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S(전력저장장치) 테마 설명 테마록 125 위
  • 관련 종목 49
  • 상승 종목 21
  • 하락 종목 27
+4.28% (등락룰 TOP5 종목 평균)
  • 최고 등락률 +8.34%
  • 최저 등락률 +2.52%
  • 전체 거래 대금 6,655억
  • TOP5 거래 대금 4,407억

2025-07-15 04:33 기준

일별 등락률

관련 종목
종목명 현재가 등락률 거래대금(원) 테마 포함 사유
신성에스티 40,900 +8.34% 103억 6,300만 부산시와 투자협약을 체결하여 부산시 강서구 미음외국인투자지역에 ESS(에너지저장장치, Energy Stroage System) 전문 제조공장을 설립하여 생산 CAPA를 확대하고, 북미지역에 현지 법인을 설립하여 고객사 현지대응을 확대할 계획
유니온 4,990 +4.72% 45억 800만 바나듐 등 철강 제련 첨가제를 공급하는 희유금속 사업을 진행
효성중공업 1,008,000 +3.07% 653억 2,700만 (주)효성에서 중공업 및 건설사업부문이 인적분할되어 재상장된 업체. ESS사업을 통해 시스템 공급부터 유지보수, 구축을 위한 컨설팅 사업을 수행. 국내에서 처음으로 ESS 제품을 상용화했으며, ESS용 PCS 국제인증(CE)을 획득(110kW, 250kW급 2종).
원익피앤이 3,160 +2.76% 6억 5,100만 소용량의 가정용 ESS, 산업용 ESS 솔루션 제공
LG전자 77,200 +2.52% 1,388억 2,800만 100kW 규모 소규모 태양광 발전용 올인원 ESS 출시했으며, 태양광 인버터와 배터리 인버터 기능을 합친 차세대 가정용 ESS를 독일에 출시함.
유니온머티리얼 1,667 +2.46% 4억 2,900만 관계사 유니온이 바나듐 등 철강 제련 첨가제를 공급하는 희유금속 사업을 진행
동국알앤에스 2,485 +2.05% 2억 5,100만 ESS분야에서 게임체인저가 될 것으로 기대되는 바나듐배터리 수혜주로 부각
피엔티 32,550 +1.72% 55억 4,900만 ESS용 중대형 2차전지의 분리막, 음극, 양극 소재를 생산. 중국 전력원에 ESS용 설비를 납품.
SK디앤디 10,920 +1.30% 6억 7,900만 17년11월 에너지제어시스템(PMS) 사업을 영위하는 벤처기업 그리드위즈와 ESS사업 공동추진을 위한 양해각서 체결. 17년12월 대성산업가스와 110MWh 규모 ESS 통합 구축 계약 체결.
유니테크노 3,010 +1.01% 9,300만 삼성SDI에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셀케이스 공급하고 있어 부각
씨아이에스 7,350 +0.96% 21억 3,100만 2차전지 전극제조 장비 제조업체. 2차 전지 전공정에 해당하는 Coater M/C, Calender M/C, Slitter M/C 및 Tape Laminator를 생산.
삼성SDI 181,100 +0.95% 716억 2,900만 에너지솔루션 사업부문에서 전력저장장치(ESS) 사업 영위. 주택용인 kWh급부터 산업용 MWh급까지 광범위한 용량과 규격의 리튬-이온 배터리 시스템을 생산/판매중.
포스코DX 24,350 +0.83% 79억 1,900만 ESS 기술의 핵심인 전력조절 시스템(PSC)을 바탕으로 ESS를 구축해서 스마트그리드를 운영한 실적과 수주경험이 있음. 특히, 전남 신안군 팔금도에 에너지저장시스템인 ESS와 관련 엔지니어링 기술을 적용해 독립전력망(MicroGrid)을 구축하는 사업에 참여.
캐리 4,885 +0.83% 17억 8,200만 전력변환기술 기반의 신재생에너지(태양광에너지) 전문업체. 태양광시스템 중 전력변환장치인 태양광인버터와 ESS용 PCS를 주력으로 생산.
금양그린파워 10,360 +0.78% 1억 8,400만 에너지 저장장치(ESS) 누적 675MW 설치 실적 보유, 대규모 공공ESS 수주 이력 부각
