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S(전력저장장치) 테마 설명 테마록 91 위
  • 관련 종목 51
  • 상승 종목 19
  • 하락 종목 31
+4.67% (등락룰 TOP5 종목 평균)
  • 최고 등락률 +10.60%
  • 최저 등락률 +2.20%
  • 전체 거래 대금 11,585억
  • TOP5 거래 대금 9,064억

2025-11-19 23:08 기준

일별 등락률

관련 종목
종목명 현재가 등락률 거래대금(원) 테마 포함 사유
캐리 1,607 +10.60% 10억 400만 전력변환기술 기반의 신재생에너지(태양광에너지) 전문업체. 태양광시스템 중 전력변환장치인 태양광인버터와 ESS용 PCS를 주력으로 생산.
유니온머티리얼 1,449 +4.77% 28억 3,100만 관계사 유니온이 바나듐 등 철강 제련 첨가제를 공급하는 희유금속 사업을 진행
LS ELECTRIC 475,000 +3.49% 1,189억 2,800만 전력제어 부품인 인버터(PCU) 및 BDU(Battery Disconnect Unit)를 생산/판매하고 있으며, 태양광 시스템 관련 ESS(전력저장장치)를 개발.
유니온 4,275 +2.27% 11억 5,500만 바나듐 등 철강 제련 첨가제를 공급하는 희유금속 사업을 진행
삼화전자 2,790 +2.20% 2억 8,800만 ESS분야에서 게임체인저가 될 것으로 기대되는 바나듐배터리 수혜주로 부각
티플랙스 2,910 +1.39% 1억 7,800만 ESS분야에서 게임체인저가 될 것으로 기대되는 바나듐배터리 수혜주로 부각
동국알앤에스 2,235 +1.36% 1억 1,400만 ESS분야에서 게임체인저가 될 것으로 기대되는 바나듐배터리 수혜주로 부각
금양그린파워 12,500 +1.21% 5억 3,300만 에너지 저장장치(ESS) 누적 675MW 설치 실적 보유, 대규모 공공ESS 수주 이력 부각
세방전지 58,600 +0.86% 27억 5,200만 로케트 배터리 브랜드를 보유한 각종 축전지 제조/판매업체. 태양광, 풍력, 스마트그리드 융합용으로 1~3㎾ 소형부터 50㎾급 ESS를 개발했으며, 300kW급 전기차 충전기용 ESS 개발도 성공함.
알에스오토메이션 12,300 +0.74% 11억 2,500만 로봇 모션 제어기, 드라이브 및 에너지 제어 장치와 같은 산업용 제어 솔루션을 제조, 판매하는 업체. ESS용 PCS, 태양광용 PCS, Power Stack, UPS(상품) 등을 생산.
EG 5,640 +0.71% 1억 700만 관계사인 EG메탈이 바나듐(V), 몰리브덴(Mo)을 추출하기 위한 공장을 준공
LG화학 390,500 +0.64% 799억 2,200만 ESS용 리튬이용전지 등을 생산/판매중. 2010년 미국 캘리포니아 최대 전력사인 SCE社에 가정용ESS 배터리를 납품한 데 이어 2011년 11월 세계 최대 전력엔지니어링 회사인 ABB社와 MW급 ESS 배터리 공급계약을 체결. 2012년 6월 독일 IBC솔라와 태양광발전용 ESS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하였고, 2013년 5월에는 SCE社가 추진하는 ESS 실증사업의 리튬이온 배터리 공급 업체로 선정.
코윈테크 14,810 +0.61% 7억 8,100만 ESS 제조 공정 AMR 및 조립 로봇 수주
SK이노베이션 116,600 +0.52% 238억 4,300만 SK그룹 계열의 종합에너지기업. 배터리 사업을 영위중. 친환경 전기자동차 및 ESS (Energy Storage System)에 사용되는 대용량 리튬-이온 배터리를 생산/판매중. 현대/기아자동차 및 독일 다임러 자동차에 배터리를 공급중.
비나텍 50,700 +0.40% 33억 3,900만 다량의 전력을 일시에 저장해두었다가 필요에 따라 순간적으로 전력을 방출하는 슈퍼커패시터 사업(자동차용 기어박스, 블랙박스 등에 사용되는 중형 커패시터 등)을 영위. 한국전력[015760]과 하이브리드 에너지저장장지(ESS)에 적용되는 메가와트(MW)급 주파수 조정용 슈퍼커패시터의 경제적 모델 개발을 위해 실증 연구과제 진행
지투파워 7,740 +0.39% 9억 2,300만 ESS 배전반 감시 진단 기술 보유, 태양광 연계용 ESS 설치
