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9 21:25 기준
종목명 | 현재가 | 등락률 | 거래대금(원) | 테마 포함 사유 |
---|---|---|---|---|
나이벡 | 28,950 | +29.82% | 6억 5,300만 | mRNA 전달 플랫폼 'NIPEP-TPP' 개발. |
서린바이오 | 8,390 | +13.07% | 773억 9,900만 | 바이오 연구개발 및 생산 관련 Total Solutions를 제공하는 바이오 인프라 전문 업체. mRNA 합성서비스를 공급중이며, mRNA 백신 개발 단계나 위탁생산시에 합성서비스가 사용될 수 있어 관련주로 시장에서 부각. 코로나19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후보물질 원료의약품의 첫 시험생산 성공 |
삼양홀딩스 | 75,200 | +9.14% | 135억 300만 | 올릭스의 자회사 엠큐렉스와 mRNA 기반 코로나19 백신 개발을 위해 기술적 상호 협력을 약속하는 양해각서(MOU) 체결. |
올릭스 | 50,100 | +5.92% | 423억 7,500만 | 자회사 엠큐렉스, 코로나19 관련 mRNA 백신과 치료제 개발 사업 영위. |
진원생명과학 | 3,725 | +5.82% | 51억 4,000만 | 자회사 VGXI, 유전자 치료제 핵심 원료인 Plasmid DNA 위탁생산. mRNA 백신 후보물질 도출 |
코리아에셋투자증권 | 6,890 | +3.45% | 5억 1,800만 | mRNA 백신 생산 가능한 큐라티스의 지분 8.58% 보유. |
현대바이오 | 11,060 | +2.12% | 18억 8,300만 | mRNA 백신에 활용되는 약물전달체 시스템(DDS) 기술 보유. |
한미사이언스 | 35,300 | +2.02% | 95억 9,200만 | 자회사를 통해 mRNA의 주요 원료 플라스미드(Plasmid) DNA를 위탁 생산하는 진원생명과학과 메신저리보핵산(mRNA) 백신 생산기반 및 글로벌 비즈니스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포괄적 협약 체결. |
한미약품 | 306,000 | +1.83% | 183억 400만 | - mRNA 백신 등 유전자 백신 생산 공정 개발 중. - 동사와 녹십자, 에스티팜 등 3개 기업이 주축이 되고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이 지원하는 K-mRNA 컨소시엄을 결성. K-mRNA 컨소시엄은 2022년까지 국산 mRNA 기술을 확보해 전 국민이 1인당 2회 접종 가능한 1억 도스 분량의 코로나19 백신을 생산할 계획. |
셀트리온 | 158,700 | +1.73% | 730억 7,500만 | mRNA 백신 플랫폼 개발 중 |
아이진 | 3,280 | +1.71% | 2억 2,000만 | mRNA 기반 코로나19 백신 개발 중. 'mRNA백신 임상지원’ 사업의 신규 협약 대상 과제 사업의 연구 주관기관으로 선정 |
아즈텍WB | 1,313 | +1.70% | 4,500만 | mRNA 백신 생산 가능한 큐라티스 지분 보유. |
에스티팜 | 77,500 | +1.44% | 68억 1,300만 | 스위스 제네반트로부터 LNP 기술을 도입해 한국, 일본을 포함한 아시아 12개국에서 사용 권리를 확보. 해당 기술을 통해 mRNA 백신을 개발하고 생산할 수 있는 점이 부각. 21년5월 mRNA 생산 설비를 구축할 예정. |
제넥신 | 5,020 | +1.11% | 2억 8,000만 | 화이바이오메드,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과 차세대 mRNA 백신 개발 중. |
옵티팜 | 5,150 | +0.78% | 1,900만 | 국내 최초 mRNA 백신 개발 중인 큐라티스와 연구개발 계약 체결. |
THE E&M | 913 | +0.55% | 5,500만 | 자회사 루카에이아이셀, mRNA 백신에 활용되는 LNP 기술 개발. |
