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경량화 테마 설명 테마록 69 위
  • 관련 종목 28
  • 상승 종목 7
  • 하락 종목 20
+6.15% (등락룰 TOP5 종목 평균)
  • 최고 등락률 +9.88%
  • 최저 등락률 +1.23%
  • 전체 거래 대금 0
  • TOP5 거래 대금 0

2025-04-04 06:33 기준

일별 등락률

관련 종목
종목명 현재가 등락률 거래대금(원) 테마 포함 사유
삼보산업 2,225 +9.88% 0 자동차용 부품 소재로 쓰이는 알루미늄 합금 제조.
한국카본 16,550 +8.52% 0 차량경량화 소재용 등 탄소섬유 사업 다각화. 탄소섬유의 대량생산을 위한 속경화용 레진 개발과 탄소섬유 중간재(프리프레그) 생산.
이엔플러스 598 +5.65% 0 국림피엔텍과 전기차 적용 가능한 경량화 부품 개발
에코플라스틱 2,600 +5.48% 0 범퍼, 콘솔 등 플라스틱 자동차 부품 제조. 차량 경량화 기술인 고강도 초경량인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을 개발·양산.
알루코 2,060 +1.23% 0 알루미늄 압출 제품 제조·판매 업체로 자동차 관련 경량화 부품과 관련된 알루미늄 제품을 생산. 알루미늄 서브프레임(승용차용 섀시모듈) 등도 개발 중.
일지테크 3,705 +0.54% 0 차량 경량화 기술인 자동차용 핫스템핑, 레이저 용점, 마그네슘, CFRP(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 등 보유.
핸즈코퍼레이션 1,710 +0.29% 0 알루미늄 휠 전문 생산업체. 주로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OEM)의 형태로 완성차 제조업체에 제품을 공급.
HDC현대EP 3,435 0.00% 0 차량 경량화 소재로 쓰이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하나인 EP를 생산해 현대기아차에 주로 공급.
POSCO홀딩스 271,000 -0.37% 0 국내 최대 철강사로 기존 대비 30%~50% 가벼운 전기차용 차체, 마그네슘 판재 개발. 전기차 모터코어용 강판도 생산.
대호에이엘 1,580 -0.50% 0 알루미늄 소재 가공사로, 주방기기에서 자동차용 알루미늄 소재로 적용처 다양화.
효성 48,800 -0.51% 0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인 '폴리케톤'을 소재로 자동차부품 개발 중.
삼원강재 2,330 -0.64% 0 국내 유일의 스프링강 열간압연 업체로, 차량경량화에 쓰이는 속이 빈 스프링 소재(파이프) 생산.
코오롱ENP 5,700 -0.70% 0 코오롱그룹 계열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전문 업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하나인 POM 생산.
엔바이오니아 16,260 -0.73% 0 자동차 경량화 첨단 복합소재사업 영위.
삼양사 44,550 -0.78% 0 화학사업부를 통해 EP(엔지니어링플라스틱) 제조.
LX하우시스 28,450 -1.04% 0 전기차를 대상으로 스틸을 대체할 수 있는 경량화 복합소재를 연구 개발중.
삼기 1,115 -1.06% 0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기술을 이용해 자동차 부품 및 합금 생산·판매. 차량 경량화 관련 알루미늄 섀시 등 제품도 개발·양산.
화신정공 1,360 -1.23% 0 탄소섬유강화 플라스틱 사용하여 자동차 경량화
BGF에코머티리얼즈 2,610 -1.32% 0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하나인 PA(폴리아미드)를 생산하는 업체.
덕양산업 2,665 -1.48% 0 친환경차의 배터리 경량화 기술개발 및 대량생산
한주라이트메탈 719 -1.64% 0 차량 경량화 기술력 보유 및 친환경차 경량화 부품 판매
아진산업 2,850 -2.40% 0 자동차 차체 보강 패널류 등 제조·판매. 주요 고객사는 현대·기아차. 차체 경량화를 위한 금형 및 알루미늄 성형 기술 등 보유.
씨티알모빌리티 5,240 -2.96% 0 현가장치 중 차량 경량화 부품인 알루미늄 컨트롤 암을 주력으로 생산. 주요 고객사는 현대기아차, 테슬라, BMW 등.
서연이화 12,060 -3.05% 0 차량 내장재에 사탕수수를 입혀 내장재 경량화
코리아에프티 4,640 -3.83% 0 자동차 연료시스템 부품 제조사. 연료탱크에서 발생하는 탄화수소를 걸러 연비를 높여주는 부품(카본캐니스터)을 주력으로 생산해 르노, 닛산 등에 납품.
엠에스오토텍 2,650 -4.50% 0 차체모듈 및 금형 제작 업체. 현대·기아자동차가 주요 매출처. 핫스탬핑 기술을 독자 개발하여 고강도 경량 차체 부품을 생산.
롯데케미칼 59,800 -5.08% 0 차량 경량화 소재에 쓰이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 등을 생산.
성우하이텍 5,230 -5.25% 0 범퍼 레일, 사이드 멤버, DASH LWR, FENDER APRON 등을 생산하는 전문 자동차 부품 업체. DH 알루미늄 후드/범퍼 및 VI 알루미늄 후드 공급.

