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RNA 테마 설명 테마록 76 위
  • 관련 종목 31
  • 상승 종목 16
  • 하락 종목 15
-8.35% (등락룰 TOP5 종목 평균)
  • 최고 등락률 +6.27%
  • 최저 등락률 +5.20%
  • 전체 거래 대금 2,612억
  • TOP5 거래 대금 2,274억

2025-04-05 01:35 기준

일별 등락률

관련 종목
종목명 현재가 등락률 거래대금(원) 테마 포함 사유
인트론바이오 3,730 +6.27% 4억 5,500만 mRNA 기반 백신의 효율을 높이는 플랫폼 기술 특허 출원
아이진 3,275 +6.16% 16억 7,100만 mRNA 기반 코로나19 백신 개발 중. 'mRNA백신 임상지원’ 사업의 신규 협약 대상 과제 사업의 연구 주관기관으로 선정
제넥신 4,015 +5.94% 4억 2,300만 화이바이오메드,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과 차세대 mRNA 백신 개발 중.
인스코비 1,397 +5.51% 7억 9,200만 자회사인 셀루메드가 mRNA 생산효소 샘플 개발 완료
나이벡 13,750 +5.20% 7억 8,500만 mRNA 전달 플랫폼 'NIPEP-TPP' 개발.
올릭스 43,000 +3.24% 138억 9,100만 자회사 엠큐렉스, 코로나19 관련 mRNA 백신과 치료제 개발 사업 영위.
위더스제약 6,230 +2.30% 1억 4,500만 LNP 양산 기술을 개발한 인벤티지랩에 20억원 투자
DXVX 1,747 +2.16% 2억 6,400만 제1차 한국형 ARPA-H 프로젝트 '상온 초장기 비축 mRNA(메신저 리보핵산) 백신소재 및 대량생산 공정기술 개발' 과제에 공동 연구기관으로 선정
이연제약 10,690 +1.71% 4억 6,500만 mRNA와 같은 유전자치료제 생산시설 운영. 엠디뮨과 바이오드론 약물 전달 플랫폼 기술도입에 관한 라이선스 및 공동 연구개발 계약 체결
서린바이오 6,950 +1.46% 21억 7,900만 바이오 연구개발 및 생산 관련 Total Solutions를 제공하는 바이오 인프라 전문 업체. mRNA 합성서비스를 공급중이며, mRNA 백신 개발 단계나 위탁생산시에 합성서비스가 사용될 수 있어 관련주로 시장에서 부각. 코로나19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후보물질 원료의약품의 첫 시험생산 성공
한미사이언스 25,750 +1.18% 16억 4,800만 자회사를 통해 mRNA의 주요 원료 플라스미드(Plasmid) DNA를 위탁 생산하는 진원생명과학과 메신저리보핵산(mRNA) 백신 생산기반 및 글로벌 비즈니스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포괄적 협약 체결.
셀루메드 1,045 +0.97% 2억 6,900만 mRNA 방식 백신 임상에 들어가는 아이진에 BMP 재조합 단백질 원료를 제공하고 함께 국책과제 등을 수행중. BMP 재조합 기술을 기반으로 mRNA 백신 원료 공급 기대감 부각.
진원생명과학 2,000 +0.76% 4억 5,400만 자회사 VGXI, 유전자 치료제 핵심 원료인 Plasmid DNA 위탁생산. mRNA 백신 후보물질 도출
샤페론 2,900 +0.69% 13억 9,600만 mRNA 치료제 개발
코리아에셋투자증권 5,910 +0.68% 600만 mRNA 백신 생산 가능한 큐라티스의 지분 8.58% 보유.
셀트리온 173,900 +0.23% 775억 5,200만 mRNA 백신 플랫폼 개발 중
아미노로직스 913 -0.11% 7,300만 RNA와 관련한 아미노산 사업 영위.
삼양홀딩스 56,300 -0.18% 11억 4,700만 올릭스의 자회사 엠큐렉스와 mRNA 기반 코로나19 백신 개발을 위해 기술적 상호 협력을 약속하는 양해각서(MOU) 체결.
옵티팜 5,340 -0.56% 400만 국내 최초 mRNA 백신 개발 중인 큐라티스와 연구개발 계약 체결.
녹십자 125,200 -0.63% 28억 8,800만 동사와 한미약품, 에스티팜 등 3개 기업이 주축이 되고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이 지원하는 K-mRNA 컨소시엄을 결성. K-mRNA 컨소시엄은 2022년까지 국산 mRNA 기술을 확보해 전 국민이 1인당 2회 접종 가능한 1억 도스 분량의 코로나19 백신을 생산할 계획.
에스티팜 73,900 -0.67% 56억 4,600만 스위스 제네반트로부터 LNP 기술을 도입해 한국, 일본을 포함한 아시아 12개국에서 사용 권리를 확보. 해당 기술을 통해 mRNA 백신을 개발하고 생산할 수 있는 점이 부각. 21년5월 mRNA 생산 설비를 구축할 예정.
시너지이노베이션 2,750 -0.72% 3억 7,100만 mRNA 백신 생산 등에 사용되는 미생물 배양용 배지 공급. 국내 미생물 배양용 배지 1위업체.
현대바이오 10,320 -0.77% 23억 3,800만 mRNA 백신에 활용되는 약물전달체 시스템(DDS) 기술 보유.
한미약품 229,000 -0.87% 85억 3,900만 - mRNA 백신 등 유전자 백신 생산 공정 개발 중. - 동사와 녹십자, 에스티팜 등 3개 기업이 주축이 되고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이 지원하는 K-mRNA 컨소시엄을 결성. K-mRNA 컨소시엄은 2022년까지 국산 mRNA 기술을 확보해 전 국민이 1인당 2회 접종 가능한 1억 도스 분량의 코로나19 백신을 생산할 계획.
엔지켐생명과학 1,042 -1.70% 4억 2,400만 mRNA 백신 생산·공급을 목표로 mRNA 백신 위탁생산(CMO) 사업 진출 예정. 충북 오송 부지면적 5,300평에 완전자동화 mRNA 백신공장을 건설할 계획이며, mRNA 백신 원료인 지질 CMO 사업에도 진출.
THE E&M 763 -2.05% 1억 4,600만 자회사 루카에이아이셀, mRNA 백신에 활용되는 LNP 기술 개발.
삼성바이오로직스 1,069,000 -3.95% 1,100억 6,200만 mRNA 생산시설 보유 및 mRNA 백신 원료의약품 생산
지니너스 1,185 -5.20% 1억 5,400만 mRNA 백신 생산 기업인 레나임과 mRNA 기반 췌장암 면역항암백신 개발 MOU 체결
파미셀 9,360 -7.42% 173억 3,100만 케미컬 사업부문을 통해 mRNA 핵심원료로 사용되는 mPEG를 생산/판매하고 있는 점이 시장에서 부각.
올리패스 1,918 -9.31% 13억 300만 인공유전자 플랫폼(올리패스PNA)을 활용한 RNA 치료제 개발 중.
아즈텍WB 1,488 -15.88% 83억 3,300만 mRNA 백신 생산 가능한 큐라티스 지분 보유.

