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기세포 테마 설명 테마록 121 위
  • 관련 종목 21
  • 상승 종목 18
  • 하락 종목 3
+4.97% (등락룰 TOP5 종목 평균)
  • 최고 등락률 +7.50%
  • 최저 등락률 +2.01%
  • 전체 거래 대금 543억
  • TOP5 거래 대금 473억

2025-04-29 17:22 기준

일별 등락률

관련 종목
종목명 현재가 등락률 거래대금(원) 테마 포함 사유
메디포스트 9,170 +7.50% 7억 1,200만 업계 상위의 제대혈 은행업체. 제대혈 보관, 건강기능식품 판매, 줄기세포치료제 개발 및 판매 사업 등을 영위. 동사가 보유하고 있는 주력 R&D파이프라인인 연골 재생 동종줄기세포치료제 "카티스템"은 인공관절수술을 대체하는 획기적인 치료법으로 평가.
강스템바이오텍 2,480 +6.67% 12억 6,400만 동종 제대혈유래 줄기세포치료제 '퓨어스템-알에이주' 임상 1ㆍ2a 완료. 자체 개발한 다분화능을 가진 줄기세포를 인간 제대혈로부터 고순도(high-purity)로 분리하고, 대량배양(massive culture)하는 기술을 기반으로 동종 제대혈유래 줄기세포치료제(의약품) 연구개발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줄기세포 기반 융복합체제 골관절염 치료제 유럽 특허 획득
코아스템켐온 3,530 +4.44% 5억 9,200만 줄기세포치료제의 개발 및 제조를 전문으로 하는 바이오 제약업체. 줄기세포기술을 기반으로 희귀/난치성질환에 대한 새로운 줄기세포 치료제를 개발, 생산 및 판매하는 사업 영위. 전세계에서 5번째로 줄기세포치료제의 상용화에 성공. 신경계질환 영역에서 뉴로나타-알주는 세계 최초 루게릭병 줄기세포치료제로 국내 식약처의 시판허가를 받고 판매중 이며, 뉴로나타-알주의 해외진출을 위해 미국 FDA의 희귀의약품지정 등의 다양한 활동들을 활발하게 진행중.
파미셀 10,370 +4.22% 69억 2,700만 성체줄기세포치료제 개발/제조/판매, 성체줄기세포 보관, 줄기세포배양액함유 화장품 제조 및 판매사업 등을 영위. 세계 최초의 급성심근경색증 줄기세포치료제(하티셀그램-에이엠아이) 개발.
부광약품 4,060 +2.01% 3억 800만 의약품 및 의약외품을 제조 판매하는 제약 전문업체.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관계회사 안트로젠이 줄기세포 분화기술을 보유. 안트로젠은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 및 생산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바이오 업체로, 12년1월 전세계에서 최초로 지방유래 줄기세포인 큐피스템의 제품허가를 식약처로부터 획득함.
제일약품 12,420 +1.72% 2억 9,100만 인간배아 줄기세포를 이용한 파킨슨병의 세포치료제를 개발해 기술이전한 바 있음.
바이오솔루션 27,050 +1.69% 11억 6,600만 줄기세포 응용기술 및 조직공학 기술을 바탕으로 첨단재생의학 제품과 동물실험 대체 독성 및 효능 평가용 인체조직 모델 제품 제조 업체. 주요 제품으로는 중증 화상치료를 위한 분무형 자가 피부각질세포치료제인 케라힐, 케라힐-알로 등이 있으며, 인체줄기세포 배양액 STeM水(스템수)는 주름개선, 미백, 피부 탄력회복의 기능을 가진 화장품 원료로 판매 중.
이엔셀 14,450 +1.40% 7억 6,900만 이엔셀은 중간엽 줄기세포 치료제 EN001의 기술을 홍콩 루시 바이오테크 등 아시아 6개국에 이전하는 계약을 9일 체결
테고사이언스 15,540 +1.37% 4,700만 상처치료, 피부재생의료 및 동물대체시험 등 바이오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자기유래 줄기세포치료제인 홀로덤®과 동종유래 줄기세포치료제인 칼로덤®, 3차원배양피부모델인 네오덤®을 등을 개발하여 판매.
