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력 테마 설명 테마록 14 위
  • 관련 종목 42
  • 상승 종목 17
  • 하락 종목 25
+6.45% (등락룰 TOP5 종목 평균)
  • 최고 등락률 +9.13%
  • 최저 등락률 +4.72%
  • 전체 거래 대금 0
  • TOP5 거래 대금 0

2025-08-31 17:28 기준

일별 등락률

관련 종목
종목명 현재가 등락률 거래대금(원) 테마 포함 사유
삼영엠텍 8,640 +29.92% 0 선박용 내연기관구조재, 구조물/산업기계 구조재, 풍력부품 등을 생산, 판매하는 주강 전문 생산업체. 풍력부품으로는 기어박스에 들어가는 가속부품인 주강품 플래닛 케리어(Planet Carrier)를 생산.
세진중공업 15,200 +9.67% 0 19년3월 네덜란드 해양 설계 전문기업 구스토엠에스시 그룹과 해상 풍력용 부유식 하부체 제작 관련 MOU 체결했으며, 국내 해상 풍력발전 공사 공동 참여 결정. 울산시 부유식 해상풍력 사업 참여를 위한 준비중.
HD현대마린엔진 92,000 +9.13% 0 2MW급 풍력발전기용 HUB 개발.
한라IMS 14,150 +7.60% 0 풍력 하부구조물 등 신사업 진출 준비.
케이피에프 5,030 +5.56% 0 풍력발전용 설비에 사용되는 화스너 제품(볼트, 너트 등)을 생산.
SK오션플랜트 20,850 +5.25% 0 해상용 풍력발전기 지지장치를 개발했으며, 두산중공업으로부터 해상풍력발전기의 하부구조물 부품인 자켓(JAKET)을 수주한 바 있음.
유니슨 1,065 +4.72% 0 풍력발전 사업을 주된사업으로 영위. 대규모 풍력발전단지 조성 및 운영, 유지보수사업을 영위중. 중국 풍력발전 기업 '밍양'과 MOU 체결
대창솔루션 450 +3.21% 0 에너지변환장치품(육상·해상용 대형엔진과 풍력발전 등 전력을 생산하는 엔진용도)에 사용되는 주강품 및 관련 제품 생산업체. 19년 중국으로부터 풍력부품을 수주하여 시제품 생산.
LS 177,600 +2.54% 0 자회사 LS전선이 국내 최초로 풍력발전용 전선과 풍력발전 모니터링시스템을 개발. 또한, LS엠트론은 풍력발전설비 등에 사용되는 차세대 에너지 저장장치인 울트라커패시터(UC)를 개발.
효성 86,800 +2.12% 0 태백풍력발전과 평창풍력발전을 자회사로 보유하고 있으며, 인적분할된 계열사 효성중공업(주)이 풍력발전기 사업 등을 영위.
한화오션 112,000 +2.00% 0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선 제조.
효성중공업 1,240,000 +0.90% 0 풍력발전의 핵심 부품인 증속기(gearbox)와 발전기(generator) 부문에서 검증된 설계 기술과 생산 역량을 갖춤.
스페코 2,780 +0.72% 0 멕시코에 풍력발전용 Tower 생산공장을 건설해 윈드타워를 생산/판매중.
동국S&C 2,375 +0.64% 0 동국산업 계열의 풍력발전업체. 풍력발전기의 핵심품목인 윈드타워(Wind Tower)를 자체 기술로 생산중.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 사업 진출과 관련해 전남 신안군 앞바다에 16만 가구에 대한 전기공급이 가능한 200MW 급 해상풍력단지를 건설.
LS에코에너지 39,600 +0.25% 0 해상 풍력발전 프로젝트에 해저케이블 공급 추진
씨에스베어링 6,680 +0.15% 0 풍력발전 베어링 전문업체. 블레이드와 로터를 연결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풍력용 피치 베어링과 수평축 풍력 발전기의 요 시스템 중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요 베어링을 주력 제품으로 생산.
서암기계공업 3,640 +0.14% 0 공작기계 핵심 요소부품인 각종 기어류 제조 업체. 풍력발전기용 기어를 일본에 국한하여 판매중임.
넥스틸 13,130 -0.08% 0 신재생 및 풍력 에너지 등에 사용되는 초대구경 강관 설비 구축에 투자
씨에스윈드 41,750 -0.12% 0 풍력발전기의 기둥 부분인 타워를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업체. 베트남, 말레이시아, 중국, 영국, 터키, 대만에 생산법인을 설립하여 풍력타워를 생산. 연간 풍력타워 생산능력 기준으로 세계 1위이며, 글로벌 풍력타워 시장에서 높은 시장점유율을 차지. 유럽서 풍력타워 공급계약 체결