누리플랜 2,385 +0.21% 1억 ESS재생에너지의 원천기술로 꼽히는 '바나듐 레독스 흐름전지(VRFB)' 개발
SK디앤디 12,630 +0.08% 4억 1,200만 17년11월 에너지제어시스템(PMS) 사업을 영위하는 벤처기업 그리드위즈와 ESS사업 공동추진을 위한 양해각서 체결. 17년12월 대성산업가스와 110MWh 규모 ESS 통합 구축 계약 체결.
SK이터닉스 17,570 +0.06% 49억 7,200만 국내 약 800MWh 규모의 피크저감형 ESS와 신재생 연계형 ESS를 보유 운영
세아메카닉스 2,655 0.00% 5억 6,000만 LG에너지솔루션(LG엔솔)의 북미향 전력망 에너지저장장치(ESS)에 다이캐스팅 부품을 공급
엠플러스 14,660 -0.07% 12억 4,000만 파우치형의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온 이차전지 조립공정 장비 제조업체. 조립 장비는 공정순서대로 노칭기, 스태킹기, 탭웰딩기, 패키징기, 디개싱기 등으로 구분. 대면적, 대용량의 배터리가 사용되는 전기자동차용 및 ESS용 이차전지 생산 장비에 집중.
삼화콘덴서 28,800 -0.17% 16억 9,200만 세라믹 소재를 이용한 전기차 및 신재생에너지 인버터용 DC 링크 커패시터(전력변환콘덴서) 개발. 현대모비스에 하이브리드카·전기차용 직류연결 콘덴서 공급. LTO 복합 소재를 적용한 15C급 급속 충방전 ESS용 배터리커패시터 개발.
비츠로셀 27,050 -0.37% 8억 3,700만 업계 상위 리튬일차전지 제조업체. 주력 제품인 리튬염화티오닐 전지는 디지털미터기, RFID, 통신기기, GPS, 카메라, 보안장비, 군용 비축전지 등에 사용됨.
서진시스템 22,500 -0.44% 63억 8,500만 ESS부품인 에너지저장장치 케이스 및 구동장치를 제조.
LG전자 87,100 -0.57% 531억 1,800만 100kW 규모 소규모 태양광 발전용 올인원 ESS 출시했으며, 태양광 인버터와 배터리 인버터 기능을 합친 차세대 가정용 ESS를 독일에 출시함.
이렘 723 -0.96% 1억 7,700만 바나듐 배터리를 신성장동력으로 삼고 VRFB 전문기업 엑스알비의 지분 28%를 취득해 2대주주
유니테크노 3,655 -1.22% 49억 3,300만 삼성SDI에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셀케이스 공급하고 있어 부각
LG에너지솔루션 437,500 -1.24% 1,087억 300만 ESS용 배터리 생산 /미국 기업인 NEC 에너지 솔루션 기업 인수를 통해 ESS SI 분야 진출
씨아이에스 6,770 -1.31% 12억 7,100만 2차전지 전극제조 장비 제조업체. 2차 전지 전공정에 해당하는 Coater M/C, Calender M/C, Slitter M/C 및 Tape Laminator를 생산.
포스코DX 24,650 -1.60% 102억 7,600만 ESS 기술의 핵심인 전력조절 시스템(PSC)을 바탕으로 ESS를 구축해서 스마트그리드를 운영한 실적과 수주경험이 있음. 특히, 전남 신안군 팔금도에 에너지저장시스템인 ESS와 관련 엔지니어링 기술을 적용해 독립전력망(MicroGrid)을 구축하는 사업에 참여.
신성이엔지 1,515 -1.62% 29억 1,800만 태양광 사업 부문에서 태양광 제품을 생산하여 판매하는 사업과 직접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ESS를 설치하는 사업을 영위.
삼성SDI 296,500 -1.66% 1,226억 2,900만 에너지솔루션 사업부문에서 전력저장장치(ESS) 사업 영위. 주택용인 kWh급부터 산업용 MWh급까지 광범위한 용량과 규격의 리튬-이온 배터리 시스템을 생산/판매중.
삼화전기 29,000 -1.69% 10억 4,300만 콘덴서 제조/판매 업체. 전기자동차에서 정차 및 감속 시 낭비되는 에너지를 전기로 저장하는 초고용량 커패시터 그린캡(Green-Cap)을 생산/판매.
HD현대에너지솔루션 52,400 -1.69% 40억 7,800만 현대중공업그룹 계열의 태양광업체. 2018년 5월 계열회사 현대힘스㈜로부터 제어시스템 사업부문을 인수하여 제어시스템 사업부를 신설하였으며, 본격적으로 인버터 및 ESS 판매를 개시. 태양광 모듈/셀 판매에서 벗어나 인버터, ESS 관련 시스템 부문의 매출 비중 확대 중.
