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9 18:07 기준
종목명 | 현재가 | 등락률 | 거래대금(원) | 테마 포함 사유 |
---|---|---|---|---|
에이텀 | 5,840 | +14.51% | 10억 6,700만 | 전기차 충전기용 평판형 트랜스 개발 진행 |
스틱인베스트먼트 | 11,980 | +10.52% | 97억 7,600만 | 테슬라 전기차 충전시설 납품권을 보유한 대영채비의 2대주주 |
SK | 224,000 | +7.18% | 1,422억 6,900만 | SK E&S가 미국 전기차 충전기업 에버차지 인수 |
E1 | 98,100 | +6.28% | 39억 9,900만 | E1 LPG 충전소에 ESS를 연계한 초급속 전기차 충전 시설을 구축할 계획 |
GS | 53,000 | +6.21% | 248억 2,800만 | GS에너지, 전기차 충전서비스업체인 '차지비' 인수 |
동양이엔피 | 25,200 | +5.00% | 20억 700만 | 전기차 충전 인프라 개발 및 충전기 공급 |
제일일렉트릭 | 11,280 | +4.44% | 103억 2,600만 | 전기차 충전기 시장 진출을 위해 스타코프와 전략적 업무 협약 체결 |
SK네트웍스 | 4,810 | +4.34% | 57억 2,400만 | 현대차와 전기차 충전소 조성을 위한 MOU(업무협약) 계약 체결. 전국 16개 직영주요소에 전기차 급속 충전기 사업 진행 중. 자동차 종합 관리 브랜드인 '스피드메이트'가 전기차 긴급 충전서비스 시작. 국내 최대 민간 급속충전기 운영업체 에스에스차저 인수 완료 |
대성하이텍 | 4,870 | +3.84% | 11억 5,900만 | 전기차 주행거리를 30% 상승시킬 수 있는 3세대 MSO Coil 개발. |
LS | 191,100 | +3.75% | 636억 1,200만 | 자회사 LS전선, 국내 최초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 충전 인프라 구축을 위한 신규 법인 ‘LS이링크’(LS E-Link)를 설립 |
파워로직스 | 4,785 | +3.13% | 19억 5,600만 | 전기차량용(하이브리드카, 전기차, 전기자전거 등) 배터리 관리시스템 개발에 성공해 양산. 2011년 6월 한국전기연구원(KERI)과의 공동 연구로 전기자동차 인프라 구축을 위한 급속 충전기의 상용화 개발을 완료 |
캐리 | 3,735 | +3.03% | 12억 9,200만 | 전기차 충전기 사업화를 위한 MOU 체결. |
S-Oil | 63,500 | +2.92% | 235억 7,200만 | 전기차 충전소 운영. |
SK이노베이션 | 116,500 | +2.92% | 665억 2,100만 | 자회사 SK에너지, 전기차 충전소 사업 영위. |
한국공항 | 55,500 | +2.40% | 7억 6,500만 | 전기차 충전 인프라 사업 검토 |
포스코DX | 23,750 | +1.93% | 77억 7,700만 | 한국 GM의 전기차 충전인프라 사업자로 선정. |
와이투솔루션 | 3,455 | +1.92% | 6억 9,500만 | 전기차 충전기용 35kW 직류전원장치(SMPS) 세계 최초 개발 |
신성이엔지 | 1,517 | +1.81% | 21억 7,900만 | 제이엔케이히터와 협력하여 그린 수소 전기 복합충전소 구축 계획 |
신세계 I&C | 18,030 | +1.75% | 31억 800만 | sk시그넷과 전기차 충전사업 확대 업무협약 체결 |
시지메드텍 | 1,046 | +1.75% | 10억 7,200만 | 전기차 충전기 제조 및 판매 |
LG헬로비전 | 2,980 | +1.71% | 48억 3,700만 | 전기차 충전 컨설팅부터 현장실사 및 공사 운영까지 전기차 충전인프라 구축을 위한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상품은 완충시간 30분 내외 50kW와 100kW 급속충전기와 완충시간 4시간 내외 7kW 완속 충전기가 있다. |
휴맥스 | 1,045 | +1.65% | 7,300만 | 전기차 충전기 제조업체 '대영채비'의 지분 20% 보유. 휴맥스 모빌리티 자회사인 휴맥스 EV가 정부청사의 전기차 충전기 설치 운영 사업자로 선정 |
아이엘 | 2,700 | +0.93% | 1억 1,700만 | 전기차 충전기 업체인 차지인과 ‘스마트 가로등 기반 전기차 충전 사업’ 추진을 위해 상호협력 약속 |
에스트래픽 | 4,195 | +0.84% | 4억 5,000만 | 전기차 충전소 구축/운영 |
