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4 21:17 기준
종목명 | 현재가 | 등락률 | 거래대금(원) | 테마 포함 사유 |
---|---|---|---|---|
포스코인터내셔널 | 52,000 | +1.96% | 504억 5,000만 | 리비안에 하프샤프트 공급 |
피에이치에이 | 11,550 | +1.32% | 4억 7,900만 | 리비안에 차량용 도어 공급 |
씨티알모빌리티 | 5,850 | +0.69% | 1억 7,600만 | 리비안에 알루미늄 컨트롤 암 공급 |
모베이스전자 | 1,500 | 0.00% | 1억 2,700만 | 리비안에 배터리를 공급하는 삼성SDI에 PBA 공급 |
모트렉스 | 9,120 | -0.11% | 3억 6,600만 | 아마존 알렉사 SI업체 아이콘에이아이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개발중 |
삼진엘앤디 | 793 | -0.25% | 2,900만 | 리비안 전기차에 채용되는 원통형 2차전지 가스켓 공급. |
남성 | 1,102 | -0.36% | 900만 | 리비안에 채용되는 차량용 AI 비서 '알렉사 오토'를 탑재한 인포테인먼트기기 개발 |
대원화성 | 903 | -0.44% | 3,900만 | 리비안에 친환경 시트 소재 공급. |
하이비젼시스템 | 14,780 | -0.67% | 8억 1,300만 | 자회사 퓨런티어, 차량용 센싱 카메라 제조장비를 리비안에 공급 |
아진전자부품 | 1,004 | -0.79% | 3,900만 | 리비안에 헤드라이트 모듈 공급 예정 |
동국알앤에스 | 2,410 | -0.82% | 5,400만 | 리비안에 배터리를 공급하는 삼성SDI에 배터리 부품 공급 |
씨아이에스 | 7,180 | -0.83% | 19억 2,700만 | 2차전지 전공정에 해당하는 Coater M/C, Calender M/C, Slitter M/C 및 Tape Laminator 생산 업체. 2021년9월 리비안 방한 당시 동사와 미팅을 한 것으로 알려짐. |
에코캡 | 1,606 | -0.86% | 7,900만 | 와이어링하네스 인서트그로멧을 리비안에 공급. |
우리산업 | 9,600 | -0.93% | 3억 5,600만 | 리비안에 PTC히터 공급 |
에스코넥 | 782 | -1.01% | 1억 8,500만 | 삼성SDI 전기차 핵심 부품공급이력이 부각되어 리비안관련주에 엮임 |
에이에프더블류 | 1,276 | -1.16% | 400만 | 리비안에 배터리를 공급하는 삼성SDI에 음극 마찰용접단자 독점공급 |
상신이디피 | 8,120 | -1.22% | 2억 4,100만 | 리비안에 배터리를 공급하는 삼성SDI에 배터리용 캔 공급 |
유니테크노 | 2,955 | -1.34% | 2억 8,100만 | 리비안에 배터리를 공급하는 삼성SDI에 배터리 셀 케이스 공급 |
대유에이텍 | 1,160 | -1.36% | 8,200만 | 현대트랜시스를 통해 리비안에 자동차 시트 공급 |
KEC | 811 | -1.46% | 2억 2,300만 | 리비안에 부품 공급 |
아모그린텍 | 6,390 | -1.54% | 3억 2,800만 | 리비안에 고효율 자성소재부품 공급 |
아진산업 | 2,845 | -1.56% | 2억 7,300만 | 리비안에 헤드라이트 모듈 공급 예정인 '대우부품'의 최대주주 |
TCC스틸 | 17,550 | -1.85% | 21억 2,100만 | 리비안에 배터리를 공급하는 삼성SDI의 배터리 캔 소재 공급 |
우신시스템 | 7,930 | -1.86% | 5억 4,000만 | 리비안에 배터리 설비 공급 |
디와이 | 4,620 | -1.91% | 3억 6,500만 | 자회사인 디와이오토가 리비안에 리어와이퍼 모터 납품 |
유진테크놀로지 | 4,150 | -2.24% | 9,400만 | 2차전지 정밀금형 부품 및 소재 업체. 2차전지 제조에 소요되는 정밀금형 및 공정 기계부품, 자동화장비, 리드탭의 제조 및 판매. 리비안 폭스바겐 등 글로벌 기업을 고객으로 확보 |
삼성SDI | 181,100 | -2.27% | 906억 9,500만 | 리비안에 2차전지 배터리 공급. |
피엔티 | 31,900 | -2.30% | 35억 500만 | 국내 배터리 3사에 장비 납품 |
HL만도 | 33,950 | -2.72% | 73억 6,800만 | 리비안에 전방 레이더, 카메라, 긴급 제동장치 등 공급 |
폴라리스세원 | 1,377 | -3.44% | 12억 8,100만 | 리비안에 전기차 공조부품인 헤더콘덴서류 공급 |
우리산업홀딩스 | 3,545 | -6.71% | 9억 3,000만 | 자회사 우리산업, 리비안에 PTC히터 공급 |
전기차 부품
자동차 부품
2차전지
2차전지 - 소재/부품
7시간 전
"고성능만으론 부족"…삼성SDI, LFP 등 다층 전략 승부수
삼성SDI의 고객사인 리비안은 일부 모델에 LFP를 도입했고, 아우디는 일부 전기차 생산을 축소했으며 BMW 역시 전기차 전환 속도를 조절하고 있다. NH투자증권은 “2025년 2분기 실적이 컨센서스를 하회한 것으로 분석된다”며 “핵심 공급망 수요 축소와 ESS 수익성 부진으로 2027년 전까지는 유의미한 실적...
