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2 09:51 기준
종목명 | 현재가 | 등락률 | 거래대금(원) | 테마 포함 사유 |
---|---|---|---|---|
아이씨에이치 | 3,070 | +4.42% | 1억 5,200만 | 전고체 배터리 셀 내부 열 폭주방지 시트를 삼성SDI에 공급 |
이수스페셜티케미컬 | 45,800 | +3.50% | 90억 3,900만 | 전고체 배터리 원료인 황화물 고체전해질 개발 및 전고체 배터리 전해질 원료 '황화리튬' 양산 |
엘티씨 | 9,790 | +3.05% | 2억 2,300만 | 전고체 배터리 SOFC전해질 기술보유 |
한농화성 | 15,420 | +1.38% | 4억 800만 | 전고체 배터리의 고분자 전해질 핵심요소인 가소제 및 가교제 개발 |
천보 | 34,550 | +1.02% | 1억 6,900만 | 정부 주도 전고체 배터리 국책 과제 참여 |
필에너지 | 14,720 | +0.89% | 2억 7,500만 | 전고체 배터리 설비 개발 |
티에스아이 | 5,960 | +0.68% | 3,800만 | 고체전해질 생산업체 씨아이솔리드와 고체전해질 생산라인 개발/제작에 대한 양해각서 체결 |
원준 | 9,200 | +0.66% | 1억 1,200만 | 전고체전지용 열처리 장비 개발/공급 |
엘앤에프 | 60,100 | +0.50% | 14억 500만 | 전고체 배터리에 들어가는 단결정 양극재 개발중 |
LG화학 | 218,500 | +0.46% | 81억 2,700만 | 한농화성, 한국화학연구원과 고분자 전해질 공동 개발 중 |
삼성SDI | 178,600 | +0.45% | 93억 5,000만 |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등과 개발한 전고체 배터리 연구결과 공개. 전고체 전지 파일럿 라인 착공. |
KBG | 4,575 | +0.44% | 1,500만 | 전고체 실리콘 고체 폴리머 전해질 개발 |
레이크머티리얼즈 | 13,700 | +0.44% | 13억 900만 | 전고체 배터리 전해질핵심 원료인 황화리튬(Li2S) 관련 기술 및 공정 개발을 진행 |
메가터치 | 3,495 | +0.43% | 1억 200만 | 전고체 배터리에 적용 가능한 테스트 핀 물량 100% 독점 공급 |
씨아이에스 | 7,220 | +0.42% | 3억 4,300만 | 고체 전해질 생산라인 구축 |
아우딘퓨쳐스 | 1,008 | +0.40% | 400만 | 삼성SDI 전고체 협력사 '갑진'과 공동 경영 추진 |
레몬 | 3,540 | +0.28% | 1,800만 | 세계 최고 수준 전기차 전고체 전지 전해질 지지체 개발 |
동화기업 | 8,280 | +0.12% | 2억 1,900만 | 고체전해질 개발 중. 전고체 배터리용 전해액 연구 국책과제 수행 |
대주전자재료 | 80,300 | 0.00% | 16억 7,600만 | 21년10월 한국전기연구원(KERI)으로부터 황화물계 전고체전지용 고체전해질 공침 제조기술을 기술이전 받고, 2022년까지 제2공장 부지에 파일럿 생산시설을 구축하는 등 고체전해질 양산 제조시설에 대한 투자 확대 계획. |
테이팩스 | 13,570 | -0.07% | 2,700만 | 전고체전지 관련 핵심소재 개발에 성공, 특허 취득 |
씨케이솔루션 | 12,410 | -0.08% | 3억 7,800만 | |
그래디언트 | 13,480 | -0.15% | 3,700만 | 전고체 배터리 핵심 소재를 양산하고 있는 정석케미칼의 2대 주주로 등극하면서 관련주로 부각 |
아바코 | 13,440 | -0.22% | 3,600만 | 전고체 이차전지의 고체전해질을 고속으로 증착하는 공정 및 장비 개발 |
나인테크 | 3,390 | -0.29% | 16억 8,400만 | 산업통상자원부가 추진하는 전기차용 황화물계 전고체 배터리(900Wh/L급) 개발에 참여하게 되면서 관련주로 편입 |