테마 포커스

유사 테마

관련 뉴스

  • 17일 전, 약업닷컴

    디엑스앤브이엑스, mRNA 항암백신 글로벌 기술수출 협상 진행

    디엑스앤브이엑스(DXVX)가 자체 개발중인 mRNA 항암백신의 글로벌 기술수출을 위한 협상을 본격적으로 개시했다고 18일 밝혔다.디엑스앤브이엑스에 따르면 개발중인 mRNA 항암백신은 OVM-200의 재조합 중복 펩타이드(ROP, (Recombinant Overlapping Peptide)가 직접 발현되는 mRNA와 상온 초장기 보관 mRNA 백신 플랫폼을 결합한 특별한 구조와 성능을 갖고 있으며, 최근 동물 효력 시험에서 우수한 항암 효력을 확인하는 등 시중 임상 단계 기술 대비 동등 이상 효력을 확보하며 기술수출 근거자료를 확보했다. DXVX는 지난해 해당 후보물질 특허를 출원했다.디엑스앤브이엑스는 mRNA 항암백신에 대해 글로벌 기업들과 비즈니스 모델을 논의하는 등 라이선스 아웃을 위한 구체적인 협의 단계에 진입한 상태라고 전했다. 디엑스앤브이엑스는 현재 글로벌 라이선스 아웃을 위한 협상이 다각도로 진행중인 가운데, DXVX는 ▲상온 초장기 보관 mRNA 백신 플랫폼 ▲경구용 비만 치료제 ▲OVM-200 항암백신 ▲mRNA 항암백신 기술을 중심으로 라이선스 아웃을 추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디엑스앤브이엑스 관계자는 “상온 초장기 보관 mRNA 플랫폼 기술을 적용한 동물 시험에서 안정성과 효력 유지를 뒷받침하는 결과를 통해 플랫폼 기술에 대한 글로벌 라이선스 아웃 근거자료를 확보했다”며 “mRNA 항암백신을 비롯해 당사가 보유한 기술자산들에 대해 올해 안에 가시적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뉴스 썸네일
  • 2025-02-18, 약업닷컴

