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7 10:21 기준
| 종목명 | 현재가 | 등락률 | 거래대금(원) | 테마 포함 사유 |
|---|---|---|---|---|
| 큐리언트 | 21,250 | +2.91% | 17억 1,900만 | 면역항암/내성암 치료제 Q702 프로그램은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및 리드 디스커버리 센터에서 선도 물질을 기술 도입하여 최적화, 후보물질 선정, 광범위 특허권 확보를 진행하였으며 비임상 개발 중임. |
| 더코디 | 2,735 | +0.74% | 3,300만 | 차세대 면역 항암제 CAR-T 개발 중인 美 기업 페프로민바이오 지분 보유. |
| 오름테라퓨틱 | 50,600 | +0.60% | 44억 4,500만 | '표적단백질분해제(Targeted Protein Degradation, TPD)'에 대해 연구개발(R&D)을 진행하고 있는 국내 대표적인 바이오텍으로 대표 플랫폼은 'TPD²(Dual-Precision Targeted Protein Degradation)'. TPD²는 오름테라퓨틱이 세계 최초로 TPD를 항체에 결합한 '항체분해약물접합체(DAC)'. |
| 엠투엔 | 1,843 | +0.27% | 3,000만 | 신라젠 지분 보유 |
| 압타바이오 | 7,160 | +0.14% | 2억 800만 | 'CAF Modulation 플랫폼' 기반으로는 면역항암제 파이프라인 개발중 |
| 티움바이오 | 8,320 | -0.60% | 18억 6,900만 | 희귀/난치성 질환 치료제 연구개발사업 영위. 저분자 합성 신약 창출 시스템과 유전자재조합 의약품 중 단백질 의약품에 대한 신약 창출 시스템을 보유. 저분자 합성신약으로서 NCE401(특발성 폐섬유증, 면역항암제) 등의 프로그램을 연구 개발 중. 면역항암제 후보 ‘TU2218’ 정부 임상 지원 과제 선정 |
| 유한양행 | 113,800 | -0.61% | 107억 5,900만 | 에이비엘바이오와 면역항암제 이중항체(2종)에 대한 라이선스 계약 체결. 자회사 이뮨온시아, 면역항암제 'IMC-001' 개발 중.에이비엘바이오로 기술수입한 면역항암제 이중항체 후보물질인 'YH32367(ABL105)'가 식약처에 임상계획 승인 |
| 안국약품 | 7,750 | -0.64% | 8,300만 | 2016년9월 와이바이오로직스로부터 면역항암치료제 도입 계약 체결. 면역항암제 AG-B1622 등을 파이프라인으로 보유. |
| 바이젠셀 | 3,235 | -1.37% | 2,700만 | NK/T세포 림프종, 급성골수성백혈병, 교모세포종 면역항암 치료제 개발 및 치료목적 사용승인 |
| 이뮨온시아 | 5,670 | -1.39% | 12억 4,200만 | 면역항암제 등 항체, 이중항체 연구개발(R&D) 전문기업, 2021년 중국 3D메디슨에 CD47 타깃 면역항암제 신약 후보물질 'IMC-002'를 기술 이전 |
| 한올바이오파마 | 46,650 | -1.48% | 203억 1,800만 | 자가면역질환, 안구건조증, 면역항암 치료제 등의 바이오 신약 개발을 진행. 면역항암제 HL186/187을 파이프라인으로 개발 중. |
| 에이비엘바이오 | 102,800 | -1.53% | 226억 3,000만 | 이중항체 기술 기반 바이오의약품 개발사업 영위. 이중항체 기반 기술, 면역관문(Immune checkpoint) 조절 및 항암 관련 신규 타겟의 발굴 및 검증 기술, 혈액뇌관문 통과능을 향상시킨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개발 기술을 중심으로 바이오 신약 개발. 신생혈관 억제 항암항체/암특이 단독 항암항체, T 세포 관여 이중항체, 면역 항암제 이중항체, 신규 면역 항암항체 등을 개발 중. 유한양행과 이중항체 면역항암제 개발 및 상업화를 공동으로 추진. 면역항암제 후보물질이 미국에서 희귀의약품 지정. ABL001 임상 1b에서 담도암, 췌장암 효과 확인 |
| 앱클론 | 21,800 | -1.58% | 13억 6,000만 | 유한양행과 공동 개발중인 프로젝트에서 면역항암제 후보물질인 'YHC2101'을 도출. 면역항암제 CAR-T 계열의 항암제 개발. |
| 인콘 | 280 | -1.75% | 3,300만 | 美 면역항암제 기업 이뮤노멧테라퓨틱스 지분 보유. 이뮤노멧테라퓨틱스는 대사항암제 IM156과 면역 항암 물질 IM188의 임상 시험 진행중. |