테마 포커스

유사 테마

관련 뉴스

  • 2025-02-04, 비즈니스워치

    몸값 오른 코오롱스페이스웍스…현대차도 베팅

    ▲코오롱스페이스웍스의 항공·방산 분야 복합소재 사업 ▲코오롱글로텍의 차량 경량화부품·방탄 특수소재·수소탱크 사업 ▲코오롱ENP의 차량용 배터리 경량화 소재 등을 계열사간 양수도 방식으로 통합한 것이다. 코오롱그룹은 현대차그룹과 협업을 통해 모빌리티 소재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 2025-02-03, 조선일보

    현대차, 코오롱과 미래 모빌리티 소재 분야 협력

    코오롱스페이스웍스는 지난해 7월 항공과 방산 분야 복합 소재 전문 업체인 코오롱데크콤포지트를 중심으로 코오롱글로텍의 차량 경량화 부품, 방탄 특수 소재, 수소 탱크 사업, 코오롱ENP의 차량용 배터리 경량화 소재 부문 등을 더해 출범한 신생 회사다.

  • 2025-02-03, 이데일리

    현대차그룹, 코오롱 자회사에 200억 투자…"미래車 신소재 개발"

    항공·방산 분야의 복합소재 사업을 영위하던 코오롱데크컴퍼지트와 코오롱글로텍의 차량 경량화부품·방탄 특수소재·수소탱크 사업, 코오롱ENP의 차량용 배터리 경량화 소재 등을 일원화했다. 복합소재는 탄소섬유와 유리섬유 등을 고분자 재료와 혼합한 신소재로, 철보다 강하지만 훨씬 가벼운 특성을...

  • 2025-01-21, 세계일보

    친환경 ‘바이오 납사’ 소재 타이어 개발 가속도 [K브랜드 리포트]

    통상적으로 내연기관 차량 대비 전기차 타이어 수명이 3분의 2에 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차체 경량화가 숙제일 수밖에 없는 전기차 업계에서 타이어 경량화 역시 미래 시장에 대비한 연구 과제 중 하나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리서치앤마켓에 따르면 2023년 기준 SSBR 시장 가치는 약 38억달러(약...

  • 2025-01-21, 서울경제

    ‘86조 시장 잡자’…석화업계, 친환경 모빌리티 소재로 돌파구 모색 [b...

    차량용 내외장재 등 소재에 사용되는 플라스틱을 재활용 방식으로 생산하는 등의 친환경 공법을 연구·개발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제품군과 개발... 그동안 자동차 내외장재에는 금속 같은 소재가 사용됐지만 전력 효율을 높이기 위해 경량화가 필수인 전기차가 대중화되고 있는 등의 추세가 지속되면서...

  • 2025-01-02, 매일경제

    숨 가쁜 사업 조정…방어적인 ‘스몰딜’ 대세

    코오롱은 항공·방산 계열사 코오롱데크컴퍼지트, 코오롱글로텍의 경량화 부품·방탄소재·수소탱크 사업, 코오롱ENP의 차량용 배터리 경량화 소재 등 그룹 내 분산돼 있던 복합소재 사업을 한데 모아 2024년 7월 ‘코오롱스페이스웍스’를 출범시켰다. 한화그룹은 지배구조 개편 과정에서 스몰딜이 활발하단...

실시간 테마 순위

자동차 부품 +17.47 %
전기자동차 부품 -17.47 %
초전도체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