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6 18:35 기준
종목명 | 현재가 | 등락률 | 거래대금(원) | 테마 포함 사유 |
---|---|---|---|---|
한선엔지니어링 | 7,250 | +5.69% | 0 | 밸브, 강관, 가스관 파이프 전문회사로 유체 흐름의 제어가 가능한 'S-LOK' 브랜드 제품 제조 |
대동스틸 | 4,550 | +4.48% | 0 | 강관의 주원료인 열연제품을 주력으로 생산하고 있어 가스관사업 확대시 수혜가 예상. |
넥스틸 | 15,780 | +3.07% | 0 | 강관의 생산과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 주요 제품은 유정 굴착 및 채유에 사용되는 OCTG와 송유관 , 배관용 강관, 구조용 강관 등으로 구성 |
부국철강 | 2,385 | +1.06% | 0 | 열연 및 냉연코일 가공업체. 가스관과 직접적 수혜가 예상되는 강관의 주원료인 열연제품을 생산. |
휴스틸 | 4,740 | +0.96% | 0 | 주요제품으로는 배관용 강관과 구조용 강관, 유정용 강관 등을 생산ㆍ판매. |
유에스티 | 2,095 | +0.96% | 0 | 스테인리스 강관 제조/판매. 술적 경쟁력과 고품질의 장점을 기반으로 소구경강관 대비 부가가치가 높은 대구경 스테인리스 강관 시장을 확대 중. |
동양철관 | 1,927 | +0.68% | 0 | 강관 전문 생산업체. 후판(Plate)과 코일(Coil)을 원재료로 가스관, 일반배관, 강관말뚝, 나관, 이형관 등을 제조, 판매. |
삼현철강 | 4,695 | +0.43% | 0 | POSCO 열연판매점으로 가스관과 직접적 수혜가 예상되는 강관의 주원료인 열연제품을 판매중. |
우림피티에스 | 5,130 | +0.39% | 0 | 셰일가스 채굴과 운송에 소요되는 고압밸브 개발 이력 부각 |
디케이락 | 8,240 | +0.37% | 0 | 계장용 피팅 및 밸브 제조업체. 러시아 국영가스공사 가스프롬에 밸브 관련 제품 공급. |
화성밸브 | 11,400 | +0.35% | 0 | 소구경 가스 볼밸브에서 대구경 첨단화학, 플랜트용 밸브까지 생산하는 배관용 밸브생산업체 |
하이스틸 | 5,870 | +0.34% | 0 | 강관 전문 제조업체. 세경관, 소경관부터 원유, 가스수송이 가능한 60인치 대구경 후육강관까지 다양한 제품을 생산 중. |
한국주철관 | 7,290 | 0.00% | 0 | 수도용 주철관 및 강관 제조. 상하수도용 덕타일주철관과 일반사업에 필요한 부품 또는 소재관련 주물제품 등을 생산. |
율촌 | 1,422 | -0.07% | 0 | 인발 기술을 바탕으로 자동차 완충용 장치, 조향장치 및 현가장치에 쓰이는 다양한 규격의 인발강관을 제조하는 사업 영위 |
이엠코리아 | 2,025 | -0.25% | 0 | 터널 굴진기(TBM) 사업 영위중. 2013년 5월 日타이코텍스를 인수, 중소형 TBM을 국내 최초 국산화에 성공. |
동양에스텍 | 1,455 | -0.34% | 0 | 철강제품 제조, 판매업체로 POSCO가 생산하는 열연제품을 전/절단 및 가공하여 판매. |
엔케이 | 815 | -0.37% | 0 | 고압가스 용기(산업용 고압용기, CNG연료용기, 특수산업용기, CNG이동차량용기) 등의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천연가스 저장용기도 생산. |
문배철강 | 2,440 | -0.81% | 0 | 스켈프, 강판, 형강, 후판, 코일, 박판 등의 철강 제품 생산 업체. 가스관과 직접적 수혜가 예상되는 강관의 주원료인 열연제품을 생산. |
SK오션플랜트 | 19,780 | -0.90% | 0 | 유전개발에 필요한 해양구조용 강관과 송유관용 강관, 건축토목용 강관 등을 판매하는 후육강관 전문 제조업체. |
세아제강 | 169,200 | -2.20% | 0 | 구조/유정/배관/상수도용 강관(탄소강관, STS강관, Ti 특수관) 등을 제조/판매중. |
금강공업 | 4,785 | -2.25% | 0 | 강관 및 건설용 가설자재 전문 생산 업체로 일반배관용, 구조용 등의 강관(흑관, 백관, CGI, OCTG 등)을 생산/판매. |
이렘 | 1,095 | -3.10% | 0 | 스테인리스 배관용 강관 제조/판매. |
철강
수도관/수처리
송유관
가덕도신공항
2일 전, 현대경제신문
비철금속 관련주, '룰루랄라 콧노래' 이렘·포스코엠텍·이구산업·대창
알래스카 LNG 개발 사업은 알래스카 최북단에서 생산된 천연가스를 약 1300km 길이의 가스관을 통해 남부 지역으로 이송한 뒤 액화하여 아시아 등지로... 국내 강관 제조 전문기업 이렘이 미국재료시험협회(ASTM) 표준을 적용한 STS(스테인리스) 을 올해 3·4분기부터 본격적으로 납품할 예정이다. 이렘은...
