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 진료/원격의료 테마 설명 테마록 131 위
  • 관련 종목 31
  • 상승 종목 20
  • 하락 종목 9
+5.58% (등락룰 TOP5 종목 평균)
  • 최고 등락률 +10.71%
  • 최저 등락률 +2.52%
  • 전체 거래 대금 13,924억
  • TOP5 거래 대금 13,783억

2025-04-04 23:20 기준

일별 등락률

관련 종목
종목명 현재가 등락률 거래대금(원) 테마 포함 사유
에스코넥 651 +10.71% 9억 2,400만 원격진단키트 '요닥' 생산/판매
알서포트 3,210 +7.54% 39억 9,400만 서울시 보건소를 포함한 전국 보건소와 병원, 의원, 요양원 등 의료기관 200여곳의 대내외 비대면 커뮤니케이션 리모트미팅 제공
비트컴퓨터 4,710 +3.86% 4억 400만 디지털헬스케어사업에서 원격의료시스템인 비트케어플러스(BITCare Plus)와 독립 키오스크 형태인 비트케어스테이션(BITCare Station), 원격건강모니터링서비스 비트케어(BIT Care)등 제품 라인업 보유중.
차바이오텍 11,120 +3.25% 21억 4,400만 차움으로 대표되는 차별적인 개인 헬스케어 사업을 진행중.
아남전자 1,381 +2.52% 5억 6,300만 미국 의료 서비스 제공업체인 원메디컬, 39억달러에 인수
인성정보 1,565 +2.35% 2억 8,000만 U-Health사업(u-Health 관련 Device 및 Platform 생산 및 수출, 종합 헬스케어 서비스 외) 영위. 원격 의료(원격 모니터링) 사업으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인 하이케어 건강관리서비스와 Hicare ASP 서비스 등 제공중.
토마토시스템 5,270 +2.33% 20억 8,300만 자사가 개발한 ‘사이버엠디케어’ 원격진료 서비스 미국에서 진행
컴투스 42,300 +2.30% 27억 8,400만 개발 중인 메타버스 플랫폼 '컴투버스'에 닥터나우의 비대면 원격 의료 서비스 도입 예정
녹십자홀딩스 13,250 +1.53% 6억 7,100만 녹십자그룹 지주회사로 자회사인 녹십자헬스케어가 U-Healthcare 사업을 영위. 활동량데이터 자동전송기기인 스마트 활동량계 워키+디 등을 출시.
휴비츠 7,310 +1.39% 3억 4,200만 안과 의료기기 전문업체. 안과 및 안경점용 필수 진단기기인 자동 검안기, 자동 렌즈미터, 근접 시력 진단기, 디지털리프렉터, 챠트 프로젝터, 리프렉션 테이블, 세극등현미경 등을 개발/생산/판매중.
제이엘케이 6,620 +1.38% 4억 500만 원격의료 서비스에 활용 가능한 개인 의료정보 관리 토탈솔루션 앱 '헬로헬스(Hello Health)' 개발을 완료.
유비케어 3,285 +1.23% 1억 500만 U-Healthcare 사업 영위업체. 기업의 임직원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건강관리서비스(U-Healthcare)를 제공하고 있으며, 2012년3월 건강관리 서비스 및 친환경농산물 유통업체인 (주)에버헬스케어를 흡수 합병. 스마트검진 모바일 앱 "에버헬스" 출시.
나노엔텍 3,200 +1.11% 1억 9,400만 나노바이오 및 진단 의료 사업을 주력 사업으로 영위. 인성정보와 U-헬스케어 공동 연구와 마케팅 및 서울시 자치구 보건소 U-헬스케어 사업 진행에 대하여 MOU를 체결. 2013년 SK텔레콤과 스마트 헬스케어 솔루션기기(즉석 질병 진단기기) 공동 개발하였으며, 중국 심천 'SK 심천 메디컬센터'와 'SKT 헬스케어 R&D센터'를 통해 중국 진출.
뷰웍스 22,850 +1.11% 7억 9,500만 의료용 X-ray 디텍터(Detector) 설계 및 생산업체. 국내 최초 무선 평판 엑스레이 디텍터 제품에 대해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획득함.
마크로젠 15,670 +1.10% 3억 8,500만 LG생명과학과 공동으로 개인 유전체정보를 활용한 맞춤치료 분야 연구개발 및 시장진출을 위한 포괄적 업무협약을 체결. DNA 관련 분석업체로 염기서열 분석서비스 제공중.
아스타 5,280 +0.96% 3,600만 MALDI-TOF 질량분석기 기반 차세대 진단 시스템 개발업체. 2014년 국내 최초, 세계에서 5번째로 MALDI-TOF 질량분석기 IDSys LT를 개발 완료하여 미생물 동정용으로 시장에 출시. 또한, 2016년 암 진단용 IDSys RT를 출시했으며, 시각화가 가능한 차세대 분석장비 IDSys IM (이미징 시스템)도 상품화 예정중에 있음.
블루엠텍 9,990 +0.71% 5억 4,600만 비대면 진료에 필수적인 요소로 꼽히는 전문의약품 온라인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으며, 비대면 영업지원 플랫폼 등을 보유하고 있어 관련주로 부각