    디엑스앤브이엑스, "지속 가능 성장전략 이상 무"

    디엑스앤브이엑스(DXVX)가 최근 재무적 불안정성에도 불구하고, 성장을 위한 펀더멘털에는 이상이 없다고 18일 밝혔다.18일 디엑스앤브이엑스는 최근 관리종목 편입 가능성 공시로 인해 주가가 하락했고, 신약개발 인력 확보와 임상 비용, 파이프라인 라이선스 비용 등으로 수익성이 하락했다고 전했다.다만, 이러한 연구개발 투자와 인재 확보가 DXVX 장기적 성장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부분이라며, 올해부터는 R&D와 사업 부문에서 본격적인 성과를 나타낼 것이라고 밝혔다.디엑스앤브이엑스는 “신약개발 전 과정에 있어 글로벌 수준 인재들을 꾸준히 확보하면서, 현재 다양한 신약 후보물질 및 플랫폼 기술 등을 개발하고 있다. 특허 출원과 임상결과를 확보하는 등 연구개발 부문에서 성과를 만들어가고 있다”며 “현재 다수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들과 라이선스 아웃을 위한 실사 등이 진행되고 있으며 후속절차를 위한 논의가 이어지고 있는 만큼, 조만간 가시적인 성과를 보여드릴 수 있을 것”이라 전했다.디엑스앤브이엑스에 따르면 현재 ROP 항암백신을 비롯해 범용 코로나 백신, 마이크로바이옴 호흡기 백신, mRNA 항암백신과 항암항체 치료제, 유기합성 항암제, 경구용 비만치료제, 안구건조증 치료제 등 다양한 적응증을 대상으로 백신과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다수 프로젝트에서 후보물질에 대한 특허 출원을 이어가고 있으며, 임상 결과 글로벌 3상 수준 후보물질과 동등 결과를 확보했다.백신과 치료제 외에도 플랫폼 기술을 통해 상업화 시점을 앞당기기 위한 노력도 진행 중으로 상온 초장기 보관 mRNA 백신 플랫폼과 mRNA 대량생산 플랫폼, NGS 범용 플랫폼의 개발을 마무리하고 글로벌 기업들과 라이선스 아웃을 위한 물질이전 계약을 위한 협의 및 실사를 진행중이다. 특히, 포항공대와 국책과제로 선정돼 개발을 고도화중인 ‘상온 초장기 보관 mRNA 백신 플랫폼’ 경우 실사가 마무리 되는 대로 구체적인 계약조건을 담은 텀시트 논의 진행 후 첫 번째 기술수출 결과를 기대하고 있다.의약품과 헬스케어 사업부문에서도 중국 자회사를 통한 중국내 의약품 유통망을 확대하고 있으며, 항생제를 시작으로 기초 의약품 라인업을 확대중이라고 회사 측은 밝혔다. 디엑스앤브이엑스 관계자는 “지속가능한 성장 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성장통을 겪다 보니, 단기적으로 재무적인 부담이 늘어난 측면이 있다. 다만, 현재 회계적 손실은 일시적인 요인으로, 그동안 구축한 안정적인 사업모델과 성장동력을 통해 올해 가시적인 성과와 함께 중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뉴스 썸네일
  • 2025-02-17

    [특징주] DXVX 급등, 기술 수출 기대감 'mRNA 백신·비만 치료제' 속도전

    바이오 헬스케어 기업 DXVX(180400)의 주가가 급등했다. 17일 오전 9시 10분 기준 DXVX는 전 거래일 대비 11.0%(146원) 오른 1467원에 거래되며 투자자들의 이목을 끌고 있다. 이는 mRNA 백신 플랫폼 및 경구용 비만 치료제의 글로벌 기술이전 협상 진척 소식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DXVX는 현재 mRNA 백신...

