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4 18:34 기준
종목명 | 현재가 | 등락률 | 거래대금(원) | 테마 포함 사유 |
---|---|---|---|---|
휴온스 | 27,300 | +7.91% | 0 | 기존 휴온스에서 의약품 제조사업이 인적 분할됨에 따라 재상장된 업체. 의약품 제조/판매사업 영위. 지주회사인 휴온스글로벌이 16년10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보툴리눔 톡신 제품 '휴톡스'의 수출용 허가를 받았으며, 16년11월 휴온스글로벌로부터 휴톡스의 글로벌 판권을 확보하여 판매 중. |
대웅제약 | 142,900 | +3.55% | 0 | 보툴리눔 톡신 제제 '나보타' 제조/판매. |
파마리서치 | 389,500 | +3.45% | 0 | 재생바이오 전문업체. 자가재생 촉진제인 PDRN/PN 제조 기술을 확보하고, 해당 소재를 기반으로 한 의약품, 의료기기 및 화장품 등 재생제품을 생산/판매.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 A형 독소 및 보툴리눔 독소를 이용한 바이오 의약품을 제조하는 (주) 파마리서치바이오(前바이오씨앤디)를 종속회사로 보유. |
디에스케이 | 5,150 | +3.41% | 0 | 보툴리눔 독소 단백질 치료제 제조/판매업을 영위하는 프로톡스를 주요종속회사로 보유. 자회사가 개발중인 보톡스 ‘프로톡신주’가 식약처로부터 임상 3상 IND(임상시험계획) 승인 |
휴온스글로벌 | 51,700 | +3.19% | 0 | 자회사 휴온스바이오파마, 보톡스 제품 '리즈톡스' 국내 허가 획득. |
휴젤 | 372,000 | +1.78% | 0 | 바이오의약품 전문 업체.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Clostridium botulinum)이라는 미생물(Micro-organism)을 기반으로 A형 보툴리눔 톡신(botulinum toxin type A)을 활용한 바이오의약품을 연구개발/제조. 주요 상표로는 보툴렉스, 더채움, 웰라쥬 등임. 독일에서 보튤리눔 제제 허가. 리도카인 함유액상 보툴리눔 톡신 제제 'HG102'의 임상 1상 완료 |
제테마 | 7,380 | +1.10% | 0 | 피부과용 레이저 의료기기, 보툴리눔 톡신, 필러 등을 개발/제조. 보툴리눔 독소(botulinum toxin)를 활용한 바이오 의약품등을 연구개발 및 제조하고 있음. 중국 보툴리눔 톡신 임상1/2상 IND승인. 보툴리눔 톡신 임상 3상 허가 기대감 보유 |
메디톡스 | 175,500 | +0.46% | 0 | 보톡스로 널리 알려진 보툴리눔 독소 원천기술을 갖고 있는 전문의약품 업체. 주요 사업으로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 A형독소 및 보툴리눔 독소를 이용한 바이오 의약품의 연구/개발 및 제조/판매 영위. 주요 제품으로 보툴리눔 독소 제제 기반 제품인 '메디톡신(해외브랜드명 Neuronox, Siax 등)'과 필러 제품인 '뉴라미스' 등. 국내 유일의 보툴리눔 톡신 제제 코어톡스 대량 생산 돌입 |
유바이오로직스 | 13,120 | +0.23% | 0 | 보툴리눔독소 제제 임상 3상 완료. 상표 '유비톡스주' 출원 및 품목허가 신청 |
알에프텍 | 3,720 | -0.13% | 0 | 20년6월 자회사 알에프바이오(20년4월 물적분할)가 세계 최초로 벌꿀에서 보툴리눔균 분리 동정(분리 후 식별) 성공 및 국가관리 번호 부여받음. |
한국비엔씨 | 4,140 | -0.24% | 0 | 식약처로부터 자체 개발한 보톡스(보툴리눔톡신) 비에녹스주 20년1월 수출허가 획득. 비에녹스주는 현재 국내 임상 1상/2상이 진행 중. |
종근당바이오 | 22,850 | -0.65% | 0 | 보톡스 개발중 |
바이오플러스 | 7,600 | -0.78% | 0 | 히알루론산 필러 2종 하이난 보아오 러청 의료선행구의 특별수입허가 획득 |
청담글로벌 | 5,760 | -0.86% | 0 | 필러 및 보톡스 사업 영위 |
피부미용 - 보톡스/필러
피부미용
코로나 치료제
의료기기
1일 전
중국·유럽서 톡신 '훨훨'... 휴젤, 의료 관광 효과까지 더했다
이는 중국(1, 2월), 유럽(1월), 호주(2월) 등 주요 수출 지역의 보툴리눔 톡신(보톡스) 선적 증가와 의료 관광 활성화에 따른 국내 시장 성장 지속에 힘입은 결과이다. 톡신 매출은 454억원, 필러 매출은 10%대의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가며 333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1분기에 발생했던 ITC 소송 관련...
