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0 07:45 기준
종목명 | 현재가 | 등락률 | 거래대금(원) | 테마 포함 사유 |
---|---|---|---|---|
나인테크 | 3,630 | +4.76% | 0 | 산업통상자원부가 추진하는 전기차용 황화물계 전고체 배터리(900Wh/L급) 개발에 참여하게 되면서 관련주로 편입 |
덕산테코피아 | 23,950 | +3.90% | 0 | 2차전지 전고체 배터리 제조업체 세븐킹에너지의 지분 취득 |
미코 | 9,710 | +2.75% | 0 |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 샘플테스트 완료 및 상용화 기대감 보유. 전담 사업부 신설 |
소프트센 | 349 | +2.65% | 0 | SK온, 솔리드파워에 전고체 배터리 장비 공급으로 관련주 편입 |
미래컴퍼니 | 18,060 | +1.80% | 0 | 삼성SDI의 지원으로 전고체전지 연구개발 프로젝트 참가 |
엘티씨 | 9,330 | +1.41% | 0 | 전고체 배터리 SOFC전해질 기술보유 |
레몬 | 3,565 | +0.99% | 0 | 세계 최고 수준 전기차 전고체 전지 전해질 지지체 개발 |
한농화성 | 15,090 | +0.60% | 0 | 전고체 배터리의 고분자 전해질 핵심요소인 가소제 및 가교제 개발 |
웰크론한텍 | 1,379 | +0.51% | 0 | 2차전지 양극재 원료생산을 위한 황산니켈 결정화 설비와 수산화 리튬 농축설비 공급. LG에너지솔루션이 전고체 배터리 양산 계획 발표에 관심쏠림 |
이수스페셜티케미컬 | 41,700 | +0.48% | 0 | 전고체 배터리 원료인 황화물 고체전해질 개발 및 전고체 배터리 전해질 원료 '황화리튬' 양산 |
천보 | 33,800 | +0.45% | 0 | 정부 주도 전고체 배터리 국책 과제 참여 |
KBG | 4,535 | +0.44% | 0 | 전고체 실리콘 고체 폴리머 전해질 개발 |
레이크머티리얼즈 | 13,290 | +0.38% | 0 | 전고체 배터리 전해질핵심 원료인 황화리튬(Li2S) 관련 기술 및 공정 개발을 진행 |
아바코 | 13,570 | +0.22% | 0 | 전고체 이차전지의 고체전해질을 고속으로 증착하는 공정 및 장비 개발 |
아우딘퓨쳐스 | 1,014 | +0.20% | 0 | 삼성SDI 전고체 협력사 '갑진'과 공동 경영 추진 |
이수화학 | 5,580 | +0.18% | 0 | 전고체 배터리 원료인 황화물 고체전해질 개발 및 전고체 배터리 전해질 원료 '황화리튬' 양산 |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 22,150 | 0.00% | 0 |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을 개발 |
LG화학 | 220,500 | -0.23% | 0 | 한농화성, 한국화학연구원과 고분자 전해질 공동 개발 중 |
메가터치 | 3,530 | -0.28% | 0 | 전고체 배터리에 적용 가능한 테스트 핀 물량 100% 독점 공급 |
석경에이티 | 46,700 | -0.32% | 0 | 전고체 전해질 소재 특허 6종 출원 |
아이엘사이언스 | 2,880 | -0.35% | 0 |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를 위한 ‘양산시스템 구축 기반기술’을 확보. 소형 인라인 증착 설비를 이용한 롤투롤(Roll-to-Roll) 리튬 증착 시스템이 리튬 금속 음극 기반 전고체 배터리의 증착 솔루션이 될 수 있어 부각. |
테이팩스 | 13,510 | -0.37% | 0 | 전고체전지 관련 핵심소재 개발에 성공, 특허 취득 |
삼성SDI | 180,000 | -0.50% | 0 |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등과 개발한 전고체 배터리 연구결과 공개. 전고체 전지 파일럿 라인 착공. |
