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S(전력저장장치) 테마 설명 테마록 124 위
  • 관련 종목 47
  • 상승 종목 23
  • 하락 종목 21
+4.67% (등락룰 TOP5 종목 평균)
  • 최고 등락률 +10.19%
  • 최저 등락률 +1.90%
  • 전체 거래 대금 4,822억
  • TOP5 거래 대금 3,445억

2025-04-18 15:56 기준

일별 등락률

관련 종목
종목명 현재가 등락률 거래대금(원) 테마 포함 사유
대진첨단소재 14,170 +10.27% 2,199억 5,100만 미국 엑셀시오 에너지 캐피탈이 추진하고 글로벌 2차 전지 배터리 기업이 담당하는 7.5GWh 규모의 ESS 프로젝트에 ESS 공정용 대전방지 트레이를 공급
이렘 1,125 +10.19% 36억 100만 바나듐 배터리를 신성장동력으로 삼고 VRFB 전문기업 엑스알비의 지분 28%를 취득해 2대주주
누리플랜 1,603 +5.67% 1억 8,900만 ESS재생에너지의 원천기술로 꼽히는 '바나듐 레독스 흐름전지(VRFB)' 개발
지투파워 7,650 +2.82% 42억 1,600만 ESS 배전반 감시 진단 기술 보유, 태양광 연계용 ESS 설치
캐리 6,640 +2.79% 9억 6,300만 전력변환기술 기반의 신재생에너지(태양광에너지) 전문업체. 태양광시스템 중 전력변환장치인 태양광인버터와 ESS용 PCS를 주력으로 생산.
그리드위즈 18,260 +1.90% 26억 4,300만 ESS 및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 공사/운영 관리 사업을 영위
세방전지 66,700 +1.83% 13억 100만 로케트 배터리 브랜드를 보유한 각종 축전지 제조/판매업체. 태양광, 풍력, 스마트그리드 융합용으로 1~3㎾ 소형부터 50㎾급 ESS를 개발했으며, 300kW급 전기차 충전기용 ESS 개발도 성공함.
파워로직스 4,555 +1.79% 1억 2,100만 2011년 충북 오창 과학산업단지내 본사에 태양광 발전시설을 구축하고 태양광 연계형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진출을 본격화함. 2012년 12월 신성솔라에너지와 고효율 태양광 ESS 일체형 시스템 공동개발, 판매제휴 협약 체결.
티플랙스 3,280 +1.55% 16억 6,000만 ESS분야에서 게임체인저가 될 것으로 기대되는 바나듐배터리 수혜주로 부각
포스코DX 24,300 +1.46% 64억 4,400만 ESS 기술의 핵심인 전력조절 시스템(PSC)을 바탕으로 ESS를 구축해서 스마트그리드를 운영한 실적과 수주경험이 있음. 특히, 전남 신안군 팔금도에 에너지저장시스템인 ESS와 관련 엔지니어링 기술을 적용해 독립전력망(MicroGrid)을 구축하는 사업에 참여.
원익피앤이 2,165 +0.93% 1억 2,800만 소용량의 가정용 ESS, 산업용 ESS 솔루션 제공
와이엠텍 9,740 +0.93% 7,400만 ESS용 EV Relay 공급
한국전력 24,300 +0.83% 259억 300만 하이브리드 에너지저장장지(ESS)에 적용되는 메가와트(MW)급 주파수 조정용 슈퍼커패시터의 경제적 모델 개발을 위해 실증 연구과제 진행
서진시스템 19,910 +0.76% 26억 5,400만 ESS부품인 에너지저장장치 케이스 및 구동장치를 제조.
SK디앤디 8,470 +0.59% 2억 1,900만 17년11월 에너지제어시스템(PMS) 사업을 영위하는 벤처기업 그리드위즈와 ESS사업 공동추진을 위한 양해각서 체결. 17년12월 대성산업가스와 110MWh 규모 ESS 통합 구축 계약 체결.
LG전자 70,100 +0.57% 122억 1,000만 100kW 규모 소규모 태양광 발전용 올인원 ESS 출시했으며, 태양광 인버터와 배터리 인버터 기능을 합친 차세대 가정용 ESS를 독일에 출시함.