2일 전, 금강일보
[주식마감기사] 트럼프 "일본, 알래스카 LNG 참여" 소식에 하이스틸 상한...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는 약 1300km에 달하는 가스관을 통해 천연가스를 남부로 운송한 뒤 액화해 아시아 지역에 수출하는 대형 에너지 인프라 사업이다. 한국 기업의 참여 가능성도 거론돼 왔다. 이렘은 해당 사업과 관련된 고성능 STS 을 3분기부터 본격적으로 납품할 예정으로, 국내외 수요...
2일 전
[박정식의 국내 주식시황] 미-일 무역협상 타결 소식에 외인, 기관 쌍끌...
▷美·日 알래스카 LNG 합작법인 설립 소식 속 한국 참여 기대감 등에 강관업체, 철강 주요종목, 철강 중소형, 남-북-러 가스관사업, 셰일가스, 피팅(관이음쇠)/밸브, LNG 등 알래스카 LNG 관련 테마 상승. 철강주는 중국 내 철강 생산량 감소 및 트럼프 "일본과 무역협상 타결 완료" 소식 속 韓美 관세 타결...
2일 전, 투데이코리아
혼조세 보인 코스피, 하이스틸·넥스틸·휴스틸·동양철관 등 철강주 '강...
하이스틸은 강관 전문 제조업체로, 다양한 강관 제품의 생산 및 판매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이날 상승은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협상과... 이를 두고 블룸버그는 "미국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1300km 길이의 알래스카 LNG 건설 프로젝트에 일본 정부가 뛰어든 것"이라고 짚었다. 이러한 상황 속...
2일 전, 현대경제신문
철강 중소형 관련주, '덩실덩실' 하이스틸·동양철관·대호특수강·넥스...
1973년 설립된 동양철관은 50년이 넘는 업력을 바탕으로 구조용 강관, 송유관, 가스관, 강관 말뚝, 배관용 강관, 상수도용 도복장 강관 등 국내외 플랜트·에너지·건설 산업 전반에 필수적인 배관자재를 공급하고 있다. 특히 가스 및 석유 수송용 분야에서 동양철관의 API 5L 은 외경과 두께의 다양성...
2일 전, 금강일보
[주식마감기사] 트럼프 "일본, 알래스카 LNG 참여" 소식에 하이스틸 상한...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는 약 1300km에 달하는 가스관을 통해 천연가스를 남부로 운송한 뒤 액화해 아시아 지역에 수출하는 대형 에너지 인프라 사업이다. 한국 기업의 참여 가능성도 거론돼 왔다. 이렘은 해당 사업과 관련된 고성능 STS 을 3분기부터 본격적으로 납품할 예정으로, 국내외 수요...
3일 전, 현대경제신문
비철금속 관련주, '룰루랄라 콧노래' 이렘·포스코엠텍·이구산업·대창
알래스카 LNG 개발 사업은 알래스카 최북단에서 생산된 천연가스를 약 1300km 길이의 가스관을 통해 남부 지역으로 이송한 뒤 액화하여 아시아 등지로... 국내 강관 제조 전문기업 이렘이 미국재료시험협회(ASTM) 표준을 적용한 STS(스테인리스) 을 올해 3·4분기부터 본격적으로 납품할 예정이다. 이렘은...
3일 전, 톱스타뉴스
[코스피 마감 시황] 하이스틸 상한가…강관·건설기계 강세
하이스틸의 급등은 강관 업종 전반에 대한 기대감이 확대된 영향으로, 테마 상에서는 남-북-러 가스관사업이 5%대 이상 상승해 관련주들에 대한 투자심리가 강하게 반영됐다. 또한, 넥스틸(+13.06%), 동양철관(+12.45%) 등 다른 주들도 동반 강세를 보여 이 업종의 집중 수급이 확인됐다. 건설기계 업종도...
3일 전, 톱스타뉴스
[마감 시황] 삼천당제약·하이스틸·도우인시스 상한가
이 종목은 강관업체 테마와 더불어 남-북-러 가스관 사업 기대감이 맞물리면서 단기간 급등을 연출했으며, 동시에 수자원 인프라 및 비철금속 테마로도 수급이 집중됐다. 시장에서 유사한 모멘텀을 보인 이렘 역시 상한가를 기록했으며, 관련 테마 내 투자자 관심이 극대화됐다. 신규 상장 기대감이...
3일 전, 한국경제
일본이 했으니 한국도? LNG주 '상한가' 친 이유
가스관을 통해 알래스카 남부 앵커리지 인근으로 옮겨 아시아 등지로 수출하는 사업이다. 미국은 이 사업을 두고 아시아 국가와의 협력을 강조해 왔다. 사업비가 매우 많이 드는 만큼 외국 투자금으로 재원을 일부 마련하고, 이후 이 사업을 통해 생산한 LNG를 수입해 갈 곳을 미리 확보한다는 취지다. ...
자동차 부품 | +17.47 % |
---|---|
전기자동차 부품 | -17.47 % |
초전도체 | 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