그래디언트 | 13,380 | -0.52% | 0 | 전고체 배터리 핵심 소재를 양산하고 있는 정석케미칼의 2대 주주로 등극하면서 관련주로 부각 |
엘앤에프 | 60,300 | -0.66% | 0 | 전고체 배터리에 들어가는 단결정 양극재 개발중 |
엠오티 | 9,060 | -0.66% | 0 | 대면적 LFP 배터리 조립 설비(파일럿 라인)를 개발 완료 |
이브이첨단소재 | 1,466 | -0.68% | 0 | 세계 최초 전고체 배터리 제조업체 지분 투자 |
티에스아이 | 6,010 | -0.83% | 0 | 고체전해질 생산업체 씨아이솔리드와 고체전해질 생산라인 개발/제작에 대한 양해각서 체결 |
씨아이에스 | 7,170 | -0.97% | 0 | 고체 전해질 생산라인 구축 |
대주전자재료 | 81,200 | -1.10% | 0 | 21년10월 한국전기연구원(KERI)으로부터 황화물계 전고체전지용 고체전해질 공침 제조기술을 기술이전 받고, 2022년까지 제2공장 부지에 파일럿 생산시설을 구축하는 등 고체전해질 양산 제조시설에 대한 투자 확대 계획. |
필에너지 | 14,490 | -1.63% | 0 | 전고체 배터리 설비 개발 |
동화기업 | 8,380 | -1.64% | 0 | 고체전해질 개발 중. 전고체 배터리용 전해액 연구 국책과제 수행 |
원준 | 9,250 | -2.12% | 0 | 전고체전지용 열처리 장비 개발/공급 |
유일에너테크 | 1,838 | -2.23% | 0 | 현대자동차가 발주한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라인 조립공정 장비를 단독 수주 |
EG | 6,590 | -2.51% | 0 | EG는 국책과제인 ‘전고상 전지용 고전압·고용량 양극 및 고용량 음극 기술 개발’을 통해 전고체 전지용 폴리에테르 기반 고분자 리튬 전고상 고분자 전해질과 양극활물질과 고체전해질로 이뤄진 복합 양극 제조 기술 등을 연구 |
아이씨에이치 | 2,755 | -2.65% | 0 | 전고체 배터리 셀 내부 열 폭주방지 시트를 삼성SDI에 공급 |
씨케이솔루션 | 12,410 | -3.35% | 0 |
2023-07-03 14:16 발행
2023-06-14 14:15 발행
2차전지
2차전지 - 소재/부품
2차전지 - 장비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15시간 전, 투어코리아
㈜석경에이티, 김제시에 제3공장 준공···총 122억원 투자
소재), 전고체 배터리 소재(붕화물계 고체 전해질), 중공실리카 및 기능성 필름 코팅 소재이며 고부가가치 나노소재 시장 주요 공급자가 일본과 독일 등 전통적인 강국들임에도 불구하고 나노 소재를 국산화하며 점진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이번 김제공장 완공으로 중공실리카, 배터리...
15시간 전, 연합뉴스
석경에이티, 김제 백산에 제3공장 설립…나노 소재 제품 양산
3공장에서는 나노 열 전달 물질(TIM), 전고체 전해질, 중공실리카(나노미터 크기의 구형 실리카 입자) 등을 연간 1천200t 생산한다. 도는 석경에이티 3공장 준공으로 향후 5년간 약 40명의 신규 고용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한다. 김인태 도 기업유치지원실장은 "김제공장이 석경에이티의 경쟁력 강화의 발판이...
15시간 전, 뉴스프리존
㈜석경이엔티 김제공장 준공... 나노소재 산업 전문기업
석경에이티 김제공장은 TIM 방열소재, 중공실리카, 전고체 전해질, 구형 Glass 등 차세대 성장제품을 포함하여 연간 총 1,200톤 규모의 생산능력을 갖췄으며, 금액 기준 약 500억 원 규모의 제품을 생산할 예정으로, 기존 안산 본사와 영암 제2공장의 총 생산능력(660톤/년)을 대폭 확장하며, 글로벌 첨단소재...