차바이오텍 11,170 +1.36% 9억 8,600만 제대혈은행(아이코드) 시장점유율 2위(2018년 기준) 업체. 각종 난치병 및 퇴행성 질환 치료제 개발 및 줄기세포 관련 핵심기술(세포동결기술, 대량배양기술 등)을 보유 중이며, 바이오인슈어런스 사업(통합 줄기세포은행)도 영위중. 줄기세포 활용 세포치료제 'CordSTEM-DD'임상 2a상 투여 완료
HLB생명과학 6,220 +1.30% 20억 300만 관계사 LSK Biopartners, Inc.(USA)(엘에스케이바이오파트너스)가 미국의 Betacat제약으로부터 암줄기세포에서 Wnt/beta-Catenin 신호전달 경로를 차단하는 항암제인 'Tegatrabetan(BC-2059)'의 한국 권리를 획득했으며, 리보세라닙(아파티닙)의 글로벌 위암 3상을 완료하고 현재 데이터 통계처리 및 허가 전략을 수립중. 자회사 라이프리버가 식약처로부터 다기능성 간 줄기세포 치료제인 '헤파스템' 국내 임상 2b상 진행중.
HLB 55,900 +1.08% 207억 2,300만 종속회사 LSK Biopartners, Inc.(USA)(엘에스케이바이오파트너스)가 미국의 Betacat제약으로부터 암줄기세포에서 Wnt/beta-Catenin 신호전달 경로를 차단하는 항암제인 'Tegatrabetan(BC-2059)'의 한국 권리를 획득.
에스씨엠생명과학 952 +0.74% 4,700만 성체줄기세포치료제(중간엽줄기세포), 유도만능줄기세포 등 고순도/고효능 줄기세포치료제 연구개발 및 제조업체. 플랫폼 원천기술인 층분리배양법을 활용하여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 급성 췌장염, 중등증-중증 아토피피부염,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간경변 등의 질환들에 대한 줄기세포치료제를 개발 중. 바이오코리아 참가 및 줄기세포치료제 파이프라인 소개
동구바이오제약 5,500 +0.36% 1억 9,600만 전문의약품 생산 및 판매업체. 다년간 피부과 시장 처방 1위를 지속하고 있으며, 비뇨기과 처방시장에서도 상위권을 점유. CMO(생산대행) 사업도 영위하고 있으며, 줄기세포 사업(화장품 등)도 영위. 세계 최초 줄기세포 추출키트 "SmartX"를 출시하여 KFDA 및 FDA, CE 인증 등을 획득했으며, 줄기세포 배양액 추출 성분 화장품 "Cell Bloom"을 런칭.
마크로젠 16,140 +0.31% 8,100만 서울의대 유전자이식연구소를 모태로 설립된 생명공학기업으로 줄기세포분화 네트워크 데이터 마이닝 시스템을 연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유전체의학연구소와 함께 '만능줄기세포의 생성 비밀' 외 3편의 연구논문을 네이처에 게재. 유도만능줄기세포의 기술개발 및 판매.
메타케어 327 +0.31% 1억 900만 줄기세포의 유전자 조작 및 생산기술 개발을 통한 디스크 손상, 척추압박골절 등의 난치성 척추질환 치료제를 개발중. 13년, 14년 줄기세포의 골분화 유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골분화 증가 방법 관련 특허 취득.
지씨셀 21,250 +0.24% 2억 7,800만 18년9월 난치성 염증질환 치료용 고활성 중간엽 줄기세포치료제 제작 플랫폼 기술 개발 및 중간엽 줄기세포치료제 제작 원천 기술 확보.
조아제약 1,075 +0.19% 3,000만 2002년 조아생명공학연구소에서 체세포 복제돼지를 생산하였으며, 형질전환복제돼지를 이용한 EPO와 인간성장호르몬(hGH), hG-CSF 연구중.
안트로젠 20,050 -0.74% 1억 700만 줄기세포 기반 의약품을 연구개발하고 생산/판매하는 바이오 업체. 크론병으로 인한 누공 질환에 대한 세계 최초의 지방유래 줄기세포치료제인 큐피스템의 의약품 시판 승인을 획득하여 제품화에 성공.
에스바이오메딕스 22,300 -0.89% 19억 6,500만 원천 플랫폼 기술인 TED(배아줄기세포 분화 표준화 기술)와 FECS(3차원 기능성 스페로이드 구현 기술)를 기반으로 8개 파이프라인을 보유
네이처셀 26,500 -2.03% 156억 8,600만 줄기세포치료제 판매사업(판매권), 줄기세포해외임상, 줄기세포 배양배지사업, 줄기세포배양액 화장품사업, 뇨줄기세포사업, NK면역세포사업, 피세포사업 등 줄기세포사업을 영위.코로나바이러스성 폐렴 줄기세포 미국 임상기관 선정 완료

