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8 02:51 기준
종목명 | 현재가 | 등락률 | 거래대금(원) | 테마 포함 사유 |
---|---|---|---|---|
캐리 | 2,920 | +2.46% | 4억 6,200만 | 베터리에 전력을 저장할 때 알맞은 상태의 전원으로 변환해주는 전력변환장치(PCS)를 자체 개발, 제조 및 판매하고 있으며 주요 고객사는 삼성SDI 보유 |
신흥에스이씨 | 4,665 | +1.08% | 13억 8,000만 | 동사가 판매중인 중대형 각형 어셈 블리는 배터리 셀 밀폐 및 과전류 발생 시 멤브레인(Membrane), Vent(안전변)가 장착돼 폭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어 부각 |
신진에스엠 | 2,260 | +0.89% | 3,400만 | 탄소계열 복합소재 전문기업 에스플러스컴텍과 손잡고 올해 연말 양산을 목표로 열폭주를 지연시키는 방염·단열 시트를 개발 중. 현재 에스플러스컴텍이 보유한 원천 특허기술을 토대로 소재 개발은 마친 상태로, 글로벌 완성차 기업 벤더사와 추가 연구개발을 진행 중 |
삼기에너지솔루션즈 | 2,055 | +0.49% | 5억 3,500만 | '전기차 화재 보호막' 엔드플레이트 폭스바겐·아우디·포드 등 공급 부각 |
디아이씨 | 4,805 | +0.42% | 19억 900만 | 'CES 2025'에서 획기적인 배터리 화재 원천차단 기술을 공개 |
에이텀 | 8,030 | +0.25% | 3억 5,200만 | 동사가 개발한 발열을 획기적으로 줄인 트랜스(소형 변압기)를 전기차 업체에 납품 협상을 진행중이라는 소식에 부각 |
그리드위즈 | 19,530 | +0.15% | 3억 1,200만 | PLC 모뎀 1위 제조업체로 화재 예방과 양방향 충전이 가능한 11kW 완속충전기 '스카이블루11' 출시 이력 부각 |
LK삼양 | 1,530 | +0.13% | 3억 1,200만 | 전기차 화재 특화 지능형 열화상 솔루션 개발 부각 |
나노팀 | 5,000 | 0.00% | 1억 2,700만 | 열폭주방지패드를 생산하여 전기차 화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점이 시장 내 부각 |
엔시스 | 7,170 | -0.14% | 1억 | 배터리 제조단계부터 핵심 검사장비를 공급하고 있어 전기차 화재 방지 부각 |
디와이덕양 | 2,300 | -0.22% | 1억 9,800만 | 배터리 및 산업용 열관리 부품 제조업체 디엔씨배터리솔루션의 주식을 취득한 이력 부각 |
티케이지애강 | 836 | -0.24% | 7,300만 | 스프링쿨러 설비 및 소방용 CPVC배관 국내 1위 기업 부각 |
켐트로스 | 4,060 | -0.25% | 1억 4,800만 | 배터리 충전 화재 방지 원천기술 특허 보유 |
소니드 | 338 | -0.29% | 2억 8,400만 | 동사가 개발한 비전도성 액체형 소화약제는 냉각 능력이 우수하고, 전기의 전도를 차단함으로써 누전에 의한 2차 피해를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전기화재(C급)의 초기 소화 및 화재 확산 방지에 효과적인 점이 부각 |
파라텍 | 1,320 | -0.30% | 9,400만 | 충전상황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재의 확산과 열폭주 현상을 동시에 막아주는 '전기차 충전소 전용 소방 설비 및 시스템'에 관한 기술 개발 이력 보유 부각 |
와이엠텍 | 8,860 | -0.45% | 1억 2,000만 | 배터리 내부 전기에너지를 안정적으로 제어하는 릴레이 부품을 제조 및 판매하고 있으며 전기 과부하 사고를 예방 |
성우 | 12,450 | -0.64% | 3억 2,800만 | 2차전지 부품 제조. 주력 제품은 ‘탑캡 어셈블리’(Topcap Ass’y)로, 2차전지의 화재 위험을 낮추는 핵심 부품 |
애경케미칼 | 10,060 | -0.69% | 23억 1,000만 | 기존 리튬이온배터리보다 상대적으로 화재로부터 안전한 나트륨이온배터리가 시장 내 부각되면서 해당 배터리의 필수 부품인 하드카본을 동사가 생산하고 있어 관련주로 편입 |
한컴라이프케어 | 2,735 | -0.73% | 3억 500만 | 무인 자동화 전기차 화재 진압 시스템 개발 및 솔루션 판매 부각 |
위츠 | 6,620 | -0.75% | 2억 8,400만 | GS차지비와 공동으로 화재 예방 기능이 탑재된 유선 전기차 충전기 개발 |
민테크 | 3,110 | -0.96% | 8,400만 | 배터리 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조 불량이나 내부 단락, 과충전이나 과방전, 열 노출 등에 대한 진단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 |
대진첨단소재 | 6,210 | -1.27% | 3억 5,200만 | 전기차 배터리 셀 보호 및 화재 방지를 위한 2차전지 트레이 생산 |
아모그린텍 | 7,030 | -1.40% | 4억 5,400만 | 전기차용 최적의 방열 솔루션을 제작 및 공급 |
이렘 | 894 | -1.54% | 4억 8,200만 | 엑스알비와 전기차 배터리 화재에 대응할 수 있는 바나듐 배터리 생산을 준비 중 |
케이엔에스 | 12,130 | -1.54% | 5억 9,600만 | 원통형 배터리에 적용되는 전류차단장치(CID) 제조 장비 생산을 주력 사업으로 영위하여 배터리 내 압력 상승시 전류 자동 차단 |
태성 | 26,350 | -2.23% | 48억 3,200만 | 전기차의 열폭주를 차단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복합동박 장비 생산 부각 |
이지트로닉스 | 4,305 | -2.38% | 4억 5,600만 | 국내 최초 '저전압 방지 EV충전' 특허 기술 보유 부각 |
이닉스 | 10,740 | -2.72% | 4억 8,100만 | 배터리 화재 확산을 지연하는 '내화격벽', 전기차 주행 중 파우치형 배터리 이탈과 충격을 방지하는 배터리셀 패드 개발 |
한빛레이저 | 4,885 | -3.27% | 10억 9,000만 | 배터리 조립 공정에 사용하는 셀 추적 레이저 마킹 시스템(아이스캔 마커), 비전융합 고속용접 시스템(아이스캔 웰더), 오염물 레이저 세척 시스템(레이저 클리닝) 등에 필요한 레이저 솔루션을 공급 중. |
이랜텍 | 7,110 | -3.40% | 7억 3,600만 | 화재사고 예방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는 가운데 국내에서 유일하게 원통형 셀을 바탕으로 한 '열폭주 화재 전이 안전성 시험(UL 9540A) 인증을 획득 |
한중엔시에스 | 37,050 | -5.48% | 36억 2,000만 | 국내 유일 수냉식 에너지저장장치(ESS) 냉각시스템 기술과 배터리 화재 분리진압으로 확산을 방지하는 기술 보유 |
전기차 부품
2차전지 - 소재/부품
2차전지
ESS(전력저장장치)
자동차 부품 | +17.47 % |
---|---|
전기자동차 부품 | -17.47 % |
초전도체 | 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