| CG인바이츠 | 1,478 | -1.86% | 1억 900만 | 에이치엘비생명과학과 면역항암제 공동 임상개발 |
| 차바이오텍 | 12,110 | -1.86% | 9억 7,400만 | 美 바이오 기업 소렌토와 항암 면역세포치료제 개발을 목적으로 국내에 합작사를 설립. |
| 헬릭스미스 | 4,900 | -1.90% | 2억 6,200만 | Her2/neu를 과발현하는 유방암, 위암, 췌장암 등의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항암 치료 백신 'VM206' 한국 임상 1상 완료. 항암치료로 인해 발생하는 혈소판 감소증을 치료하기 위한 항암 보조 치료제 'VM501' 중국 임상3상 진행중. 미래창조과학부 주관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암세포 특이적인 신규 CAR-T 치료제 개발) 수행(기간 16년5월~18년12월). |
| 영진약품 | 1,995 | -1.97% | 6억 3,400만 | KT&G계열 제약업체. 표적항암제(YPN-005) 및 면역항암제(YPN-006) 개발 연구중. |
| 신라젠 | 2,800 | -2.10% | 7억 4,800만 | 차세대 항암치료제 연구개발/제조사업 영위. 면역항암제 펙사벡(Pexa-Vec) 글로벌 임상 3상 진행중. 펙사벡과 면역관문억제제의 병용치료법 개발 및 적응증 확대, 차세대 항암 바이러스의 개발도 진행중. 유사분열 관문 억제제(MCI) ‘BAL0891’ 임상 1상 환자 등록 |
| 셀리드 | 3,340 | -2.20% | 3억 3,400만 | 연구 중심의 항암면역치료백신 개발 전문 바이오벤처기업. CeliVax 원천기술을 이용한 BVAC 파이프라인 제품의 개발 및 임상연구를 통해 면역항암치료제 개발 중. 주요 파이프라인은 BVAC-C(자궁경부암, 두경부암, 항문암, 성기암 등), BVAC-B(위암, 유방암 등), BVAC-P(전립선암, 뇌종양 등), BVAC-M(흑색종, 폐암, 대장암, 췌장암 등) 등이 있음. |
| 압타머사이언스 | 817 | -2.39% | 5,600만 | ‘CD25-ApDC 면역항암제’가 국가신약개발사업 신약기반확충 연구과제에 선정 |
| 이수앱지스 | 4,800 | -2.64% | 5억 1,800만 | 면역항암 치료제 옵디보의 바이오시밀러 'ISU106' 개발 진행 중. |
| 지아이이노베이션 | 15,350 | -2.66% | 17억 9,100만 | 이중융합단백질 신약 개발 / 관계사 지아이바이옴, 항암마이크로바이옴 개발 |
| 오스코텍 | 46,750 | -2.91% | 39억 300만 | 면역항암제와 병용투여가 가능한 AXL 저해제 SKI-G-801를 파이프라인으로 보유. 종속회사 GENOSCO가 항암제, 면역항암제 및 폐섬유화 치료제 개발 중. |
| 박셀바이오 | 9,780 | -2.98% | 6억 800만 | 항암면역치료제 연구개발사업 영위. 주요 파이프라인은 Vax-NK 자연살해세포 항암면역치료제 플랫폼(간세포암)과 Vax-DC 수지상세포 항암면역치료제 플랫폼(다발골수종), Vax-CAR 시리즈 차세대 첨단 항암면역치료제 플랫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반려견 전용 항암면역치료제로 사이토카인 기반의 박스루킨-15 제품 보유.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Vax-NK/HCC 임상 2a상 연구의 NK(자연살해세포)세포 제조방법 변경 승인. 와이바이오로직스와 고형암 표적 CAR-T 세포 치료제 특허 공동 출원. 반려견 전용 차세대 항암면역 치료제 개발 참여. NK세포 선택적 증폭, 대량 생산 특허 기술 이전 받음. 미국학회에서 간암 치료제 Vax-NK·HCC 예비연구결과 발표 |
| 유틸렉스 | 1,387 | -3.14% | 2,800만 | 면역항암 세포치료제와 면역항암 항체치료제 사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 차세대 면역 기반 항암제인 T 세포 치료제(EBViNT, WTiNT, TERTiNT, NYESOiNT) 임상 성과 발표. 항체치료제(EU101, EU102, EU900) CAR T 세포 치료제(MVR CAR-T, 고형암 CAR-T) 개발. 항체치료제 'EU103' 임상 준비. 항체 치료제 ‘EU101’의 글로벌 임상 1·2상에서 저용량 투약으로 항암 효과 확인. 고형암 CAR-T 후보물질 ‘EU307’ 임상 1상 시험계획서 신청. 항체 치료제 'EU101'의 일본 특허에 대한 권리 항목 확대. ‘EU103’ 임상 1상 IND 신청 |