소프트센 305 +0.66% 2억 1,900만 IT서비스 업체로 의료, 제약 및 바이오 정보를 수집/분석/관리/유통하는 헬스인포메틱스 사업을 영위. 대구광역시에 수요연계형 데일리 헬스케어 실증단지 조성사업에 참여. 18년8월 국립암센터 정보전산시스템(EMR) 운영 계약 체결.
이스트소프트 16,540 +0.55% 13억 200만 협업 솔루션 '팀업'을 병원에 공급
휴먼테크놀로지 4,570 +0.55% 3억 7,400만 인하대학교병원과 AI, 웨어러블 기술을 활용한 '격리병동 입원환자를 위한 비대면 환자 케어 서비스'를 시작. IoMT(의료사물인터넷) 웨어러블 단말을 도입해 비대면 스마트 간호서비스를 제공
인피니트헬스케어 4,995 0.00% 4억 1,200만 솔본그룹 계열의 PACS(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 의료영상 저장 전송 시스템) 솔루션을 개발, 서비스하는 전문업체. PACS 및 3차원 의료영상 소프트웨어를 개발/제공.
네오펙트 820 0.00% 1,200만 미국 '커뮤니티 리햅 케어(Community Rehab Care)'를 통해 원격의료 장비 공급 등 원격의료 사업 영위.
이지케어텍 17,040 -0.06% 7,400만 의료정보시스템인 BESTCare 공급 및 병원의 의료정보시스템을 유지보수 및 위탁 운영하는 사업 등을 영위중. 2020년7월10일 국립교통재활병원과 차세대 병원정보시스템(HIS) `베스트케어2.0(BESTCare2.0)`의 구축 및 운영사업 계약을 체결.
루닛 48,600 -0.10% 132억 900만 암 진단 관련 영상 판독 보조 솔루션인 Lunit INSIGHT, 암 치료 관련 이미징 바이오마커 솔루션인 Lunit SCOPE 보유. AI 유방촬용술 영상분석 솔루션 대만 허가. 미국 바이오헬스케어기업 '가던트헬스'와 암치료용 신제품 출시
인바디 22,500 -0.22% 2억 8,200만 체성분 분석기를 주요제품으로 개발, 생산하는 전자의료기기 제조업체. 체성분 분석기, 자동신장계, 자동혈압계 등을 생산중이며, InBody, Lookin'Body, BPBIO, InBody Band 등의 주요 상표를 보유. 홈헬스케어용 체성분분석기와 헬스케어시스템 등을 개발.
케어랩스 2,105 -1.17% 6,400만 (주)옐로모바일 그룹의 헬스케어 토탈 솔루션 업체. 헬스케어 미디어(병원약국 검색 서비스 '굿닥', 뷰티케어관련 커뮤니티 앱 '바디톡') 및 헬스케어 솔루션(CRM 소프트웨어, 처방전보안시스템, 약국청구프로그램) 등을 영위.
파마리서치 335,500 -1.18% 277억 1,800만 재생바이오 전문업체. 자가재생 촉진제인 PDRN/PN 제조 기술을 확보하고, 해당 소재를 기반으로 한 의약품, 의료기기 및 화장품 등 재생제품을 생산, 판매. 주요 상품으로 플라센텍스, 리쥬비넥스 등이 있으며, 주요 제품으로 PDRN 주사(플라센텍스주, 리쥬비넥스주), 리쥬란, 큐라센, 디셀 등.
메디포스트 8,260 -1.78% 3억 9,100만 정부의 U-Health 시범사업자로 선정된 에임메드의 지분 보유. 에임메드는 각종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원격의료서비스 관련 솔루션 및 컨텐츠를 개발중.
소마젠 3,260 -2.10% 1억 4,400만 북미 원격진료시장 진출 발표
삼성전자 56,100 -2.60% 1조 3,305억 7,200만 미국 원격의료 프로그램 참여
라이프시맨틱스 6,900 -2.82% 9억 4,400만 디지털헬스 기술 플랫폼 및 디지털헬스 솔루션, 디지털 치료제 등 개발, 공급업체. 국내 최초의 개인건강기록 기반 상용 디지털헬스 기술플랫폼인 라이프레코드를 개발했으며, 이후 라이프레코드를 기반으로 디지털헬스 솔루션 닥터콜(비대면 진료 플랫폼)/하이(H.AI)/오하(OHA)/웍스(Works), 디지털치료제 Redpil 등을 개발.

테마 포커스

유사 테마

관련 뉴스

  • 2025-01-17

    [뉴스락 특별기획] K-디지털 헬스케어, 글로벌 향한 모멘텀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만성질환 관리, 시니어 홈케어, 원격의료 등 관련 시장을 간접적으로 공략하고 있다. 통신사인 SKT(대표 유영상)는 2022년 국내 최초로 상용화한... 특히 비대면 진료에 대해서는 무분별한 처방에 따른 의료사고와 책임소재 불분명 등의 난제를 해결해야 안정적인 사업으로 정착할 수 있다는 목소리가...

실시간 테마 순위

자동차 부품 +17.47 %
전기자동차 부품 -17.47 %
초전도체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