대진첨단소재 4,020 -1.83% 20억 300만 미국 엑셀시오 에너지 캐피탈이 추진하고 글로벌 2차 전지 배터리 기업이 담당하는 7.5GWh 규모의 ESS 프로젝트에 ESS 공정용 대전방지 트레이를 공급
애경케미칼 9,960 -2.06% 26억 4,400만 음극재용 하드카본으로 나트륨이온배터리(SIB) ESS 시장을 공략할 계획
파워로직스 3,890 -2.14% 6억 2,700만 2011년 충북 오창 과학산업단지내 본사에 태양광 발전시설을 구축하고 태양광 연계형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진출을 본격화함. 2012년 12월 신성솔라에너지와 고효율 태양광 ESS 일체형 시스템 공동개발, 판매제휴 협약 체결.
원익피앤이 3,180 -2.15% 3억 2,500만 소용량의 가정용 ESS, 산업용 ESS 솔루션 제공
상아프론테크 16,000 -2.44% 11억 5,200만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 전문 생산업체. 삼성SDI의 2차전지 부문 협력업체로 전기차 에너지저장시스템(ESS) 관련 부품을 납품.
삼진엘앤디 800 -2.56% 2,900만 전력저장장치(ESS)용 APU(발전소용 예비저장장치)개발과 함께 관련 APU제품을 삼성SDI에 납품 중.
대명에너지 19,380 -2.61% 6억 700만 풍력, 태양광 연계 ESS 설치공사, 건물/공장 연계형 피크컷 ESS 시스템 구축
피아이이 7,460 -2.61% 41억 8,200만 ESS용 베터리 셀 품질 안정 및 생산성 극대화에 필수적인 솔루션 제공
그리드위즈 14,750 -2.64% 2억 5,200만 ESS 및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 공사/운영 관리 사업을 영위
피엔티 39,800 -2.69% 56억 6,500만 ESS용 중대형 2차전지의 분리막, 음극, 양극 소재를 생산. 중국 전력원에 ESS용 설비를 납품.
효성중공업 2,018,000 -2.84% 1,699억 8,300만 (주)효성에서 중공업 및 건설사업부문이 인적분할되어 재상장된 업체. ESS사업을 통해 시스템 공급부터 유지보수, 구축을 위한 컨설팅 사업을 수행. 국내에서 처음으로 ESS 제품을 상용화했으며, ESS용 PCS 국제인증(CE)을 획득(110kW, 250kW급 2종).
OCI홀딩스 105,700 -2.85% 102억 5,700만 북미 태양광 및 에너지저장장치(ESS) 프로젝트 개발사업을 하는 OCI 에너지 소유
한중엔시에스 44,600 -3.04% 68억 4,300만 에너지 저장 장치 부품 개발, 제조. 큐브젠(휴대용 ESS)을 개발하여 ESS가 안고 있는 가장 큰 이슈인 화제, 열폭주, 안정성, 제전, 냉각 및 항온 항습 제어 등을 개선 후 삼성SDI 협력사로 선정되어 본격적인 ESS 사업에 진출. 국내 최초로 ESS용 수냉 냉각 시스템을 상용화한 경험을 토대로 차세대 제품을 개발 중
신성에스티 37,400 -3.11% 29억 1,300만 부산시와 투자협약을 체결하여 부산시 강서구 미음외국인투자지역에 ESS(에너지저장장치, Energy Stroage System) 전문 제조공장을 설립하여 생산 CAPA를 확대하고, 북미지역에 현지 법인을 설립하여 고객사 현지대응을 확대할 계획
와이엠텍 7,500 -3.60% 3억 5,400만 ESS용 EV Relay 공급
한국전력 47,250 -4.55% 3,861억 1,500만 하이브리드 에너지저장장지(ESS)에 적용되는 메가와트(MW)급 주파수 조정용 슈퍼커패시터의 경제적 모델 개발을 위해 실증 연구과제 진행
유일에너테크 2,200 -7.17% 13억 5,900만 친환경 에너지(2차전지, 연료전지, 태양전지 등) 제조 장비 및 기타 산업용 자동화 장비 개발/제조/판매. 전기차 및 ESS용 2차전지 제조를 위한 조립공정의 핵심 설비 제조. 주요 생산 제품은 전기차 및 ESS용 2차전지 제조를 위한 조립 공정용 Notching기, Stacking기, Tab welding기 등임.