아이엘사이언스 | 2,870 | -0.35% | 600만 |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를 위한 ‘양산시스템 구축 기반기술’을 확보. 소형 인라인 증착 설비를 이용한 롤투롤(Roll-to-Roll) 리튬 증착 시스템이 리튬 금속 음극 기반 전고체 배터리의 증착 솔루션이 될 수 있어 부각. |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 22,000 | -0.45% | 4억 6,500만 |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을 개발 |
이수화학 | 5,610 | -0.53% | 2,100만 | 전고체 배터리 원료인 황화물 고체전해질 개발 및 전고체 배터리 전해질 원료 '황화리튬' 양산 |
미래컴퍼니 | 17,880 | -0.56% | 3,400만 | 삼성SDI의 지원으로 전고체전지 연구개발 프로젝트 참가 |
미코 | 9,650 | -0.62% | 2억 1,600만 |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 샘플테스트 완료 및 상용화 기대감 보유. 전담 사업부 신설 |
석경에이티 | 46,350 | -0.64% | 7,100만 | 전고체 전해질 소재 특허 6종 출원 |
엠오티 | 8,920 | -0.78% | 3억 7,100만 | 대면적 LFP 배터리 조립 설비(파일럿 라인)를 개발 완료 |
유일에너테크 | 1,840 | -0.86% | 1억 2,900만 | 현대자동차가 발주한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라인 조립공정 장비를 단독 수주 |
웰크론한텍 | 1,367 | -0.87% | 400만 | 2차전지 양극재 원료생산을 위한 황산니켈 결정화 설비와 수산화 리튬 농축설비 공급. LG에너지솔루션이 전고체 배터리 양산 계획 발표에 관심쏠림 |
EG | 6,500 | -1.07% | 4,400만 | EG는 국책과제인 ‘전고상 전지용 고전압·고용량 양극 및 고용량 음극 기술 개발’을 통해 전고체 전지용 폴리에테르 기반 고분자 리튬 전고상 고분자 전해질과 양극활물질과 고체전해질로 이뤄진 복합 양극 제조 기술 등을 연구 |
덕산테코피아 | 22,850 | -1.30% | 5억 8,200만 | 2차전지 전고체 배터리 제조업체 세븐킹에너지의 지분 취득 |
소프트센 | 396 | -1.98% | 13억 1,600만 | SK온, 솔리드파워에 전고체 배터리 장비 공급으로 관련주 편입 |
이브이첨단소재 | 1,462 | -2.08% | 9,400만 | 세계 최초 전고체 배터리 제조업체 지분 투자 |
2023-07-03 14:16 발행
2023-06-14 14:15 발행
2차전지
2차전지 - 소재/부품
2차전지 - 장비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2시간 전, 서울경제
車·鐵 1등기업 '원팀' 꾸리고 美관세·캐즘 파고 뛰어넘는다 [biz-플러스...
현대차는 경기 의왕 연구소에 차세대 배터리 연구동을 열고 전고체 배터리 시험 생산을 위한 파일럿 라인을 구축한 상황이다. 양 사가 차세대 소재 개발 등에서도 협력을 강화한다고 밝힌 만큼 의왕 연구소를 중심으로 한 연구개발(R&D) 협력이 점쳐진다. 포스코그룹은 2차전지 소재 연구는 물론 제품을 납품할...
3시간 전, 서울경제
박영식 나노인텍 회장 "건식 전극 최적화 장비 개발…연평균 30% 성장"
박 회장은 “건식전극 공정이 개발되는 2027년 7월 기준 국내외 매출이 약 1000억 원에 달할 것”이라며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 전극 공정용 장비 기술 확보의 교두보를 마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나노인텍은 건식 전극 장비 기술을 통해 친환경·디지털·고효율 배터리 제조에 성공할 경우...
8시간 전, 파이낸셜뉴스
합치고 쪼개는 중소벤처들… ‘경기침체 극복’에 전력 쏟는다
이를 통해 현재 주력인 자동차 램프와 함께 신성장동력인 전고체배터리 사업에 주력할 방침이다. 아이엘은 앞서 2023년 자동차 전장업체 아이엘모빌리티(옛 우수에이엠아이), 지난해 표면실장업체 아이엘셀리온(옛 셀리온)을 잇달아 인수한 뒤 실리콘렌즈 기반 자동차 램프 생산을 위한 원스톱 밸류체인을...