1일 전, 시장경제신문
"3년새 수출비중 2배 껑충"... 대웅제약, 1조 신약 순항중
지난 20년간 글로벌 톡신 시장은 '보톡스'를 처음 선보인 미국 제약사 '에브비'가 장악해 왔다. '보톡스'라는 브랜드명이 보툴리눔 톡신 전체를 대표하는 고유명사처럼 쓰일 정도다. 하지만 에브비가 최근 3년 사이 제품 가격을 인상하면서, 소비자들의 이탈 조짐이 보였고, 이 틈을 타 한국 기업들이 각국의...
1일 전
중국·유럽서 톡신 '훨훨'... 휴젤, 의료 관광 효과까지 더했다
이는 중국(1, 2월), 유럽(1월), 호주(2월) 등 주요 수출 지역의 보툴리눔 톡신(보톡스) 선적 증가와 의료 관광 활성화에 따른 국내 시장 성장 지속에 힘입은 결과이다. 톡신 매출은 454억원, 필러 매출은 10%대의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가며 333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1분기에 발생했던 ITC 소송 관련...
2일 전, 벤처창업신문
美 톡신 시장 뚫은 '나보타'…"톡신·필러 동시 시술" 통했다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미용 톡신 시장 1위 기업 애브비의 보톡스 매출이 올해 1분기 5억 5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2% 감소했다"라며 "미국 내 소비 여력 감소와 경쟁 심화로 인한 현상이다. 지금이야말로 합리적인 가격과 경쟁력 있는 성능을 갖춘 제품들이 시장 침투율을 높일 수 있는 적기"라고 분석했다....
2일 전
나보타 반격 시작 대웅제약 주가 들썩... 보톡스 시장 재탈환 박차
대웅제약이 자사의 보툴리눔 톡신 제제 '나보타'를 앞세워 글로벌 보톡스 시장 재공략에 박차를 가하면서 주가에 훈풍을 불어 넣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미국과 유럽에서의 매출 회복과 함께 신시장 개척에 박차를 가하며 K-의 자존심을 다시 세우겠다는 의지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미국과 유럽...
2일 전, 이데일리
'몸값 5000억' LG화학 필러 인수전 파장...유력후보 줄줄이 이탈, 향배는...
A:휴젤은 중국에 필러, 보톡스 모두 인허가를 받았다. 그런데 굳이 LG화학 필러를 살 이유가 없다. 휴젤의 지난해 중국 매출이 860억원이다. LG화학 필러 사업부를 매력적으로 느낄 것 같지 않다. 마찬가지로 HSBC와 얘기가 오간 것으로 안다. -그럼 휴메딕스인가. B:휴메딕스도 중국에 자사 필러 브랜드가...
2일 전, 머니투데이
'자체신약' 덕분에…대웅제약·HK이노엔, 1분기 호실적
올해 1분기 기준 애브비의 '보톡스' 매출은 5억5000만달러(약 7830억원), 필러 제품인 '쥬비덤' 매출은 2억3000만달러(약 3300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2%, 22% 감소했다. 위해주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애브비 보톡스 등 매출 감소는) 미국 내 소비 여력이 줄고 경쟁이 심화됐기 때문으로 추정된다"며...
3일 전, 헬스조선
대웅제약 ‘나보타’, 보톡스 시장 점유율 탈환 ‘시동’
해외 파트너사를 통한 톡신·필러 동시 시술과 젊은 소비자 공략을 통해 1위 제품인 ‘보톡스’의 점유율을 가져오겠다는 전략이다. 1일 대웅제약에... 한국투자증권 위해주 연구원은 “미용 톡신 점유율 1위 기업 애브비의 1분기 매출은 5억5000만달러로 전년 대비 12% 감소했다. 미국 내 소비 여력...
3일 전, 머니투데이
'자체신약' 덕분에…대웅제약·HK이노엔, 1분기 호실적
올해 1분기 기준 애브비의 '보톡스' 매출은 5억5000만달러(약 7830억원), 필러 제품인 '쥬비덤' 매출은 2억3000만달러(약 3300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2%, 22% 감소했다. 위해주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애브비 보톡스 등 매출 감소는) 미국 내 소비 여력이 줄고 경쟁이 심화됐기 때문으로 추정된다"며...
4일 전, 이데일리
"비만·당뇨치료제 개발 및 수출 확대로 실적 퀀텀점프"[바이오플러스 ...
바이오 컴플렉스의 연간 최대 생산능력은 히알루론산 필러 4000만개를 비롯해 비만·당뇨 치료제 4000만개, 보툴리눔 톡신(보톡스) 3600만개를 각각 생산할 수 있다. 이는 국내 최대 규모로 알려졌다. 바이오플러스는 현재 바이오 컴플렉스의 △복합동(의료기기, 화장품 완제품 등) △바이오 A동(의약품 원료 및...
자동차 부품 | +17.47 % |
---|---|
전기자동차 부품 | -17.47 % |
초전도체 | 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