상아프론테크 14,480 +0.56% 3억 100만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 전문 생산업체. 삼성SDI의 2차전지 부문 협력업체로 전기차 에너지저장시스템(ESS) 관련 부품을 납품.
삼화전기 28,200 +0.53% 7억 6,900만 콘덴서 제조/판매 업체. 전기자동차에서 정차 및 감속 시 낭비되는 에너지를 전기로 저장하는 초고용량 커패시터 그린캡(Green-Cap)을 생산/판매.
효성중공업 478,500 +0.53% 129억 6,800만 (주)효성에서 중공업 및 건설사업부문이 인적분할되어 재상장된 업체. ESS사업을 통해 시스템 공급부터 유지보수, 구축을 위한 컨설팅 사업을 수행. 국내에서 처음으로 ESS 제품을 상용화했으며, ESS용 PCS 국제인증(CE)을 획득(110kW, 250kW급 2종).
유니테크노 3,045 +0.50% 1억 100만 삼성SDI에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셀케이스 공급하고 있어 부각
금양그린파워 8,900 +0.45% 3억 4,100만 에너지 저장장치(ESS) 누적 675MW 설치 실적 보유, 대규모 공공ESS 수주 이력 부각
엠플러스 7,690 +0.39% 1억 2,600만 파우치형의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온 이차전지 조립공정 장비 제조업체. 조립 장비는 공정순서대로 노칭기, 스태킹기, 탭웰딩기, 패키징기, 디개싱기 등으로 구분. 대면적, 대용량의 배터리가 사용되는 전기자동차용 및 ESS용 이차전지 생산 장비에 집중.
피엔티 40,350 +0.25% 25억 3,200만 ESS용 중대형 2차전지의 분리막, 음극, 양극 소재를 생산. 중국 전력원에 ESS용 설비를 납품.
비츠로셀 24,650 0.00% 7억 9,700만 업계 상위 리튬일차전지 제조업체. 주력 제품인 리튬염화티오닐 전지는 디지털미터기, RFID, 통신기기, GPS, 카메라, 보안장비, 군용 비축전지 등에 사용됨.
SK이노베이션 93,600 0.00% 189억 8,600만 SK그룹 계열의 종합에너지기업. 배터리 사업을 영위중. 친환경 전기자동차 및 ESS (Energy Storage System)에 사용되는 대용량 리튬-이온 배터리를 생산/판매중. 현대/기아자동차 및 독일 다임러 자동차에 배터리를 공급중.
신성에스티 29,550 0.00% 4억 8,600만 부산시와 투자협약을 체결하여 부산시 강서구 미음외국인투자지역에 ESS(에너지저장장치, Energy Stroage System) 전문 제조공장을 설립하여 생산 CAPA를 확대하고, 북미지역에 현지 법인을 설립하여 고객사 현지대응을 확대할 계획
LG화학 220,500 -0.23% 265억 5,300만 ESS용 리튬이용전지 등을 생산/판매중. 2010년 미국 캘리포니아 최대 전력사인 SCE社에 가정용ESS 배터리를 납품한 데 이어 2011년 11월 세계 최대 전력엔지니어링 회사인 ABB社와 MW급 ESS 배터리 공급계약을 체결. 2012년 6월 독일 IBC솔라와 태양광발전용 ESS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하였고, 2013년 5월에는 SCE社가 추진하는 ESS 실증사업의 리튬이온 배터리 공급 업체로 선정.
삼화콘덴서 25,000 -0.40% 5억 9,900만 세라믹 소재를 이용한 전기차 및 신재생에너지 인버터용 DC 링크 커패시터(전력변환콘덴서) 개발. 현대모비스에 하이브리드카·전기차용 직류연결 콘덴서 공급. LTO 복합 소재를 적용한 15C급 급속 충방전 ESS용 배터리커패시터 개발.
삼성SDI 180,000 -0.50% 263억 3,000만 에너지솔루션 사업부문에서 전력저장장치(ESS) 사업 영위. 주택용인 kWh급부터 산업용 MWh급까지 광범위한 용량과 규격의 리튬-이온 배터리 시스템을 생산/판매중.
동국알앤에스 2,555 -0.58% 4억 500만 ESS분야에서 게임체인저가 될 것으로 기대되는 바나듐배터리 수혜주로 부각
