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1 02:46 기준
종목명 | 현재가 | 등락률 | 거래대금(원) | 테마 포함 사유 |
---|---|---|---|---|
지투지바이오 | 169,700 | +26.08% | 1,609억 3,800만 | 치매 치료제와 GLP-1 기반 비만 치료제를 중심으로 임상과 파트너링을 진행 중, 전립선암, 조현병, 탈모, 수술 후 통증 치료제 등 다양한 파이프라인으로도 확장할 수 있는 구조 |
일동제약 | 23,800 | +9.93% | 1,497억 7,600만 | 탈모 샴푸 '블랙 프로바이오틱 스칼프 케어 샴푸' 공급 |
인벤티지랩 | 45,200 | +5.98% | 410억 3,700만 | 탈모치료 '지속형 주사제' 호주 1상 승인 및 1상, 2상 안정성 입증. 세계최초 탈모 '장기지속 치료제' 기대감 |
에이치엘사이언스 | 11,310 | +3.38% | 8,400만 | 새치 및 탈모 관리 샴푸 출시 |
메타랩스 | 1,305 | +2.68% | 1억 6,000만 | 자회사인 모제림이 국내 대표 모발 이식업체. 자회사인 메타약품이 탈모치료제, 모제림 탈모케어샴푸 판매. |
위더스제약 | 7,140 | +2.29% | 6억 2,300만 | 주사형 탈모치료제 생산에 필요한 핵심 기술 마이크로플루이딕 공장 투자. 탈모치료제 임상 중인 인벤티지랩과 탈모치료제 생산 독점 파트너 체결 |
HK이노엔 | 47,500 | +0.96% | 54억 6,500만 | 미국 제약사 콘서트파마슈티컬스이 모발이 80% 재생되는 신약이 개발하자 JAK 신약 후보물질 보유 부각 |
TS트릴리온 | 213 | +0.95% | 1억 3,400만 | 탈모증상 완화샴푸 등 제조. |
케이엠제약 | 646 | +0.94% | 1,900만 | 헤어 관리제품 판매, 탈모 건강보험 적용가능성에 수혜기대 |
이노진 | 1,793 | +0.90% | 1,400만 | 탈모제품군 판매 |
강스템바이오텍 | 1,368 | +0.51% | 4억 5,500만 | 세계 최조 '인체 피부와 모낭 완벽 구현한 피부 오가노이드' 논문 발표. 탈모 완화 기능성 샴푸 판매 |
동아에스티 | 46,550 | +0.43% | 4억 2,200만 | 네오믹스와 공동으로 탈모치료제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 진행. 액상형 탈모치료제 개발 |
대웅제약 | 143,900 | +0.42% | 37억 7,200만 | 자체 개발 보툴리눔톡신 나보타의 탈모 치료제 가능성 연구 및 호주 임상 1상 완료 |
폴라리스세원 | 1,243 | +0.40% | 2억 3,100만 | 가발용 원사 생산. |
현대약품 | 3,975 | +0.38% | 3억 9,800만 | 탈모 증상 완화 가능성 화장픔, 식약처 보고 완료한 탈모샴푸 '마이녹셀' 론칭 |
유유제약 | 4,340 | +0.35% | 8,600만 | 세계모발학회에서 미국 및 유럽 두타스테리드 정제 임상시험 진행 계획 발표. 2026년 미국 및 유럽 탈모치료제 시장에 출시 계획 |
종근당홀딩스 | 49,100 | +0.20% | 2억 1,400만 | 자회사인 종근당바이오가 공동 판매 계약 체결한 미국기업 릴리가 탈모치료제인 올루미언트가 FDA 시판허가승인 받으며 부각 |
한미약품 | 291,000 | +0.17% | 233억 8,900만 | 피나테드, 두테드 등 탈모치료제 보유. |
JW신약 | 1,511 | +0.13% | 9,200만 | 존슨앤존슨의 탈모치료 외용제 '로게인 폼' 국내 독점 공급. 모나드, 네오다트 등 경구용 탈모치료제 보유 |
종근당 | 81,600 | +0.12% | 13억 5,700만 | 관계사 종근당아이오와 공동 판매 계약 체결한 미국기업 릴리가 탈모치료제인 올루미언트가 FDA 시판허가승인 받으며 부각 |
앤디포스 | 1,925 | +0.10% | 8,200만 | 자회사 큐어바이오 천연 아미노산인 펩타이드로 탈모치료제 개발. |
신신제약 | 5,710 | 0.00% | 3억 3,500만 | 자체 용해성 마이크로니들 자체 설비를 비만, 탈모 치료제 개발에 적용해 약물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할 방침 |
오상자이엘 | 3,480 | 0.00% | 7,000만 | 헤어케어 탈모완화 스칼프 샴푸 공급 |
종근당바이오 | 23,650 | 0.00% | 2억 3,100만 | 공동 판매 계약 체결한 미국기업 릴리가 탈모치료제인 올루미언트가 FDA 시판허가승인 받으며 부각 |
컬러레이 | 703 | 0.00% | 1,700만 | 탈모 증상 억제효과 물질을 개발한 정진호 교수의 벤처기업 '정진호이펙트'의 지분 15% 보유 |