현대건설 62,100 -0.16% 0 자회사 현대스틸산업, 해상풍력 하부구조물 EPC·중장비 제작 등의 사업 영위, 국내 해상풍력 하부구조물 EPC 점유율 1위 업체.
금양그린파워 9,000 -0.22% 0 한국제지 소유 토지 93만평을 매입해 60MW 이상 대규모 육상풍력을 개발할 예정
GS글로벌 2,545 -0.39% 0 자회사 GS엔텍이 해상풍력발전 하부 구조물 사업 진출
HD한국조선해양 406,500 -0.49% 0 그린에너지 사업(태양광, 풍력 등)을 현대에너지솔루션(구,현대중공업그린에너지)로 독립시켜 종속회사로 보유. 풍력발전사업을 주요사업으로 하는 태백풍력발전, 창죽풍력발전, 태백귀네미풍력발전 등을 계열사로 보유.
SK이터닉스 20,450 -0.49% 0 국내 최대 규모의 풍력 파이프라인을 보유한 Top-Tier 디벨로퍼 기업으로서, 개발 · EPC · 운영
우림피티에스 5,070 -0.59% 0 산업용감속기 및 트랜스미션 생산업체로 풍력발전기 부품도 생산/판매. 풍력발전기 3MW급 풍력발전기용 증속기 부품, MW급 풍력발전기용 YAW 감속기, 해상풍력용 감속기 등을 개발.
대명에너지 21,650 -0.69% 0 풍력 발전소 건설 공사사업 영위
POSCO홀딩스 285,500 -0.87% 0 21년5월 글로벌 해상풍력 업체인 덴마크 오스테드와 국내 해상풍력 및 그린수소 사업 포괄적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 오스테드는 국내 최대 1.6GW급 인천 해상 풍력 사업을 추진 중이며, 동사는 해상풍력발전 단지 구축에 필요한 풍력발전 철강재를 공급하며, 풍력발전을 활용한 그린수소생산에 참여할 예정.
포메탈 2,990 -0.99% 0 종합단조정밀기계부품 생산 업체. 로봇/풍력 부문 주요제품으로 샤프트, 홀드 플랜지, 감속기어 등을 생산.
씨엔플러스 465 -1.06% 0 해상풍력발전소 건설사업 영위.
코오롱글로벌 8,770 -1.13% 0 풍력발전사업 영위하고 있으며, 설계·조달·시공·관리 및 운영을 함께 수행중. 경주풍력발전(주), 양양풍력발전(주), 태백가덕산풍력발전(주) 지분 보유. 지난 18년 전남개발공사, 한국서부발전과 해상풍력 발전사업 협력 MOU 체결. `완도 장보고 해상 풍력 발전사업 허가 취득
SK디앤디 10,100 -1.17% 0 신재생에너지 개발사업 영위. 태양광발전소 및 풍력발전소의 개발, 운영 및 발전사업관리 등의 기능 수행. 제주 가시리 풍력발전소 보유.
해성에어로보틱스 5,710 -1.21% 0 풍력발전기용 감속기 제조.
세아제강 133,700 -1.26% 0 재킷식 해상풍력 하부구조물 제작에 사용되는 후육관을 생산중. 20년 상반기 대만 창후아(Changhua) 해상 풍력 프로젝트 1단계를 위한 핀 파일 납품 시작.
태웅 37,600 -1.44% 0 풍력산업에 사용되는 단조부품을 생산. 풍력발전용 Main Shaft, Tower Flange 등을 생산하여 세계 전문풍력업체에 납품중.
한전기술 92,400 -1.49% 0 해상풍력발전소 EPC사업 등 영위.
DGP 1,032 -1.53% 0 풍력발전업을 영위하는 (주)하장2풍력발전을 종속회사로 보유. 육상풍력발전 단지 건립 프로젝트 참여를 위해 강구풍력발전(주)과 여수삼산해상풍력(주)의 지분 취득.
동국산업 3,185 -1.55% 0 동국산업 계열의 실질적 지주회사로 동국S&C의 최대주주. 자회사를 통해 윈드타워(동국S&C), 풍력발전(신안풍력발전) 등의 신재생에너지사업을 영위.
삼일씨엔에스 4,905 -1.80% 0 10MW급 강재 및 3MW급 복합 합성구조 풍력발전타워 설계기술 개발(국토부 R&D과제).
두산에너빌리티 61,700 -1.91% 0 3MW급 풍력 발전 시스템인 WinDS 3000™을 개발했으며, 국내업체 최초로 국제 형식인증(DEWI-OCC Type Certificate) 취득. 30MW 규모의 국내 최초 해상풍력단지 건설 외 국내외 다수 프로젝트에 공급.
한국전력 36,350 -2.02% 0 친환경 에너지에 투자를 확대하여 서남해 해상풍력, 제주한림 해상풍력 등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을 추진중임. 20년7월 저풍속에서도 안정적으로 발전이 가능한 중형풍력발전기(100&#65533kW) 개발에 성공했음.
LS마린솔루션 23,000 -2.34% 0 전남해상풍력 1단지 해저케이블 EPCi 건설 계약 이력 보유
우리기술 3,875 -3.25% 0 국내 풍력발전 제어분야 1위 업체 에스엠아이의 풍력 상태감시시스템, 원격감시제어 사업 인수. 풍력 제어감시사업 영위.

