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전쟁 테마 설명 테마록 56 위
  • 관련 종목 29
  • 상승 종목 23
  • 하락 종목 5
+9.58% (등락룰 TOP5 종목 평균)
  • 최고 등락률 +14.65%
  • 최저 등락률 +6.24%
  • 전체 거래 대금 251억
  • TOP5 거래 대금 152억

2025-04-04 18:04 기준

일별 등락률

관련 종목
종목명 현재가 등락률 거래대금(원) 테마 포함 사유
보광산업 4,945 +18.73% 56억 8,700만 중국의 대만 모래 수출 중단으로 모래 사업 부각
세우글로벌 1,495 +14.65% 23억 5,000만 미국의 플라스틱 수입 관세 인상 수혜.
인디에프 887 +10.88% 20억 7,200만 미국의 중국산 의류 관세 인상 수혜.
남선알미늄 1,329 +8.14% 28억 알루미늄 사업 영위. 미국의 알루미늄 관세 인상 수혜.
신라에스지 6,620 +7.99% 4억 5,600만 중국의 수산물 관세 인상 수혜.
한일화학 10,890 +6.24% 2억 2,000만 아연화 생산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SDN 1,218 +4.55% 19억 7,200만 미국의 중국산 태양광장비 관세 인상 수혜.
신성이엔지 1,185 +3.40% 8억 8,700만 미국의 중국산 태양광장비 관세 인상 수혜.
미래생명자원 3,790 +2.57% 6억 1,100만 대두를 원료로 하여 식품가공사업 영위. 중국의 미국산 대두 수입금지 수혜.
코스텍시스 5,720 +2.51% 4억 4,700만 차세대 차량용 전력반도체인 SiC(탄화규소)반도체와 GaN(갈륨나이트라이드) 반도체의 고방열 스페이스를 개발
사조대림 36,900 +2.07% 12억 7,400만 중국의 미국산 대두 수입금지 수혜.
대한광통신 520 +1.96% 2억 광케이블 제조. 중국의 비분산형 단일모듈 광섬유 관세 인상 수혜주.
유니온머티리얼 2,030 +1.55% 6억 5,100만 회토류 대체품으로 주목받는 페라이트 마그네트 생산.
신성통상 2,150 +1.42% 3억 9,300만 미국의 중국산 의류 관세 인상 수혜.
샘표식품 26,000 +0.97% 2억 5,000만 간장, 된장, 고추장 등 장류 제조. 중국의 미국산 대두 수입금지 수혜.
코오롱ENP 5,750 +0.88% 3억 3,900만 플라스틱 제조. 미국의 플라스틱 수입 관세 인상 수혜.
피델릭스 1,207 +0.75% 3억 3,100만 미국 마이크론의 중국내 판매 금지로 인한 반사이익 기대.
웰크론 2,015 +0.75% 1억 3,400만 중국 공장을 대체할 베트남 공장 운영.
동원수산 5,000 +0.70% 3,100만 중국의 수산물 관세 인상 수혜.
상보 1,100 +0.64% 3억 2,700만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해 희토류 산화인듐주석 대체소재를 개발. 중국의 희토류 수출 중지 수혜.
디아이씨 3,925 +0.64% 5억 7,300만 전기모터 개발 중. 미국의 전기모터 관세 인상 수혜.
SH에너지화학 448 +0.45% 1억 4,000만 미국의 플라스틱 수입 관세 인상 수혜.
한성기업 4,855 +0.31% 5,400만 중국의 미국산 대두 수입금지 수혜.
서울식품 140 0.00% 7,300만 중국의 미국산 대두 수입금지 수혜.
제이씨케미칼 3,785 -0.26% 1억 7,100만 대두가격 하락으로 바이오디젤 부문 수혜. 중국의 미국산 대두 수입금지 수혜.
샘표 42,100 -1.06% 1억 1,400만 자회사 샘표식품, 간장&된장&고추장 등 장류 제조. 중국의 미국산 대두 수입금지 수혜.
신송홀딩스 6,940 -2.53% 23억 3,000만 중국의 미국산 대두 수입금지 수혜.
RF머트리얼즈 5,700 -3.39% 1억 600만 광화합물 반도체인 인듐인과 갈륨비소, RF화합물 반도체인 질화갈륨과 갈륨비소를 트랜지스터와 전력증폭기에 안착시킬 수 있는 패키지를 제조·판매
우성 14,800 -6.80% 6,400만 중국의 미국산 대두 수입금지 수혜.

테마 포커스

유사 테마

관련 뉴스

  • 2025-02-11, 참세상

    불법 마약에 중독된 세계

    이러한 인식은 부분적으로 1971년 6월 리처드 닉슨 미국 대통령이 “마약과의 전쟁”을 선포하면서 마약 남용을 “국민의 적 1호”라고 선언한 것에서... 엄격한 마약 단속 정책, 서방과의 긴장된 무역 관계, 그리고 강력한 기술 인프라가 그 배경에 있다. 이러한 조건 덕분에 데드 드롭 모델은 러시아에서...

  • 2025-02-08, 이투데이

    [상보] 국제유가, 트럼프 ‘상호관세’에 소폭 상승...WTI 0.55%↑

    이투데이=정영인 기자 | 관세 위협‧무역전쟁 우려가 상승분 끌어내려 국제유가는 이란산 원유 수출 제재 여파로 상승했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위협으로 상승분을 상당 부분 반납한 채 마감했다. 7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근월물인 3월 인도분 미국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장...

  • 2025-02-07

    '광림맨' 송태영 대표, 리스크 털기 주력...광림 주식재개 실현되나

    지난해 대(對) 러시아 수출로만 400억원 이상의 매출을 올리며 지난해 12월 제61회 '무역의 날 충북기념식'에서 수출의 탑 및 서훈 전수(충북도지사상)를 수상하는 성과를 냈다. 광림 관계자는 "올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집권으로 러-우크라 전쟁 종전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러시아 수출 시장 역시 상황이...

실시간 테마 순위

자동차 부품 +17.47 %
전기자동차 부품 -17.47 %
초전도체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