테마 포커스

유사 테마

관련 뉴스

  • 4시간 전

    이재명 대통령 UAE 방문…이재용·정의선·김동관 등 총수 동행

    GS에너지는 청정수소·저탄소 암모니아 협력 구상을 발표했고, 한국전력은 바라카 원전 이후 가스복합·HVDC·ESS 등 차세대 에너지 인프라 분야로 협력 확대를 제안했다. UAE의 ADNOC·EDGE·타와준위원회 등 핵심 기관도 참석해 방산 기술 및 에너지안보 협력의 깊이를 더했다. KAI는 EDGE 자회사와 미래...

    뉴스 썸네일
  • 4시간 전, 이코노믹리뷰

    원전에서 태양광·ESS까지…韓-UAE '에너지 믹스 동맹' 가동

    양국은 SMR(소형모듈원자로) 기술 교류와 AI(인공지능) 기반 원전 운영 고도화를 추진하는 한편, 태양광·ESS(에너지저장장치)를 결합한 초대형 에너지... 원전 넘어 태양광·ESS까지 '포괄적 에너지 믹스'로 확장 이번 협약은 원전 협력을 넘어 재생에너지·(에너지저장장치)까지 확장한다는 점도 주목해야 할...

    뉴스 썸네일
  • 11시간 전

    李대통령, "AI·에너지·방산 동맹으로 한·UAE 미래성장동력 창출"

    방산·에너지·인프라 분야에서는 GS에너지가 청정수소, 저탄소 암모니아 등 에너지 전환 사업 협력 방향을 공유했고, 한국전력이 바라카 원전 협력을 기반으로 가스복합·초고압직류송전(HVDC)·에너지저장장치(ESS) 등 차세대 전력 분야 협력 의지를 밝혔다. 소프트파워 분야에서는 CJ가 K-콘텐츠·푸드...