엔지켐생명과학 | 1,190 | +0.51% | 1억 3,400만 | mRNA 백신 생산·공급을 목표로 mRNA 백신 위탁생산(CMO) 사업 진출 예정. 충북 오송 부지면적 5,300평에 완전자동화 mRNA 백신공장을 건설할 계획이며, mRNA 백신 원료인 지질 CMO 사업에도 진출. |
녹십자 | 125,300 | +0.40% | 30억 3,000만 | 동사와 한미약품, 에스티팜 등 3개 기업이 주축이 되고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이 지원하는 K-mRNA 컨소시엄을 결성. K-mRNA 컨소시엄은 2022년까지 국산 mRNA 기술을 확보해 전 국민이 1인당 2회 접종 가능한 1억 도스 분량의 코로나19 백신을 생산할 계획. |
위더스제약 | 8,080 | +0.37% | 291억 2,600만 | LNP 양산 기술을 개발한 인벤티지랩에 20억원 투자 |
시너지이노베이션 | 2,750 | +0.18% | 5억 1,800만 | mRNA 백신 생산 등에 사용되는 미생물 배양용 배지 공급. 국내 미생물 배양용 배지 1위업체. |
아미노로직스 | 940 | +0.11% | 5,400만 | RNA와 관련한 아미노산 사업 영위. |
이연제약 | 10,850 | 0.00% | 8,300만 | mRNA와 같은 유전자치료제 생산시설 운영. 엠디뮨과 바이오드론 약물 전달 플랫폼 기술도입에 관한 라이선스 및 공동 연구개발 계약 체결 |
삼성바이오로직스 | 1,026,000 | -0.19% | 921억 4,900만 | mRNA 생산시설 보유 및 mRNA 백신 원료의약품 생산 |
인트론바이오 | 4,050 | -0.25% | 2억 6,700만 | mRNA 기반 백신의 효율을 높이는 플랫폼 기술 특허 출원 |
샤페론 | 3,240 | -0.31% | 78억 4,200만 | mRNA 치료제 개발 |
파미셀 | 12,150 | -0.82% | 91억 2,800만 | 케미컬 사업부문을 통해 mRNA 핵심원료로 사용되는 mPEG를 생산/판매하고 있는 점이 시장에서 부각. |
셀루메드 | 1,025 | -2.38% | 15억 7,600만 | mRNA 방식 백신 임상에 들어가는 아이진에 BMP 재조합 단백질 원료를 제공하고 함께 국책과제 등을 수행중. BMP 재조합 기술을 기반으로 mRNA 백신 원료 공급 기대감 부각. |
지니너스 | 2,295 | -2.55% | 11억 300만 | mRNA 백신 생산 기업인 레나임과 mRNA 기반 췌장암 면역항암백신 개발 MOU 체결 |
인스코비 | 1,429 | -3.58% | 13억 7,300만 | 자회사인 셀루메드가 mRNA 생산효소 샘플 개발 완료 |
DXVX | 2,260 | -3.83% | 6억 5,700만 | 제1차 한국형 ARPA-H 프로젝트 '상온 초장기 비축 mRNA(메신저 리보핵산) 백신소재 및 대량생산 공정기술 개발' 과제에 공동 연구기관으로 선정 |
제약/바이오
코로나 치료제
백신
바이오시밀러
4시간 전, 데일리안
전통의 '백신 강자' GC녹십자, 'mRNA플랫폼' 터보엔진 달았다
1960년대부터 축적해온 면역학 분야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백신 명가’의 명성을 구축한 GC녹십자가 mRNA 플랫폼 구축을 통해 추가 성장동력을... 더욱 기대가 큰 것은 것은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확보한 mRNA 플랫폼이다. GC녹십자는 지난 2019년부터 및 지질나노입자(LNP, Lipid Nanoparticle) 전담...
5시간 전
'백신 명가' GC녹십자, 새 성장동력 mRNA 플랫폼 가동
이 외에도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mRNA 플랫폼을 확보하고 본격 개발에도 나서고 있다. GC녹십자는 지난 2019년부터 mRNA 및 지질나노입자(LNP, Lipid Nanoparticle) 전담 연구팀을 신설해 관련 연구를 지속해왔다. 연구팀은 현재 플랫폼 및 LNP 등 자체 핵심 기술을 구축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백신 및 치료제...
5시간 전, 더퍼스트미디어
"전통 백신 강자"... GC녹십자, mRNA 플랫폼 구축으로 추가 성장동력 확...