LG화학 273,500 +0.55% 568억 9,400만 ESS용 리튬이용전지 등을 생산/판매중. 2010년 미국 캘리포니아 최대 전력사인 SCE社에 가정용ESS 배터리를 납품한 데 이어 2011년 11월 세계 최대 전력엔지니어링 회사인 ABB社와 MW급 ESS 배터리 공급계약을 체결. 2012년 6월 독일 IBC솔라와 태양광발전용 ESS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하였고, 2013년 5월에는 SCE社가 추진하는 ESS 실증사업의 리튬이온 배터리 공급 업체로 선정.
피아이이 10,000 +0.40% 96억 9,800만 ESS용 베터리 셀 품질 안정 및 생산성 극대화에 필수적인 솔루션 제공
한중엔시에스 27,350 +0.37% 44억 4,100만 에너지 저장 장치 부품 개발, 제조. 큐브젠(휴대용 ESS)을 개발하여 ESS가 안고 있는 가장 큰 이슈인 화제, 열폭주, 안정성, 제전, 냉각 및 항온 항습 제어 등을 개선 후 삼성SDI 협력사로 선정되어 본격적인 ESS 사업에 진출. 국내 최초로 ESS용 수냉 냉각 시스템을 상용화한 경험을 토대로 차세대 제품을 개발 중
세아메카닉스 3,070 +0.33% 11억 6,900만 LG에너지솔루션(LG엔솔)의 북미향 전력망 에너지저장장치(ESS)에 다이캐스팅 부품을 공급
세방전지 72,300 +0.28% 31억 9,600만 로케트 배터리 브랜드를 보유한 각종 축전지 제조/판매업체. 태양광, 풍력, 스마트그리드 융합용으로 1~3㎾ 소형부터 50㎾급 ESS를 개발했으며, 300kW급 전기차 충전기용 ESS 개발도 성공함.
비츠로셀 27,650 +0.18% 25억 7,000만 업계 상위 리튬일차전지 제조업체. 주력 제품인 리튬염화티오닐 전지는 디지털미터기, RFID, 통신기기, GPS, 카메라, 보안장비, 군용 비축전지 등에 사용됨.
그리드위즈 23,400 0.00% 18억 9,900만 ESS 및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 공사/운영 관리 사업을 영위
와이엠텍 9,520 -0.10% 6,400만 ESS용 EV Relay 공급
파워로직스 4,730 -0.11% 3억 5,600만 2011년 충북 오창 과학산업단지내 본사에 태양광 발전시설을 구축하고 태양광 연계형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진출을 본격화함. 2012년 12월 신성솔라에너지와 고효율 태양광 ESS 일체형 시스템 공동개발, 판매제휴 협약 체결.
한국전력 36,950 -0.14% 1,044억 5,100만 하이브리드 에너지저장장지(ESS)에 적용되는 메가와트(MW)급 주파수 조정용 슈퍼커패시터의 경제적 모델 개발을 위해 실증 연구과제 진행
삼화콘덴서 26,200 -0.38% 4억 1,300만 세라믹 소재를 이용한 전기차 및 신재생에너지 인버터용 DC 링크 커패시터(전력변환콘덴서) 개발. 현대모비스에 하이브리드카·전기차용 직류연결 콘덴서 공급. LTO 복합 소재를 적용한 15C급 급속 충방전 ESS용 배터리커패시터 개발.
LS ELECTRIC 264,500 -0.38% 341억 6,300만 전력제어 부품인 인버터(PCU) 및 BDU(Battery Disconnect Unit)를 생산/판매하고 있으며, 태양광 시스템 관련 ESS(전력저장장치)를 개발.
유일에너테크 1,442 -0.48% 5,900만 친환경 에너지(2차전지, 연료전지, 태양전지 등) 제조 장비 및 기타 산업용 자동화 장비 개발/제조/판매. 전기차 및 ESS용 2차전지 제조를 위한 조립공정의 핵심 설비 제조. 주요 생산 제품은 전기차 및 ESS용 2차전지 제조를 위한 조립 공정용 Notching기, Stacking기, Tab welding기 등임.
비나텍 30,350 -0.49% 4억 1,600만 다량의 전력을 일시에 저장해두었다가 필요에 따라 순간적으로 전력을 방출하는 슈퍼커패시터 사업(자동차용 기어박스, 블랙박스 등에 사용되는 중형 커패시터 등)을 영위. 한국전력[015760]과 하이브리드 에너지저장장지(ESS)에 적용되는 메가와트(MW)급 주파수 조정용 슈퍼커패시터의 경제적 모델 개발을 위해 실증 연구과제 진행