| 큐로셀 | 40,200 | -3.25% | 6억 1,300만 | CAR-T 치료제 및 면역항암제 개발 |
| 메드팩토 | 4,790 | -3.91% | 4억 8,300만 | 면역항암제 신약 개발사업 영위. 주력제품인 백토서팁은 종양미세환경 조절과 관련된 TGF-β를 표적으로 하는 혁신 신약으로, 미국과 한국에서 3건의 단독 투여(진행성 고형암에서 용량 확장시험, 약동학에 대한 식이 영향 연구, 골수이형성증후군)와 6건의 병용투여 임상시험(다발성골수종, 비소세포폐암, 위암, 위암/대장암, 데스모이드암, 췌장암)이 종료 또는 순조롭게 진행 중. |
| 네오이뮨텍 | 572 | -4.35% | 2억 6,700만 | T세포 중심의 차세대 면역항암제를 개발하는 생명공학업체. 대표 신약인 NT-I7(rhIL-7-hyFc 기술)은 T 세포 증폭(Amplification) 기능을 보유한 First-in-Class 차세대 면역항암제로 임상1b/2a 진행 중.NT-I7 임상2상 계획 FDA 승인. 뇌암 환자를 대상으로 미국 머크의 면역관문억제제 ‘키트루다’와 자사의 T세포 증폭제 ‘NT-I7’을 병용하는 임상 2상(NIT-120) 시험계획이 미국 FDA에서 승인. 교모세포종(뇌암의 일종)에 대해 美 FDA 희귀의약품 지정. 특발성 CD4 림프구감소증 물질 NT-I7 미국 FDA의 임상시험계획(IND) 승인 |
| 동아에스티 | 50,900 | -4.50% | 7억 1,200만 | 美 애브비 바이오테크놀로지에 면역항암제 신약 후보물질 기술수출. |
| 지씨셀 | 24,000 | -4.57% | 6억 4,100만 | 녹십자그룹 계열의 바이오업체. NK면역세포치료제를 연구개발하는 것을 주요사업으로 영위. 면역원성 제거된 NK 세포에 CAR 유전자 도입으로 CAR-NK 개발 진행중. HK이노엔-GC셀, '세포치료제' 개발 맞손 차지현 기자 chaji@bizwatch.co.kr 2022.07.04(월) 15:48 HK이노엔은 CAR-T, GC셀은 CAR-NK 연구 "미개척 분야인 고형암 세포치료제 개발 목표" HK이노엔과 면역항암 세포치료제를 개발 계획 및 공동 연구개발(R&D) 계약 체결 |
| 제넥신 | 4,970 | -5.15% | 11억 8,400만 | 면역 시스템의 핵심세포인 T세포를 만들어내는 가장 중요한 단백질인 인터루킨-7(interleukin-7)을 이용한 항암 면역치료제(GX-I7) 개발 진행중. |
| 에스티큐브 | 9,100 | -7.05% | 30억 5,900만 | 美 현지법인인 STCube Pharmaceuticals, Inc.를 통해 바이오제약부문 항암체료제 개발/기술이전사업 영위. 면역관문억제제 관련 CTLA-4, PD-1, LAG-3, PD-L1 등의 파이프라인을 보유. 또한, 개발한 PD-L1항체에 항암제를 부착하여 만든 항체약물결합체 PD-L1-ADC 파이프라인도 보유. 면역관문억제 단백질 "PD-L1" 항체에 대한 中 라이선스 계약을 진행한 바 있음. 혁신신약 후보물질 ‘hSTC810’에 대한 임상연구심의위원회(IRB) 사전 승인. 후보물질 ‘hSTC810’ 국내임상계획 1상 승인. 11월 임상 1상 중간결과 발표예정 |
항암제
제약/바이오
표적항암
코로나 치료제
5시간 전, 매경헬스
암세포 공격 특공대 'CAR-T 치료제' 시장 커진다… 지씨셀·앱클론 움직...
기존 항암제와 달리 몸 안의 면역세포를 직접 개조해 암 치료 효과를 극대화한 것으로, 암세포를 공격해 죽이는 특공대를 만드는 셈이다. 시장조사기관 글로벌인포메이션(Global Information)에 따르면 CAR-T 세포치료 시장은 올해 39억 9000만 달러(약 5조 6000억원)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후 연평균 20.9...
12시간 전, 약업닷컴
이화여대 약대, 창립 80주년 기념 ‘표적치료’ 심포지엄 개최
자가세포 치료의 한계를 보완한 기성형(Off-the-shelf) 나노 DC 백신 기술로, T세포 활성화를 개선해 면역치료 반응률을 높일 수 있음을 입증했다.이화여대 김경명 교수는 기존 항암제의 독성과 내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펩타이드 약물 결합체(PDC) 나노입자 전략을 발표했다. 종양 특이 효소에 의해...