삼진엘앤디 770 -0.77% 1,900만 전력저장장치(ESS)용 APU(발전소용 예비저장장치)개발과 함께 관련 APU제품을 삼성SDI에 납품 중.
씨아이에스 7,170 -0.97% 9억 4,000만 2차전지 전극제조 장비 제조업체. 2차 전지 전공정에 해당하는 Coater M/C, Calender M/C, Slitter M/C 및 Tape Laminator를 생산.
삼화전자 4,340 -1.14% 7억 8,200만 ESS분야에서 게임체인저가 될 것으로 기대되는 바나듐배터리 수혜주로 부각
LS ELECTRIC 179,400 -1.27% 457억 3,400만 전력제어 부품인 인버터(PCU) 및 BDU(Battery Disconnect Unit)를 생산/판매하고 있으며, 태양광 시스템 관련 ESS(전력저장장치)를 개발.
LG에너지솔루션 338,000 -1.31% 238억 2,300만 ESS용 배터리 생산 /미국 기업인 NEC 에너지 솔루션 기업 인수를 통해 ESS SI 분야 진출
SK이터닉스 14,440 -1.37% 18억 400만 국내 약 800MWh 규모의 피크저감형 ESS와 신재생 연계형 ESS를 보유 운영
대명에너지 13,850 -1.42% 8억 3,000만 풍력, 태양광 연계 ESS 설치공사, 건물/공장 연계형 피크컷 ESS 시스템 구축
피아이이 9,500 -1.76% 131억 4,900만 ESS용 베터리 셀 품질 안정 및 생산성 극대화에 필수적인 솔루션 제공
한중엔시에스 24,150 -2.03% 15억 8,400만 에너지 저장 장치 부품 개발, 제조. 큐브젠(휴대용 ESS)을 개발하여 ESS가 안고 있는 가장 큰 이슈인 화제, 열폭주, 안정성, 제전, 냉각 및 항온 항습 제어 등을 개선 후 삼성SDI 협력사로 선정되어 본격적인 ESS 사업에 진출. 국내 최초로 ESS용 수냉 냉각 시스템을 상용화한 경험을 토대로 차세대 제품을 개발 중
신성이엔지 1,311 -2.09% 32억 6,000만 태양광 사업 부문에서 태양광 제품을 생산하여 판매하는 사업과 직접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ESS를 설치하는 사업을 영위.
유니온머티리얼 2,010 -2.19% 7억 7,200만 관계사 유니온이 바나듐 등 철강 제련 첨가제를 공급하는 희유금속 사업을 진행
유일에너테크 1,838 -2.23% 3억 1,900만 친환경 에너지(2차전지, 연료전지, 태양전지 등) 제조 장비 및 기타 산업용 자동화 장비 개발/제조/판매. 전기차 및 ESS용 2차전지 제조를 위한 조립공정의 핵심 설비 제조. 주요 생산 제품은 전기차 및 ESS용 2차전지 제조를 위한 조립 공정용 Notching기, Stacking기, Tab welding기 등임.
비나텍 23,950 -2.44% 4억 6,900만 다량의 전력을 일시에 저장해두었다가 필요에 따라 순간적으로 전력을 방출하는 슈퍼커패시터 사업(자동차용 기어박스, 블랙박스 등에 사용되는 중형 커패시터 등)을 영위. 한국전력[015760]과 하이브리드 에너지저장장지(ESS)에 적용되는 메가와트(MW)급 주파수 조정용 슈퍼커패시터의 경제적 모델 개발을 위해 실증 연구과제 진행
EG 6,590 -2.51% 2억 7,800만 관계사인 EG메탈이 바나듐(V), 몰리브덴(Mo)을 추출하기 위한 공장을 준공
유니온 5,840 -2.67% 69억 7,200만 바나듐 등 철강 제련 첨가제를 공급하는 희유금속 사업을 진행
HD현대에너지솔루션 26,100 -2.97% 37억 2,300만 현대중공업그룹 계열의 태양광업체. 2018년 5월 계열회사 현대힘스㈜로부터 제어시스템 사업부문을 인수하여 제어시스템 사업부를 신설하였으며, 본격적으로 인버터 및 ESS 판매를 개시. 태양광 모듈/셀 판매에서 벗어나 인버터, ESS 관련 시스템 부문의 매출 비중 확대 중.
알에스오토메이션 15,210 -4.34% 41억 8,500만 로봇 모션 제어기, 드라이브 및 에너지 제어 장치와 같은 산업용 제어 솔루션을 제조, 판매하는 업체. ESS용 PCS, 태양광용 PCS, Power Stack, UPS(상품) 등을 생산.