SK이노베이션 115,500 -0.52% 248억 2,000만 SK그룹 계열의 종합에너지기업. 배터리 사업을 영위중. 친환경 전기자동차 및 ESS (Energy Storage System)에 사용되는 대용량 리튬-이온 배터리를 생산/판매중. 현대/기아자동차 및 독일 다임러 자동차에 배터리를 공급중.
삼진엘앤디 775 -0.64% 2,100만 전력저장장치(ESS)용 APU(발전소용 예비저장장치)개발과 함께 관련 APU제품을 삼성SDI에 납품 중.
지투파워 9,150 -0.76% 10억 2,300만 ESS 배전반 감시 진단 기술 보유, 태양광 연계용 ESS 설치
신성이엔지 1,672 -0.77% 119억 5,800만 태양광 사업 부문에서 태양광 제품을 생산하여 판매하는 사업과 직접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ESS를 설치하는 사업을 영위.
이렘 907 -0.87% 4억 9,300만 바나듐 배터리를 신성장동력으로 삼고 VRFB 전문기업 엑스알비의 지분 28%를 취득해 2대주주
SK이터닉스 22,500 -1.32% 89억 7,700만 국내 약 800MWh 규모의 피크저감형 ESS와 신재생 연계형 ESS를 보유 운영
EG 5,900 -1.34% 1억 6,900만 관계사인 EG메탈이 바나듐(V), 몰리브덴(Mo)을 추출하기 위한 공장을 준공
티플랙스 3,420 -1.44% 3억 5,400만 ESS분야에서 게임체인저가 될 것으로 기대되는 바나듐배터리 수혜주로 부각
애경케미칼 12,820 -1.54% 132억 7,500만 음극재용 하드카본으로 나트륨이온배터리(SIB) ESS 시장을 공략할 계획
상아프론테크 17,600 -1.57% 8억 9,100만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 전문 생산업체. 삼성SDI의 2차전지 부문 협력업체로 전기차 에너지저장시스템(ESS) 관련 부품을 납품.
HD현대에너지솔루션 44,000 -1.68% 31억 500만 현대중공업그룹 계열의 태양광업체. 2018년 5월 계열회사 현대힘스㈜로부터 제어시스템 사업부문을 인수하여 제어시스템 사업부를 신설하였으며, 본격적으로 인버터 및 ESS 판매를 개시. 태양광 모듈/셀 판매에서 벗어나 인버터, ESS 관련 시스템 부문의 매출 비중 확대 중.
삼화전자 5,520 -1.95% 7억 3,300만 ESS분야에서 게임체인저가 될 것으로 기대되는 바나듐배터리 수혜주로 부각
LG에너지솔루션 315,000 -2.02% 604억 2,700만 ESS용 배터리 생산 /미국 기업인 NEC 에너지 솔루션 기업 인수를 통해 ESS SI 분야 진출
알에스오토메이션 15,380 -2.16% 5억 6,400만 로봇 모션 제어기, 드라이브 및 에너지 제어 장치와 같은 산업용 제어 솔루션을 제조, 판매하는 업체. ESS용 PCS, 태양광용 PCS, Power Stack, UPS(상품) 등을 생산.
대명에너지 25,900 -2.26% 17억 9,300만 풍력, 태양광 연계 ESS 설치공사, 건물/공장 연계형 피크컷 ESS 시스템 구축
삼화전기 28,200 -2.42% 11억 9,400만 콘덴서 제조/판매 업체. 전기자동차에서 정차 및 감속 시 낭비되는 에너지를 전기로 저장하는 초고용량 커패시터 그린캡(Green-Cap)을 생산/판매.
서진시스템 21,800 -2.46% 36억 7,300만 ESS부품인 에너지저장장치 케이스 및 구동장치를 제조.
대진첨단소재 8,900 -3.05% 10억 2,200만 미국 엑셀시오 에너지 캐피탈이 추진하고 글로벌 2차 전지 배터리 기업이 담당하는 7.5GWh 규모의 ESS 프로젝트에 ESS 공정용 대전방지 트레이를 공급
엠플러스 9,250 -3.55% 6억 9,600만 파우치형의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온 이차전지 조립공정 장비 제조업체. 조립 장비는 공정순서대로 노칭기, 스태킹기, 탭웰딩기, 패키징기, 디개싱기 등으로 구분. 대면적, 대용량의 배터리가 사용되는 전기자동차용 및 ESS용 이차전지 생산 장비에 집중.
누리플랜 1,614 -5.45% 1억 9,000만 ESS재생에너지의 원천기술로 꼽히는 '바나듐 레독스 흐름전지(VRFB)' 개발

