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 테마 설명 테마록 172 위
  • 관련 종목 24
  • 상승 종목 17
  • 하락 종목 6
+4.15% (등락룰 TOP5 종목 평균)
  • 최고 등락률 +5.41%
  • 최저 등락률 +3.19%
  • 전체 거래 대금 0
  • TOP5 거래 대금 0

2025-02-06 05:31 기준

일별 등락률

관련 종목
종목명 현재가 등락률 거래대금(원) 테마 포함 사유
포메탈 4,220 +11.64% 0 종합단조정밀기계부품 생산. 농기계 엔진의 주요 구성품인 크랑크샤프트, 캠샤프트, 커넥팅로드 등 생산.
롯데정밀화학 40,900 +5.41% 0 롯데그룹계열의 정밀화학 기업으로 비료의 주원료인 암모니아, 요소사업 영위.
우림피티에스 5,800 +5.26% 0 농기계 개발 및 공급
우듬지팜 1,455 +3.49% 0 스마트팜 및 농산물 재배, 가공 사업 영위. 국내 최초 스테비아 토마토 양산 성공.
대동기어 14,580 +3.40% 0 자동차 및 농기계, 산업기계 등의 동력전달장치용 부품 및 트랜스밋션을 주로 제조/판매하는 업체. 주요 매출처는 대동공업, 한국지엠, 현대차계열 등임.
아시아종묘 2,105 +3.19% 0 국내외 작물 재배자들을 대상으로 종자 개발/생산. 주된 생산품은 나종자로, 현재 241개 작물 1,435 품종 판매.
누보 1,029 +3.00% 0 비료, 유기농업 자재 생산
아세아텍 2,035 +1.75% 0 다목적관리기, 스피드 스프레이어, 결속기, 트랙터 등의 농기계를 제조, 판매하는 종합형 농업기계 제조.
인바이오 2,185 +1.63% 0 화학 농약 제조/판매. 주요 제품으로는 살균제, 살충제, 제초제, 살균살충제 등이 있음.
남해화학 6,460 +1.57% 0 농협계열의 국내 최대 비료(복합비료, 요소, 맞춤형비료 등) 생산 및 판매업체.
KG케미칼 3,720 +1.36% 0 복합비료(복합비료, 유기질비료, 원예용 복합비료 등) 등을 주력으로 생산.
효성오앤비 6,830 +1.34% 0 혼합유박비료, 유기복합비료, 혼합유기질비료 등 유기질비료 제조. 농협중앙회를 통해 유기질 비료를 전국에 공급.
농우바이오 7,360 +1.24% 0 국내 종묘산업 1위 업체. 국내외 작물 재배자들을 대상으로 종자 및 상토를 개발, 생산,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
우진비앤지 939 +1.08% 0 신규사업으로 미생물 농약 및 미생물 비료사업 영위. 자체 개발한 미생물 농약의 원제 제조업 허가를 취득하고 국내 최대 규모의 농약회사에 원료를 납품.
조비 11,300 +0.80% 0 국내 최초의 민간자본의 복합비료회사. 맞춤 비료 등의 복합비료, 친환경 비료 등 개발/판매.
그린생명과학 1,688 +0.78% 0 주요 제품으로 작물보호제의 원료인 AMZ, 작물 보호제로 Cyazofamid의 핵심 중간체인 CCIM 등이 있음.
대동 11,560 +0.43% 0 농업용기계(엔진포함)를 전문적으로 생산 및 판매하는 국내 농기계전문업체. 주요제품은 트랙터, 콤바인, 이앙기 등으로 구성.
경농 9,150 0.00% 0 동오그룹 계열의 농약 제조 및 판매업체. 주요 제품으로는 살균제, 살충제, 제초제 등을 보유. 코스피 상장사인 비료제조업체 (주)조비를 자회사로 보유.
동방아그로 6,060 -0.16% 0 농약 제조 전문업체. 살림꾼, 일품, 싸이메트 등의 농약과 꼬꼬시 등 비료를 생산/판매.
대동금속 6,580 -0.30% 0 농기계, 산업기계, 자동차용 주물소재를 생산, 판매하는 업체. 농기계용 주물은 모기업인 대동공업과 대동기어에 납품. 일본의 KMT(구보다)에 직수출.
성보화학 2,490 -0.40% 0 작물보호제 전문 업체. 살균제(카스텔란 등), 살충살균제(한소네 등), 살충제(강타자 등), 제초제(반벨 등) 등 생산/판매.
그린플러스 7,420 -0.67% 0 스마트팜 사업 영위.
TYM 5,070 -1.17% 0 트랙터, 콤바인, 이앙기 등 각종 농기계 제조사업 영위.
골든센츄리 1 -66.67% 0 농기계용(트렉터) 휠 가공 및 판매업체 양주금세기를 손자회사로 보유. 낙양동방홍(주제품: 트랙터용 휠)과 낙양금세기를 증손자회사로 보유.

테마 포커스

유사 테마

관련 뉴스

실시간 테마 순위

자동차 부품 +17.47 %
전기자동차 부품 -17.47 %
초전도체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