15시간 전,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 감세법, 리비안·루시드에 훈풍...현대차·기아·K배터리 3사에는...
리비안, 루시드에 훈풍 트럼프 감세법에 담긴 전기차 세제혜택 종식은 리비안, 루시드, 테슬라 같은 전기차만 생산하는 기업들에 긍정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전기차 시장의 경쟁이 줄어들 것이기 때문이다. 제너럴모터스(GM), 포드, 현대차·기아처럼 내연기관 자동차를 생산하면서도 전기차 보조금을...
1일 전, 시사저널e
삼성SDI, '배터리 후발주자' SK온에 밀린 배경은
삼성SDI 고객사인 리비안은 일부 모델에 대해 LFP 배터리를 도입했고 아우디는 일부 차종 생산을 축소했다. BMW 역시 전기차 전략 전환 속도를 늦추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스텔란티스와 합작해 설립한 스타플러스에너지(SPE) 역시 가동률이 하락하고 있다. 하반기 실적 전망도 두 회사의 엇갈린 흐름을...
2일 전, 신소재경제신문
1~5월 전기車 배터리 사용량, 전년比 39%↑
전기차 판매량 따른 국내 3사의 배터리 사용량을 살펴보면, 삼성SDI는 BMW, 아우디, 리비안 중심으로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으며, BMW i4, i5 판매 호조가 긍정적으로 작용했지만 리비안의 스탠다드 트림에 타사 LFP 배터리가 적용된 점과 아우디의 Q8 e-Tron 판매 감소가 영향을 미쳤다. SK on의 배터리...
2일 전, 서울와이어
1∼5월 글로벌 배터리 사용량 '중국 강세'...K-배터리는 하락
SNE리서치는 "삼성SDI의 부진은 유럽과 북미 시장 내 주요 완성차 고객의 배터리 수요 감소가 주요 원인"이라며 "BMW는 여전히 전기차 판매가 견조하지만 아우디가 부진했고, 리비안이 리튬인산철(LFP)을 도입하며 사용량이 줄었다"고 말했다. LFP 배터리를 앞세운 중국 업체들의 점유율은 보다...
2일 전
전기차 부품 강자 부상…폴라리스세원, 기술 기반 재평가 시작
증권업계는 "폴라리스세원은 향후 현대차, 테슬라, 리비안 등과의 협력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어, 글로벌 전기차 밸류체인 편입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폴라리스세원은 국내에서 드물게 '전기차+자율주행' 융합 분야에 부품을 공급하는 기업으로, 이번 북미 납품을 계기로 기술 기반 부품사로서의...
2일 전, 포쓰저널
中 독주 강화..K-배터리 점유율 10%대로 추락
삼성SDI는 BMW, 아우디, 리비안 중심으로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으며, BMW i4, i5 판매 호조가 긍정적으로 작용했지만 리비안의 스탠다드 트림에 타사 LFP 배터리가 적용된 점과 아우디의 Q8 e-Tron 판매 감소가 영향을 미쳤다. 중국 업체들은 자국 전기차 시장 독식과 저가형 LFP 배터리의 가격 경쟁력...
2일 전, It조선
1~5월 K배터리 점유율 4.5%p '뚝'…中 CATL·BYD, 2.6%p 상승
전기차 판매량 따른 국내 3사의 배터리 사용량을 살펴보면, 삼성SDI는 BMW, 아우디, 리비안 중심으로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다. BMW i4, i5 판매 호조가 긍정적으로 작용했지만 리비안의 스탠다드 트림에 타사 LFP 배터리가 적용된 점과 아우디의 Q8 e-트론 판매 감소가 영향을 미쳤다. SK온의 배터리...
2일 전, 에너지데일리
1~5월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 401.3GWh, 전년 대비 38.5% 성장
삼성SDI는 BMW, 아우디, 리비안 등에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으며, BMW i4와 i5 모델 판매 호조가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리비안 일부 트림에 경쟁사 LFP 배터리가 적용되고 아우디 Q8 e-Tron 판매가 줄면서 전체 사용량 감소로 이어졌다. SK on은 현대자동차그룹, 포드, 메르세데스, 폭스바겐 등...
2일 전, 청년일보
1~5월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 38.5%↑…韓 점유율은 4.5%p↓
전기차 판매량 따른 국내 3사의 배터리 사용량을 살펴보면, 삼성SDI는 BMW, 아우디, 리비안 중심으로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으며, BMW i4, i5 판매 호조가 긍정적으로 작용했지만 리비안의 스탠다드 트림에 타사 LFP 배터리가 적용된 점과 아우디의 Q8 e-Tron 판매 감소가 영향을 미쳤다. SK온의 배터리...
자동차 부품 | +17.47 % |
---|---|
전기자동차 부품 | -17.47 % |
초전도체 | 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