테마 포커스

유사 테마

관련 뉴스

  • 17시간 전, 현대경제신문

    조선기자재 관련주, '웃음꽃 만개' 삼영엠텍·범한퓨얼셀·동방선기·한...

    삼영엠텍은 플랜트 기자재, 선박엔진·구조재, 풍력 기자재 등을 생산하며 포스코이앤씨, 두산에너빌리티, HD현대중공업 등 국내 대기업과 독일 METSO... 해양솔루션의 부문은 해양플랜트부품, 해상풍력발전부품을, 원전폐기물 부문은 고위험물질용 저장용기 특수강을 주요 제품으로 한다. 발전설비...

  • 17시간 전, 현대경제신문

    LNG(액화천연가스) 관련주, '훨훨' HJ중공업·한화엔진·SK오션플랜트.....

    SK오션플랜트는 SK에코플랜트를 최대주주로 두고 있으며, 해상풍력, 조선 기자재, LNG 저장탱크 등 다양한 친환경 에너지 구조물 제작 경험을... 해양솔루션의 부문은 해양플랜트부품, 해상풍력발전부품을, 원전폐기물 부문은 고위험물질용 저장용기 특수강을 주요 제품으로 한다. 발전설비 부문은...

  • 1일 전, 매일일보

    인천시, 제1회 공공주도 해상풍력 포럼 개최

    매일일보 = 이종민 기자 | 인천광역시는 8월 29일 송도컨벤시아에서 국내 해상풍력 전문가와 지역 학계‧산업계가 참여한 "제1회 인천 공공주도 해상풍력 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인천시가 추진 중인 공공주도 해상 집적화단지를 포함한 대규모 해상사업을 지역산업과 연계해 생태계를...