15시간 전, 서울경제
美관세·캐즘 함께 넘는다…현대차·포스코 '철강·배터리' 동맹
현대차는 경기 의왕 연구소에 차세대 배터리 연구동을 열고 전고체 배터리 시험 생산을 위한 파일럿 라인을 구축한 상황이다. 양 사가 차세대 소재 개발 등에서도 협력을 강화한다고 밝힌 만큼 의왕 연구소를 중심으로 한 연구개발(R&D) 협력이 점쳐진다. 포스코그룹은 2차전지 소재 연구는 물론 제품을 납품할...
16시간 전, 매일경제
전기차 캐즘에 성장 둔해진 배터리 시장 로봇·드론용으로 새로운 돌파...
이를 극복하기 위해 리튬메탈, 리튬황, 전고체 배터리 등 차세대 배터리 연구가 진행중이다. 최근 배터리업계는 로봇, 드론 등 신규 성장이 유망한 배터리 관련 기술 개발에 열중하며 본격적인 시장 대비에 나서고 있다. 초고속 충전 배터리 기술을 보유한 이스라엘 유니콘 기업 스토어닷이 글로벌 배터리...
18시간 전, 미디어펜
전고체 배터리, 수익성보다 기술력 입증 우선…"관건은 가격"
차세대 게임 체인저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 개발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본격적인 수익성을 보이기 위해서는 시간이 더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기차 가격에 배터리가 큰 비중을 차지하는 만큼 대중화를 통한 가격인하는 2030년 이후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삼성SDI의 배터리 모형. 실제 모델은...
21시간 전, 문화일보
中 ‘마라톤 로봇’ 충격… 이런데도 기업 옥죄는 한국 정치[사설]
주요국이 전고체 등 차세대 배터리 개발에 총력을 쏟는 이유다. 한국은 다행히 전고체 배터리에서 2027년 양산계획을 발표한 삼성SDI와 LG에너지솔루션이 세계 경쟁력을 인정받는다. 현대자동차 그룹엔 로봇 자회사도 있다. 최근 중국 첨단산업계를 둘러본 국내 기업인들은 “미래산업 중 반도체 D램 분야에서...
1일 전, 한국정경신문
나노소재 전문기업 석경에이티 김제공장 준공..연간 총 1200톤 생산
석경에이티 김제공장은 TIM 방열소재, 중공실리카, 전고체 전해질, 구형 Glass 등 차세대 성장제품을 포함 연간 총 1200톤 규모의 생산능력을 갖췄으며 금액 기준 약 500억 원 규모의 제품을 생산할 예정이다. 또 기존 안산 본사와 영암 제2공장의 총 생산능력(660톤/년)을 대폭 확장하며 글로벌 첨단소재...
1일 전
석경에이티, 김제에 132억 투입…"나노소재 생산거점 완성"
이번에 준공된 김제공장은 총 부지 3만1078㎡(약 9400평), 건축 면적 3867㎡(약 1170평) 규모로, TIM 방열소재·중공실리카·전고체 전해질·구형 글라스 등 차세대 성장제품의 양산체계를 갖췄다. 연간 1200톤, 약 500억 원 상당의 고부가가치 제품을 생산할 수 있으며, 이는 기존 안산 본사와 영암 제2공장을 합친...
1일 전, 스카이데일리 V2
나노소재 전문기업 석경에이티, 전북 김제에 제3공장 가동
경기 안산, 전남 영암에 이은 제3공장이 들어선 김제공장은 TIM 방열소재, 중공실리카, 전고체 전해질, 구형 Glass 등 차세대 성장제품을 포함해 연간 총 1200톤 규모의 생산능력을 갖췄다. 금액 기준 약 500억 원 규모의 제품을 생산할 예정으로 기존 안산 본사와 영암 제2공장의 총 생산능력(연간 660톤)을 대폭...
자동차 부품 | +17.47 % |
---|---|
전기자동차 부품 | -17.47 % |
초전도체 | 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