    뉴스 썸네일
  • 11시간 전, 아주경제

    韓-UAE 경제계, AI·방산·문화 등 미래분야 협력 확대 논의

    방산·에너지·인프라 분야에서는 GS에너지가 청정수소, 저탄소 암모니아 등 에너지 전환 사업 협력 방향을 공유했고, 한국전력이 바라카 원전 협력을 기반으로 가스복합·초고압직류송전(HVDC)·에너지저장장치(ESS) 등 차세대 전력 분야 협력 의지를 밝혔다. 아부다비 국영석유공사(ADNOC), EDGE...

    뉴스 썸네일
  • 15시간 전, 글로벌이코노믹

    LG엔솔·스텔란티스 합작사, 캐나다서 LFP 배터리 양산 개시…연방·주 ...

    시스템(ESS)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고 캐나다 현지의 CBC 뉴스, CTV 뉴스가 18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이 공장은 캐나다 연방 정부와 온타리오 주 정부로부터 총 150억 달러(약 15조6700억 원) 규모의 천문학적 보조금 지원을 받는다. 윈저 공장, 시장 노려 LFP 셀 생산에 초점 온타리오주 윈저에 자리한...

    뉴스 썸네일
  • 15시간 전, 벤처창업신문

    삼성SDI, R&D 확대로 차세대 기술 확보

    R&D 확대를 통해 전기차에서 에너지저장장치(ESS)는 물론 로봇·드론 등 다양한 부문에서 경쟁력을 확보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뿐만 아니라 삼성SDI는 전고체 배터리 등 차세대 배터리의 국내 생산 거점으로 울산 사업장을 검토하고 있다고 발표하며 국내 생산 거점을 공식화했다. 특히 울산 사업장에선 기존...

    뉴스 썸네일
  • 15시간 전, 이데일리

    코스모신소재, EV향 양극재 출하 부진…투자의견 하향-IBK

    또한 “삼성SDI향 ESS 출하는 스펙 교체 지연으로 2026년 이후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부연했다. 양극재 생산능력(CAPA) 확장 계획도 미뤄지고 있다. 연구원은 “양극재 CAPA는 2024년 3만톤에서, 2025년 10만톤으로 증가할 예정이었으나 EV 시장 수요 둔화 우려로 가동시기는 2026년 하반기로...

    뉴스 썸네일
  • 15시간 전, 이데일리

    “2026년 2차전지 업황 반등…ESS·AI 투자 확대 흐름 뚜렷”

    미국의 빅테크 기업들이 2030년까지 Scope 2의 CFE(Carbon Free Energy) 달성을 위해 ESS 도입을 가속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면서다. 유지웅 다올투자증권 연구원은 19일 보고서에서 “2026년에는 기저 발전원이 천연가스 가격의 지속 우상향을 보일 가능성이 커지고 있어 전년에 이어 수요가...

    뉴스 썸네일
  • 1일 전

    국산 ESS용 LFP 배터리 양산하는 LG엔솔, 정부 주도 사업 우위 점한다

    LG에너지솔루션이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리튬·인산·철(LFP) 배터리의 국내 생산을 공식화했다. 지난 5월 제1차 ESS 중앙계약시장 입찰에서 삼성SDI에 크게 밀렸지만, 2차 입찰에서는 국내 생산거점을 앞세워 판을 뒤집어보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LG에너지솔루션은 중국과 미국에서 LFP 배터리를...

    뉴스 썸네일
  • 1일 전, 연합뉴스

    1조원대 ESS 수주 2차전 윤곽…화재 안전성 비중 2배↑

    전력거래소, 16일 사업자설명회 개최…화재 안전성 비중 5.5%로 증가 K배터리 3사, 안전성 강화·국내 생산에 집중…ESS 수주 사활 1조원대 규모의 제2차 에너지저장장치(ESS) 중앙계약시장 입찰의 평가 지표가 공개된 가운데, 화재 안전성 점수 비중이 1차 사업 대비 대폭 높아졌다. 국내 배터리 3사는 제품의...

    뉴스 썸네일
더보기

실시간 테마 순위

자동차 부품 +17.47 %
전기자동차 부품 -17.47 %
초전도체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