15시간 전, 전자신문
나노소재 산업 전문기업 석경에이티, 김제공장 준공…방열소재·전고체...
석경에이티 김제공장은 TIM 방열소재, 중공실리카, 전고체 전해질, 구형 글래스(Glass) 등 차세대 성장제품을 포함해 연간 총 1200톤 규모의 생산능력을 갖췄다. 금액 기준 약 500억원 규모의 제품을 생산할 예정이다. 기존 안산 본사와 영암 제2공장의 총 생산능력(660톤/년)을 대폭 확장하며, 글로벌 첨단소재...
15시간 전, 기계신문
석경에이티, 전북 김제에 첨단 나노소재 생산공장 준공
석경에이티 김제공장은 TIM 방열소재, 중공실리카, 전고체 전해질, 구형 Glass 등 차세대 성장제품을 포함하여 연간 총 1,200톤 규모의 생산능력을 갖췄으며, 금액 기준 약 500억 원 규모의 제품을 생산할 예정이다. 이로써 기존 경기 안산 본사와 전남 영암 제2공장의 총생산능력(660톤/년)을 대폭 확장하며...
2일 전, 경기일보
에스비티엘첨단소재, 공급망 선도사업자 단독 선정…글로벌 경쟁력 강화...
특히 초고성형 파우치 필름과 전고체 배터리용 파우치 필름 개발 등 고부가가치 소재 기술에서 성과를 내며, 국내 배터리 산업의 새로운 전기를... 향후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이차전지가 시대가 본격화되는 2027~2030년께에는 파우치 필름의 내구성, 안전성 등의 기술력이 이차전지 성능을 좌우할...
2일 전, 뉴스포스트
'기술통' 삼성SDI, 배당·외화채보다 미래투자…주주설득 총력 [유증 리...
시설자금은 전고체와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를 양산하는 울산·헝가리 공장 등에 투입한다. 삼성SDI 관계자는 "지난해 스텔란티스 합작 1공장 건설 등 해외공장 투자 및 연구개발 비용 확대로 차입이 증가했다"며 "중장기 성장을 위해 유증 외에도 회사채 발행 등 자금조달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2일 전, 블로터
[100대 기업 보고서] 삼성SDI, 유동성 악화에도 투자에 '올인' [넘버스]
유상증자로 조달하는 자금을 미국 제너럴모터스 합작법인 투자와 유럽 헝가리 공장 생산능력 확대, 국내 전고체 배터리 라인 시설투자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결국 관건은 이런 투자가 확실한 결실을 안겨줄 수 있느냐다. 글로벌 불확실성이 계속되는 와중 업황 악화가 예상보다 심화할 경우 재무...
3일 전, 부산일보
[인터뷰] 김종성 엠플러스 대표 “기술력으로 일시적 수요 감소 극복해...
특히 “전고체 배터리 시장에서 새로운 돌파구를 모색하고 있다”며 이를 바탕으로 2028년 매출 7000억 원, 2030년 1조 원 목표 포부를 밝혔다. 김 대표는 “최근 전고체 배터리 관련 파일럿(시제품) 장비를 수주하며 매출 다변화와 새로운 시장을 준비하고 있다”며 “아직 소재와 제조 방법의 표준이 정해지지...
3일 전, 베타뉴스
미중 관세 전쟁 최대의 수혜자, K-배터리 '절호의 기회'
특히, 니켈·코발트·망간(NCM) 배터리와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서 선도적 위치를 점하고 있다. 미국 전기차 제조사들이 중국산 배터리의 대안을... 삼성SDI는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를 목표로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며, 유럽과 아시아 시장을 동시에 공략 중이다. JTBC 보도에 따르면, 한국 배터리...
자동차 부품 | +17.47 % |
---|---|
전기자동차 부품 | -17.47 % |
초전도체 | 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