월 코스닥 상장을 마쳤다. 김 교수는 KAIST 교수 재직 시절, 분자설계합성연구센터를 유치하며...
9일 전
김성각 KAIST 명예교수, 성균관대에 (주)한켐 주식 1만1000주 기부
KAIST 분자설계 및 합성연구센터(CMDS-SRC)가 기술 투자한 (주)한켐은 1999년 창업이후 유기합성기술을 기반으로 OLED 소재 등 첨단화학 소재 분야에서 고객 맞춤형 개발생산(CRO/CDMO)을 선도해온 기업으로 지난해 10월 성공적으로 코스닥 상장을 마친 바 있다. 김성각 교수는 KAIST 교수 재직 시절...
9일 전, 이뉴스투데이
성균관대, KAIST 김성각 명예교수, '화학과발전기금' (주)한켐 주식 1만...
기부 대상인 ㈜한켐은 1999년 KAIST 분자설계 및 합성연구센터(CMDS-SRC)의 기술 투자로 설립된 기업으로, 유기합성기술을 바탕으로 OLED 소재 등 첨단 화학 소재 분야에서 고객 맞춤형 개발·생산(CRO/CDMO)을 선도하고 있다. 지난해 10월에는 코스닥에 성공적으로 상장하며 기술력을 입증받았다. 김성각...
자동차 부품 | +17.47 % |
---|---|
전기자동차 부품 | -17.47 % |
초전도체 | 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