테마 포커스

유사 테마

관련 뉴스

  • 7일 전, 브릿지경제

    [비바100] 기름으로 식히는 미래, 액침냉각 시대가 온다

    정유업계는 액침냉각용 냉각유를 개발하며 데이터센터를 넘어 전기차 배터리, 에너지 저장장치(ESS), 우주 장비 등으로 기술의 응용 범위를 넓혀가고... 이 기술은 선박용 ESS 냉각 시스템에도 적용돼 상용화 단계에 진입했으며, 조선업계와 협력도 확대되고 있다. 또한 세계 최대 액침냉각 시스템 기업인 미국...

    뉴스 썸네일
  • 7일 전, NEWS1

    전기차 캐즘 완화, K-배터리 실적 개선 온도차…LG·SK '갬' 삼성 '먹구름...

    유지웅 다올투자증권 연구원은 "견조한 대형전기 출고 흐름과 함께 에너지저장장치(ESS) 실적 모멘텀 개화가 임박했다"며 "연초 이후 지속된 자동차 및 상호관세에 대한 불확실성이 꾸준히 제기된 가운데 제너럴모터스(GM)의 경우 2분기 대형전지 재고조정이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뉴스 썸네일
  • 8일 전, 뉴스투데이

    [미네르바의 눈] AI 데이터센터의 “전력수요 변동성 크다”는 문제, BE...

    [출처=eticaag] 우리의 경우 LG에너지솔루션을 비롯해 삼성SDI 및 SK온 등 글로벌 배터리 3대 기업을 보유하고 있는데 침체에 빠진 ESS 사업의 활성화는 물론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도 이러한 BESS 사업에 대한 범국가적인 지원 정책을 강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 [정리=최봉 산업경제 전문기자]...

    뉴스 썸네일
  • 8일 전, 경상일보

    울산시, 우즈벡과 청정에너지 분야 맞손

    특히 재생에너지와 LNG 발전소의 개발·건설·운영을 주요 협력 분야로 설정하고,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분야까지 사업영역을 넓힐 수 있도록 노력하기로 했다. 또 우즈베키스탄의 청정에너지 확대 정책에 부응하며, 민자발전사업자(IPP) 모델을 적용한 사업개발과 민관협력(PPP) 프로젝트를 추진하기로 했다....

    뉴스 썸네일
  • 8일 전, 톱스타뉴스

    우즈베키스탄, 한국과 손잡고 청정에너지 신시장 연다

    특히 현장에서 동서발전과 기업들은 LNG 발전소, 에너지저장장치(ESS), 수력·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추진을 공식화했다. 현대로템, 한국지역난방공사, 두산에너빌리티 등은 이미 현지 사업 확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에 대해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한국 대기업의 현지 투자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며 실무...

    뉴스 썸네일
  • 8일 전

    K-청정에너지 우즈베키스탄 진출 울산시가 '물꼬'

    양해각서 체결로 국내 대기업들은 우즈벡에서 재생에너지 및 LNG 발전소의 개발, 건설, 운영과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등을 추진하기로 뜻을 모았다. 이 자리에서 김두겸 울산시장은 "이번 양국의 교류를 통해 자국의 이익과 기업이 클 수 있는 기회가 되면 좋겠다. 울산의 기업들에게도 우즈벡 진출 등 투자를...

    뉴스 썸네일
  • 8일 전, 울산제일일보

    울산, 우즈벡 청정에너지 시장 진출

    혁신적이고 지속가능한 청정에너지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추진하고 우즈벡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산업발전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재생에너지 및 LNG발전소의 개발·건설·운영(에너지저장시스템 ESS 포함 가능)에 협력하기 위한 상호협정이다. 시에 따르면 이번 양해각서는 '한국동서발전'의 LNG발전소...

    뉴스 썸네일
  • 8일 전, 울산매일

    [사설] 울산과 우즈벡의 청정에너지 협력에 거는 기대

    LNG 발전소 건설·운영 노하우부터 재생에너지, 에너지저장시스템(ESS)에 이르기까지 청정에너지 전환 시대를 선도할 역량을 갖췄다. 그러나 성장의 핵심인 각종 자원의 해외 의존도는 매우 높은 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즈베키스탄과의 협력은 가뭄의 단비와도 같다. 특히 세계 3위의 매장량을 자랑하는...

  • 8일 전, 한국농정

    [창간특집] '중앙' 위한 희생 강요…농촌, '내부 식민지'서 해방 절실

    농촌목회자로서 지역 시민사회운동에 동참해 온 박성율 홍천 작은촛불교회 목사(원주녹색연합 공동대표)는 "에너지 저장체계(ESS) 등을 통한 도시 자체 전력수급과 같은 에너지 분산정책 없이 서울은 계속 외부에서 전기를 받아쓰고, 그 결과 (송전선로 및 발전소의 무분별한 건설로) 지역 파괴와 주민 간 갈등이...

    뉴스 썸네일
  • 8일 전, 전자신문

    [미리보는 데이터센터 서밋]<1>국내외 데이터센터 업계 총출동…지속가...

    사례' △이온 'Hybrid ESS를 통한 전력영향평가 및 분산에너지 활성화 대응 방안' △에지노드 '지속 가능한 친환경 데이터센터를 위한 스마트한 선택' 등이 있다. 국내외 동향을 공유하는 시간도 마련됐다. 주한호주대사관이 참석해 '호주 재생에너지기반의 AI데이터센터 산업추진 계획'을 발표하고...

    뉴스 썸네일
더보기

실시간 테마 순위

자동차 부품 +17.47 %
전기자동차 부품 -17.47 %
초전도체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