테마 포커스

유사 테마

관련 뉴스

  • 45분 전, NEWS1

    차병원, 국내 난임센터 최초로 일본 진출…줄기세포 치료 병행

    차병원은 일본 하트클리닉과 사업통합 계약을 체결하고 일본에서 최초로 난임 환자에게 줄기세포 치료를 할 예정이라고 29일 밝혔다. 협약식에는 차광렬 차병원·바이오그룹 글로벌종합연구소장, 차원태 차 의과학대 총장, 최석윤 차바이오텍 총괄 부회장, 윤도흠 차병원 의료원장 등 차병원 글로벌 대표들이...

    뉴스 썸네일
  • 45분 전, 서울경제

    차병원, 국내 난임센터 최초로 일본 진출

    한국과 일본은 물론 전 세계적으로 줄기세포를 난소에 직접 주입·시술하는 첫 사례가 될 것으로 보인다. 차병원은 자가혈 혈소판 풍부 혈장주입술(PRP)을 이미 수차례 성공했다. PRP는 세포외기질의 리모델링과 줄기세포의 분화와 증식에 관여하는 재생 치료로 알려져 있다. 차병원은 치료 임상이...

    뉴스 썸네일
  • 45분 전

    메디포스트 카티스템 미국 3상...전문가 대상 '카티스템 수술법 적용 준...

    세계 최초 동종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 치료제 ‘카티스템®’의 글로벌 행보가 본격화되고 있다. 메디포스트가 미국 주요 오피니언 리더를 대상으로 집중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함으로서 미국 임상 3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메디포스트(대표 오원일)는 지난 23일, 24일 양일간, 자사의 퇴행성 및 반복적 외상...

    뉴스 썸네일
  • 45분 전, 프레스9

    [Today Pharm]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췌장암 치료제 'PBP1510' 1/2a상 내약...

    한편, 카티스템은 2012년 품목허가 된 세계 최초 동종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 치료제로 퇴행성, 반복적 외상 관절염으로 발생한 염증의 억제는 물론 손상된 연골을 자연 상태의 연골로 재생시키는 근본적인 치료효과를 통해 장기 유효성이 입증된 치료제이다. 2024년 기준 누적 투여 환자수는 3만2천명을...

    뉴스 썸네일
  • 45분 전, 중앙SUNDAY

    차병원, 국내 난임센터 최초로 일본 진출

    차병원은 일본 센터에서 차바이오텍 R&D 그룹과 함께 35세 이상 난임 치료 여성을 대상으로 다양한 줄기세포를 이용한 병행 치료를 계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차병원은 “한국과 일본은 물론 전세계적으로 줄기세포를 난소에 직접 주입, 시술하는 최초의 사례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차바이오텍 남수연 R&D...

    뉴스 썸네일
  • 45분 전, 프라임경제

    차병원, 국내 난임센터 최초 일본 진출

    이와 함께 일본에서 최초로 난임에 줄기세포 치료를 병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하트클리닉과 (사업통합)계약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차광렬 차병원·바이오그룹 글로벌종합연구소장, 차원태 차 의과학대학교 총장, 최석윤 차바이오텍 총괄 부회장, 윤도흠 차병원 의료원장, 윤경욱 차헬스케어...

    뉴스 썸네일
  • 1시간 전, 보건뉴스

    차병원, 국내 난임센터 최초 일본 진출

    이와 함께 일본에서 최초로 난임에 줄기세포 치료를 병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하트클리닉과 (사업통합)계약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차광렬 차병원·바이오그룹 글로벌종합연구소장, 차원태 차 의과학대학교 총장, 최석윤 차바이오텍 총괄 부회장, 윤도흠 차병원 의료원장, 윤경욱 차헬스케어...

    뉴스 썸네일
  • 1시간 전, 이데일리

    메디포스트, 카티스템 美3상 본격화…美임상 전문가 초청 ‘카티스템 교...

    메디포스트(078160)는 미국 주요 오피니언 리더(KOL)를 대상으로 세계 최초 동종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 치료제 ‘카티스템’의 집중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했다고 29일 밝혔다. 왼쪽부터 미국법인 공동대표 에드워드 안, 글로벌사업본부장 겸 미국법인 공동대표 이승진 본부장 (사진=메디포스트) 미국 내 KOL을...

    뉴스 썸네일
  • 1시간 전, 스포츠경향

    바른세상병원 연골재생연구소, HLB바이오코드/HLB바이오스텝과 비임상시...

    이용수 연구소장은 “지금까지 골관절염 약물 치료제가 전무한 상황에서 여러 전문기업 및 제약업체에서 줄기세포나 가공된 연골세포를 이용한 다양한 세포치료제 개발을 위한 연구가 한창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원 연골재생연구소의 개발 물질이 현재 FDA 승인과 함께 미국시장에서 가장 매출이 높은...

    뉴스 썸네일
  • 1시간 전, No.1 육아신문 베이비뉴스

    메디포스트 카티스템 美 3상 본격화… 미국 임상 전문가 대상 '카티스템...

    한편, 카티스템®은 2012년 품목허가 된 세계 최초 동종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 치료제로 퇴행성, 반복적 외상 관절염으로 발생한 염증의 억제는 물론 손상된 연골을 자연 상태의 연골로 재생시키는 근본적인 치료효과를 통해 장기 유효성이 입증된 치료제이다. 2024년 기준 누적 투여 환자수는 3만2천명을...

    뉴스 썸네일
더보기

실시간 테마 순위

자동차 부품 +17.47 %
전기자동차 부품 -17.47 %
초전도체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