프롬바이오 | 1,763 | -0.11% | 2억 5,500만 | 탈모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특허 취득. 줄기세포 탈모 치료제 특허 등록 |
폴라리스우노 | 506 | -0.20% | 2,200만 | 가발용 원사 생산. |
현대바이오 | 5,730 | -0.35% | 25억 1,300만 | 탈모예방과 발모촉진을 도와주는 비타브리드 개발/판매. |
SCL사이언스 | 2,660 | -0.37% | 1억 8,600만 |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특허를 공동 출원한 이력 보유한 한국과학기술원이 모발이식용 생체 접착제 개발 |
메디포스트 | 12,250 | -0.41% | 10억 9,800만 | 탈모방지 줄기세포 조성물 일본특허 취득. |
케어젠 | 54,500 | -0.55% | 40억 5,800만 | 헤어필러 탈모치료제 생산 |
현대바이오랜드 | 4,450 | -0.56% | 1억 9,100만 | 스트렙토코커스 배양액 기반 탈모 방지용 모발 화장료 특허 취득 |
브이티 | 31,150 | -0.64% | 142억 1,000만 | 2018년에 탈모 치료제 기술 이전 이력. |
보령 | 8,610 | -0.69% | 4억 | 국내 판권 계약한 세계 최초 스프레이 제형 피나스테리드 탈모약 '핀쥬베(Finjuve)'가 국내 허가 획득으로 부각 |
바이오니아 | 14,460 | -1.16% | 9억 4,900만 | siRNA 탈모 방지 화장품 독일 더마테스트 안전성 최고등급 획득 및 개발. 탈모 기능성 화장품 '코스메르나' 출시 계획 발표. 탈모화장품 '코스메르나' 유럽 안정성 보고서 확보. 바이오니아의 탈모 완화 기능성 화장품 코스메르나가 유럽 화장품 인증 포털인 CPNP에 제품 등록 완료. 탈모 완화 기능성 화장품 '코스메리나' 원료 생상 시설 확충 |
오리엔트바이오 | 642 | -1.23% | 10억 6,200만 | 탈모치료제 후보물질 임상 진행. |
안트로젠 | 24,850 | -1.39% | 4억 3,300만 | 탈모 치료에 효과적인 신물질 개발. |
원텍 | 10,510 | -1.59% | 98억 3,300만 | 미국 기업 와이저리빙(Wiser Living)의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순수 한국 기술로 개발한 탈모치료 의료기기 '헤어붐 헤어' 미국 시장 진출 |
티앤알바이오팹 | 2,110 | -4.74% | 10억 7,600만 | 에피바이오텍과 역분화줄기세포를 이용한 탈모 질환 대상 줄기세포 치료제 공동 개발 MOU 체결. |
올릭스 | 88,500 | -4.94% | 1,330억 6,400만 | 탈모치료제 프로그램 ‘OLX104C’에 대한 전임상 연구논문 국제 학술지에 게재. 호주 인체연구윤리위원회에 탈모치료제 임상1상 시험 계획 제출. 탈모치료제 호주 임상 1상 IND 승인 |
피플바이오 | 1,649 | -5.28% | 2억 1,700만 | 자회사 파마코를 통해 성균관대와 탈모 예방 및 치료 효능을 갗춘 야생식물추출권에 대한 특허권 기술이전 계약 체결 |
인스코비 | 807 | -5.61% | 10억 1,600만 | 발모 프로그램 특허 출원. 발모 프로그램 사업화 진행. |
2023-02-17 13:18 발행
2022-01-06 16:34 발행
탈모 - 치료제
제약/바이오
탈모 - 제품
치매
12시간 전, 전북도민일보
4·3 격동기에도 제주도민 생존 지탱한 저장식 '제주푸른콩'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 출원번호 10-2020-0002441(2020.01.08) | 출원인 (주)아모레퍼시픽 - 제주산 푸른콩을 활용한 콩 스프레드 및 이의 제조방법 | 출원번호 10-2023-0115782(2023.08.31.) | 출원인 이찬희 - 제주 용암해수, 제주 보리누룩 및 천연식물을 이용한 발효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1일 전, 뉴시스
"5000원으로 입고 바르고"…다이소, 가을시즌 카테고리 확대 지속
쿤달, 모다모다 등 헤어케어 브랜드도 드라이 샴푸, 탈모케어 등 신제품을 내놓는다.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애경산업 등 주요 뷰티 기업들도 다이소에서 다양한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연이은 신상품 출시와 브랜드 입점으로 다이소의 의류와 패션 카테고리의 매출은 성장세다. 올해 상반기 다이소의 의류...
자동차 부품 | +17.47 % |
---|---|
전기자동차 부품 | -17.47 % |
초전도체 | 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