이외에도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mRNA 플랫폼을 확보하고 본격 개발에도 나서고 있다. GC녹십자는 지난 2019년부터 mRNA 및 지질나노입자(LNP, Lipid Nanoparticle) 전담 연구팀을 신설해 관련 연구를 지속해왔다. 연구팀은 현재 플랫폼 및 LNP 등 자체 핵심 기술을 구축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백신 및 치료제...
7시간 전
진원생명과학, DNA·mRNA 기반 플랫폼 앞세워 주가 소폭 상승
출처 : 진원생명과학 진원생명과학은 1976년 의류용 심지 제조로 출발해, 현재는 DNA 및 mRNA 기반 의약품 연구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플랫폼 구축을 완료한 후 효능과 안전성 평가를 진행 중이며, 개인 맞춤형 유전체 분석 기술을 활용한 정밀의료 분야에서도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이날 기준...
7시간 전
진원생명과학 주가 3,590원 마감, 1.99퍼센트 상승
특히 DNA 기반 백신과 mRNA 의약품 연구개발을 주력으로 수행하며, 관련 플랫폼 구축과 효능·안전성 평가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현재 시가총액은 3,049억 원으로 코스피 상장사 중 540위 수준이며, 상장 주식 수는 약 8,491만 주에 이른다. 외국인 보유 비율은 8.63퍼센트로 나타났고, 52주 최저가는 1...
16시간 전
진원생명과학, DNA·mRNA 기반 플랫폼 앞세워 주가 소폭 상승
출처 : 진원생명과학 진원생명과학은 1976년 의류용 심지 제조로 출발해, 현재는 DNA 및 mRNA 기반 의약품 연구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플랫폼 구축을 완료한 후 효능과 안전성 평가를 진행 중이며, 개인 맞춤형 유전체 분석 기술을 활용한 정밀의료 분야에서도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이날 기준...
1일 전
진원생명과학, DNA·mRNA 기반 플랫폼 앞세워 주가 소폭 상승
출처 : 진원생명과학 진원생명과학은 1976년 의류용 심지 제조로 출발해, 현재는 DNA 및 mRNA 기반 의약품 연구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플랫폼 구축을 완료한 후 효능과 안전성 평가를 진행 중이며, 개인 맞춤형 유전체 분석 기술을 활용한 정밀의료 분야에서도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이날 기준...
1일 전
고려대의료원, 중증치료 거점에서 미래의료 허브로···'2028 미래혁신 ...
센터는 이미 미국 모더나와 mRNA 기반 한타바이러스 백신을 개발 중이며 최근 긍정적인 결과를 발표했다. WHO(세계보건기구)의 '바이러스 X' 중 하나로 지목된 한타바이러스 연구에는 이를 최초 발견한 이호왕 박사의 학문적 유산을 고스란히 물려받은 고대의대 연구진이 전면에 나서고 있다. 의료원은...
1일 전
디엑스앤브이엑스, 유전체 진단 전문서 백신·플랫폼 기업으로 체질개선
디엑스앤브이엑스는 올해 상온 초장기 보관 mRNA 백신 플랫폼과 경구용 비만치료제, OVM-200 항암백신 등 주요 기술자산들을 중심으로 국내·외 대형 제약... mRNA 항암백신에 대한 물질 특허를 출원 완료했고, 항비만 균주·우울증 개선 마이크로바이옴 균주 확보와 헬스케어 제품 개발 등 마이크로바이옴...
1일 전, MEDIGATENEWS
신현진 목암생명과학연구소장 "인공지능 신약개발은 제약회사라면 무조...
우선 mRNA 그리고 단백질 등 새로운 치료 모달리티(특정 질병을 치료하거나 진단하는 방법이나 기술) 연구에 집중하고, 여기에 저분자화합물처럼 워낙... 목암생명과학연구소는 현재 mRNA백신·치료제 개발과 이를 전달할 수 있는 LNP(Lipid NanoParticle, 지질 나노입자)연구에 주력하고 있다. 동시에...
자동차 부품 | +17.47 % |
---|---|
전기자동차 부품 | -17.47 % |
초전도체 | 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