  • 1일 전, 머니투데이

    AI 발전·괴물폭염에 '과부하'…"그리드 혁명 없이 AI시대 못연다"

    해상풍력 발전으로 만든 전기를 주요 산업지대로 송전하는 '에너지 고속도로' 구축을 추진한다. 한국전력은 기존의 중앙집중식 송배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5년간 10조원을 투입해 분산형 에너지 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대규모 원자력·화력 중심의 '중앙집중형 발전'에서 벗어나 태양광·...

  • 1일 전, 비즈니스워치

    풍력 전력길 여는 HD현대重, 해상변전소로 시장 '정조준'

    HD현대중공업, 500MW급 해상변전소 자체 개발 HD현대중공업이 500MW급 해상변전소 모델로 해상풍력 시장 공략을 강화. 지난 27일 노르웨이선급(DNV)... 해상변전소는 해상풍력단지에서 생산된 전력을 육상으로 송전하기 위해 필요한 핵심 설비. 바다에 설치된 발전기가 생산한 전기를 모아 전력 손실을...

  • 1일 전, 중도일보

    인천시, 제1회 공공주도 해상풍력 포럼

    인천시는 지난 29일 송도컨벤시아에서 국내 해상풍력 전문가와 지역 학계·산업계가 참여한 "제1회 인천 공공주도 해상풍력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인천시가 추진 중인 공공주도 해상풍력 집적화단지를 포함한 대규모 해상사업을 지역산업과 연계해 생태계를 조성하고, 향후 10년을 대비하기 위한...

  • 1일 전, 일요신문

    인천시, 제1회 공공주도 해상풍력 포럼 개최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29일 송도컨벤시아에서 국내 해상풍력 전문가와 지역 학계·산업계가 참여한 '제1회 인천 공공주도 해상풍력 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인천시가 추진 중인 공공주도 해상풍력 집적화단지를 포함한 대규모 해상사업을 지역산업과 연계해 생태계를 조성하고, 향후...

  • 1일 전, 에너지경제신문

    [기후에너지 단상] 정권 따라 바뀌는 기후산업국제박람회

    재생에너지인 태양광과 풍력이 주인공이던 시절이다. 윤석열 정부가 들어서면서 전시회 풍경은 달라졌다. 원전이 중심으로 등장했다. 또한 지난 2023년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 열기가 고조되던 시기, 에너지대전은 일산에서 부산 벡스코로 옮겨졌다. 전시관은 원전과 재생에너지를 묶은 청정에너지관...

  • 1일 전, MBC뉴스

    [인싸M] 전력 이산화탄소 곧 역사적 정점 도달, 재생이 석탄 눌렀다 | 기...

    IEA는 기상 조건에 따라 풍력과 수력 발전량이 더 증가할 경우 이르면 올해가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석탄을 앞지르는 역사적인 해가 될 수 있다고 말합니다. 전 세계 태양광, 풍력 발전량 급증 재생에너지 발전량의 급속한 증가는 태양광과 발전량이 급증했기 때문입니다. <그림 3>은 해마다 새로 건설되는...

  • 1일 전, 현대경제신문

    철강 중소형 관련주, '봄꽃만개' 동일스틸럭스·화인베스틸·영흥·SK오...

    SK오션플랜트는 SK에코플랜트를 최대주주로 두고 있으며, 해상풍력, 조선 기자재, LNG 저장탱크 등 다양한 친환경 에너지 구조물 제작 경험을 보유하고... 글로벌 종합강관 업체를 목표로 국내유일, 아시아 최대 외경인 전기저항용접 강관(ERW) 26인치 설비 구축하였으며, 신재생 및 에너지 등에 사용되는...

더보기

실시간 테마 순위

자동차 부품 +17.47 %
전기자동차 부품 -17.47 %
초전도체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