    뉴스 썸네일
  • 2025-02-10, 뉴데일리 경제

    디엑스앤브이엑스 "국내외 기업들과 라이선스 아웃 논의 중"

    디엑스앤브이엑스는 포항공대로부터 독점적 상업화 권리를 확보한 상온 초장기 보관 mRNA 백신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다. 해당 mRNA 백신 플랫폼은 글로벌 시장규모 156조원에 달하는 기술이다. 디엑스앤브이엑스는 지난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및 바이오텍 쇼케이스를 통해 mRNA 백신 플랫폼에 대한...

  • 2025-02-10

    디엑스앤브이엑스, mRNA 백신·NGS 기술 라이선스 아웃 논의 가속화

    디엑스앤브이엑스가 포항공대로부터 독점적 상업화 권리를 확보한 상온 초장기 보관 mRNA 백신 플랫폼의 경우, 글로벌 시장규모 156조원에 달하는 mRNA 백신 산업의 판도를 바꿀 초현실적 기술이다.(출처: mRNA Vaccine and Therapeutics Market Size & Share Analysis, Mordor Intelligence) 디엑스앤브이엑스는...

  • 2025-02-10

    에스티팜 주가 싱글벙글... 신약 파이프라인 임상 진전 예상

    임상 시험을 진행하고 있으며,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하고 있다. 에스티팜이 속한 mRNA 백신 관련주(네이버 증권)에는 녹십자 한미약품 큐라티스 한미사이언스 아이진 셀루메드 나이벡 삼양홀딩스 이연제약 진원생명과학 에스티팜 아미노로직스 엔지켐생명과학 서린바이오 등이 있다.

  • 2025-02-10, 뉴스핌

    디엑스앤브이엑스 "혁신 신약 기술수출 논의 순항 중"

    디엑스앤브이엑스는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및 바이오텍 쇼케이스를 통해 mRNA 백신 플랫폼에 대한 글로벌 시장의 높은 관심을 확인했다"며 "세계 최대 비영리 투자재단, 초대형 헬스케어 그룹, 바이오텍 기업들과 mRNA 백신 플랫폼의 라이선스 아웃 딜을 진행하고 있으며국내 대형 제약바이오...

  • 2025-02-10

    신테카바이오 신생항원 예측 플랫폼 NEO-ARS 본격 시동

    모더나는 흑색종 항암백신의 긍정적인 임상 결과를 발표했으며, KRAS 변이 항암백신 'mRNA-5671'과 PD-L1 타깃 항암백신 'mRNA-4359' 등으로 연구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MSD와 질환별 백신 공동연구를 진행하는 에바종 바이오테크에서 진행형 흑색종근 개인 맞춤형 펩타이드 기반 암백신 EVX-01와 키트루다 병용...

  • 2025-02-10, 머니투데이

    디엑스앤브이엑스, "플랫폼 및 혁신 신약 기술수출 논의 순항 중"

    DXVX가 국내외 기업들과 mRNA 백신 및 진단 플랫폼, 감염병 백신 등 핵심 기술 자산들의 라이선스 아웃 논의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고 10일 밝혔다. DXVX는 지난 1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및 바이오텍 쇼케이스를 통해 mRNA 백신 플랫폼에 대한 글로벌 시장의 높은...

  • 2025-02-07, SBS Biz

    [이 시각 시황] 삼성전자, 첨단 패키징 공정에 유리기판 적용 나서

    mRNA 주도 올라갑니다. AI 신약 개발 글로벌 시장 규모가 4배 가까이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어 국내에서 AI 신약에 대한 임상시험이 잇따라 시작됐습니다. 셀루메드가 7.25% 올라가면서 거래가 2,22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나이벡이 4% 가까운 상승세 시현하면서 16,290원입니다. 파미셀이 3.19...

더보기

실시간 테마 순위

자동차 부품 +17.47 %
전기자동차 부품 -17.47 %
초전도체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