12시간 전, 메디파나뉴스
항암 최대 격전지 'KALC 2025'서 국내외 제약사 입지 강화
이들은 폐암 변이 유전자에 반응하는 표적치료제부터 관련 유전자가 없는 폐암 영역에서 면역항암제를 활용한 병용요법까지 다양한 치료 임상 데이터들을 임상의들에게 선보였다. 6일 KALC IC 2025가 열린 잠실 롯데호텔 3층에선 제품 홍보부스를 차린 여러 제약사 MR과 마케팅 관계자들이 폐암...
12시간 전, 소비자가만드는신문
[K-신약 유망주] GC녹십자 산필리포증후군 치료제 'GC1130'...투약 차별화...
셀트리온의 자가면역질환 바이오시밀러 '램시마'는 지난해 1조2680억 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단일 품목으로 국내 5대 제약사 연간 매출과 어깨를 견준다. SK바이오팜의 뇌전증 치료제 '세노바메이트'와 유한양행 항암제 '렉라자', HK이노엔의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케이캡'은 차세대 블록버스터로 기대를...
15시간 전
유한양행, 생명초등학교 학생들과 ESG 환경 교육 진행 外
◇이뮨온시아, 국제학술지 CRT에 IMC-002 임상 1상 논문 발표 유한양행의 면역항암제 전문 자회사 이뮨온시아는 자사의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IMC-002'의 고형암 환자 대상 임상 1상 연구결과가 대한암학회(KCA)에서 발행하는 국제 학술지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CRT)에 채택됐다고 5일 밝혔다. 사측에...
15시간 전, 현대경제신문
제약업체 관련주, '봄꽃만개' 한올바이오파마·그린생명과학·일동제약...
바토클리맙은 중증근무력증(MG), 갑상선안병증, 그레이브스병(GD), 만성 염증성 탈수초성 신경병증(CIDP) 등 다양한 자가면역질환 적응증을 대상으로... 보령이 글로벌 항암제 시장 진출을 위한 대형 거래를 성사시키며 업계 이목을 끌고 있다. 회사는 지난 9월 30일, 글로벌 제약기업 사노피(Sanofi)와 세포독성...
17시간 전, 글로벌경제신문
[바이오]에이프로젠, 허셉틴 바이오시밀러 글로벌 시장 진출 앞당겨 外...
네오이뮨텍 최고과학책임자 최동훈 본부장은 "기존에는 IL-7이 Tpex를 늘려주는 역할만 한다고 알려졌으나, 이번 연구를 통해 NT-I7이 Tpex 증가뿐 아니라 암세포를 공격하는 Tex-eff 증가 및 분화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며, "이러한 메커니즘 규명을 통해 NT-I7의 로서의 가치가...
21시간 전
네오이뮨텍, NT-I7의 새로운 면역 메커니즘 세계 학술 발표
최동훈 네오이뮨텍 최고과학책임자는 “그동안 IL-7은 Tpex를 늘리는 역할로 알려졌지만, 이번 연구는 NT-I7이 Tpex 증가뿐 아니라 Tex-eff로의 분화에도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보여준다”며, “이를 통해 NT-I7의 면역항암제로서 가치를 한층 강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라이트닝 토크는 Cell...
23시간 전, 톱스타뉴스
[시황 분석] 한성크린텍·에이비프로바이오 상한가… AI·반도체 반등 속...
테마 측면에서는 유리 기판(+4.21%)과 의료AI(+3.60%), 면역항암제(+3.20%), 2차전지(전고체)(+3.13%), HBM(고대역폭메모리)(+2.92%), 냉각시스템(액침냉각 등)(+2.74%), CXL(컴퓨트 익스프레스 링크)(+2.73%), 리튬(+2.61%), 2차전지(나트륨이온)(+2.55%), 온디바이스 AI(+2.45%) 등 성장 테마 전반이 상위권을 차지한다. 의료AI...
23시간 전
에스티큐브 주가 신바람... BTN1A1 임상결과로 글로벌 기술이전 박차
면역항암제 시장은 PD-1, CTLA-4 등 기존 면역관문억제제의 한계를 넘어 새로운 타깃 발굴 경쟁이 치열하다. BTN1A1은 최근 학계에서 '제3세대 면역관문'으로 불리며, 종양 내 T세포의 활성 억제 신호를 차단할 수 있는 유망한 차세대 타깃으로 주목받고 있다. 에스티큐브는 자체 연구에서 BTN1A1이 종양세포...
| 자동차 부품 | +17.47 % |
|---|---|
| 전기자동차 부품 | -17.47 % |
| 초전도체 | 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