테마 포커스

유사 테마

관련 뉴스

  • 23시간 전, PS 공무원 저널

    전남도-광주시-전북도-제주도 공동 참여, 전력 계통 안정화 기술 개발 ...

    전남은 분산 에너지관리시스템(DERMS), 전북은 초 단주기 ESS, 광주는 단주기 ESS, 제주는 섹터 커플링 등 각 지역의 핵심 기술을 통합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를 통해 지역 분산 자원의 효율적 통합 운영과 계통 안정화를 동시에 도모하고, 지역 특화형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할 계획이다. 사업에는 4개 지역의...

  • 1일 전

    SK디앤디發 에너지 신성장 동력 SK이터닉스 주가 기지개...태양광·풍력...

    신재생에너지와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사업을 핵심으로 하며,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 등 다양한 친환경 에너지원을 아우르는 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축... ESS 사업과의 연계를 통해 생산된 신재생에너지의 효율적인 저장 및 활용 방안을 제시하며, 에너지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 1일 전, 파이낸셜뉴스

    전남도, 광주시·전북도·제주도와 분산에너지 시스템 R&D 착수

    이번 초광역 협력 사업은 분산 에너지 기반 전력 계통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해 전남 주도의 분산 에너지 관리 시스템(DERMS), 전북 주도의 초단주기 에너지저장시스템(ESS), 광주 주도의 단주기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제주 주도의 섹터 커플링 등 핵심 기술을 통합한다. 이를 통해...

  • 1일 전, 뉴스핌

    "서진시스템, 미국 상호 관세 부과 영향 제한적" - SK증권

    지난해 전체 매출의 절반을 차지한 ESS 사업부는 완제품이 국내 고객사를 통해 납품되는 구조로, 미국 매출 노출도는 약 50%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미국 현지 생산을 위한 준비가 이미 체계적으로 진행 중"이라며 "2018년 설립된 Texon USA와 2022년 설립된 Seojin Global은 ESS 및 반도체 등 미국 사업의...

  • 1일 전, 문화일보

    23일 대구엑스코 ‘글로벌 에너지 기업’ 총집결

    ‘글로벌 톱10’ 차세대 신재생에너지 기술 기업이 태양광·수소·풍력·에너지저장장치(ESS) 분야 핵심 기술을 집중적으로 선보인다. 태양전지 및 태양전지 패널 분야에는 한화큐셀, 트리나솔라, 진코솔라 등이 참가한다. HD현대에너지솔루션은 차세대 태양전지를 선보인다. 태양광 인버터 분야에는...

  • 1일 전, 경향신문

    중국과 멀어지고 미국과는 밀착…‘반사이익’ 노리는 K배터리

    ‘K배터리’는 저렴한 가격을 무기로 중국 업체들이 장악해온 미국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시장 개척에도 고삐를 죄고 있다. 사업 다각화의 일환이다. LG에너지솔루션이 이달부터 미국 미시간 공장에서 ESS 양산을 시작할 예정이고, 삼성SDI도 2027년부터 미국 현지 생산을 통해 ESS...

  • 1일 전, 이데일리

    삼기에너지솔루션즈, 전장부품 차세대 혁신 기술 'FF-PCB' 본격 양산

    특히 ESS용 BMS케이블에 적용된 이 기술은 특허출원을 완료했으며, 기존 제품 대비 무게를 90%까지 절감하고 부피도 절연필름 소재를 사용해 크게... 이번 공장 확장으로 생산능력이 5배 이상 증가함에 따라 전기차와 ESS 시장 성장세에 맞춰 급증하는 수요에 적극 대응할 수 있게 됐다는 평가다....

  • 1일 전, 아주경제

    DB證 "더블유씨피, 단일 고객 리스크 부각…목표주가 50% 하향"

    그는 "더블유씨피의 올해 매출액은 1606억원, 영업손실은 1125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한다"며 "기존 6개 라인의 가동률은 하반기 유럽 업황 회복과 ESS 성수기 진입에 따라 점진적으로 회복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신공법 적용 기준 국내 7~8 라인은 내년부터 순차적 가동이 기대된다"며...

  • 1일 전

    삼기에너지솔루션즈, 'FF-PCB' 6월부터 본격 양산

    LG에너지솔루션과 공급계약을 체결한 ESS용 BMS케이블을 들고 있는 삼기에너지솔루션즈 전장사업 담당 양승덕 상무 삼기에너지솔루션즈(옛... 특히 ESS용 BMS케이블에 적용된 이 기술은 특허출원을 완료했으며, 기존 제품 대비 무게를 90%까지 절감하고 부피도 절연필름 소재를 사용해 크게 줄여...

  • 1일 전, 아시아경제

    [클릭 e종목]더블유씨피 목표주가 반토막

    고객사 요구 조건에 따라 EV용 배터리, 소형 배터리, 에너지 저장 장치(ESS) 등 다양한 종류의 이차전지 배터리에 사용되고 있다. DB증권은 올해 1분기 더블유씨피 매출이 17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6% 급감할 것으로 예상했다. 영업적자도 478억원으로 적자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DB증권은 삼성SDI...

더보기

실시간 테마 순위

자동차 부품 +17.47 %
전기자동차 부품 -17.47 %
초전도체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