아모센스 | 6,600 | +0.76% | 7,200만 | 무선 충전 안테나 모듈 공급이력이 있는 LG전자가 전기차 사업 진출. 세계 최초로 무선충전용 차폐시트 개발 |
SK텔레콤 | 55,000 | +0.73% | 539억 3,700만 | 자회사 SK브로드밴드가 전기차 충전사업 확대 위한 MOU 체결 |
휴맥스홀딩스 | 2,135 | +0.71% | 9,700만 | 자회사인 휴맥스가 국내 유력 충전기 제조 및 충전서비스 사업자, 국내 급속 충전기 시장 70% 점유한 대영채비 지분 20% 인수 |
피에스텍 | 4,260 | +0.59% | 7,900만 | 급속 충전기 상용화 개발 완료 |
위츠 | 6,890 | +0.58% | 3억 3,400만 | 전기자동차(EV) 등 전력 전송 전 영역에서 무선충전모듈과 무선충전기 등 전력 전송에 필요한 솔루션을 개발·공급 |
기아 | 99,600 | +0.50% | 807억 6,100만 | 전기차 충전 서비스 제공 및 충전 인프라 구축 |
모티브링크 | 9,230 | +0.22% | 4억 3,600만 |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제품 전력변환 변압기 제조, 현대모비스와의 협력을 기반으로 하이브리드 및 전기차의 핵심 전력변환부품 공급 |
보성파워텍 | 3,280 | +0.15% | 14억 1,600만 | 2017년6월 전기차용 급속충전기(50㎾급) 개발을 완료, 7월 국가통합인증(KC) 시험을 통과 했음. 2018년1월 자체 기술로 개발한 전기차 급속 충전기를 한국전력 본사에 공급 |
LG전자 | 73,700 | +0.14% | 265억 4,500만 | 전기차용 충전기 출시 |
와이엠텍 | 9,480 | 0.00% | 7,700만 | 전기차 충전기용 EV Relay 공급 |
원익피앤이 | 3,090 | -0.48% | 3억 5,900만 | 폐배터리를 활용한 ESG 하이브리드 급속 충전기 선보임 |
카카오 | 60,500 | -0.49% | 1,293억 8,500만 | 자회사 카카오모빌리티가 자사 전기차 충전서비스에 환경부 전기차 충전기를 연동한다고 밝힘 |
LG에너지솔루션 | 305,000 | -0.65% | 758억 | 전기이륜차 배터리 충전 사업 진출 |
위너스 | 14,710 | -0.68% | 1억 2,400만 | 배선시스템 전문기업으로 전기차 충전기 시장에 진출. 공모 자금 투자 예정 |
현대차 | 209,500 | -0.71% | 1,088억 5,200만 | 전기차충전소(E-pit) 운영. 전기차 충전시설을 한국전기차 충전서비스와 SK시그넷으로 교체한다. 롯데그룹, KB자산운용과 ‘전기차 초고속 충전 인프라 SPC' 설립 추진을 위한 협약을 체결. 인도 태양광 전기차 충전소 프로젝트 참여 |
유라테크 | 8,850 | -0.90% | 4억 1,500만 | 관계사인 유라코퍼레이션이 제네시스 전기차 'GV60'에 무선 충전 기능 구현에 필요한 일부 하드웨어를 제작 |
모트렉스 | 9,040 | -0.99% | 1억 6,100만 | 자회사 모트렉스EV, 전기차 충전사업 영위 |
하나기술 | 22,350 | -1.11% | 6억 400만 | 이브이링크, 한국전기차리빌딩협회와 '차세대 충방전 시스템 스마트 진단 알고리즘' 공동 개발 위한 MOU 체결 |
디티씨 | 3,220 | -1.38% | 1억 4,300만 | 전기차 충전업체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의 지분 24% 보유 (2023년 2월 기준) |
에이프로 | 6,590 | -1.64% | 7억 3,200만 | 2차전지 배터리 장비 업체로 전기차 급속충전기술 보유. |
제이스코홀딩스 | 2,050 | -2.38% | 8억 800만 | 전기차 충전 사업을 위한 MOU 체결 |
한국전력 | 37,550 | -2.85% | 1,529억 6,800만 | 전기차 충전인프라 구축 사업 영위. 2020년 6월말 기준 고용 충전기1536기, 아파트용 6374기 구축. |
그리드위즈 | 22,950 | -3.16% | 24억 1,800만 | 전기차 충전 모뎀 및 충전기 제조/판매. 전기차 충전 모뎀과 지능형 전기차 충전기의 해외 현지 생산을 통해 EM 사업을 확대하고 해외 V2G 서비스 시장을 개척중 |
알티캐스트 | 645 | -4.73% | 2억 6,500만 | 현대오일뱅크와 전기차 충전소 파트너십 체결한 차지인의 지분 보유. |
2023-10-06 14:57 발행
2023-06-12 14:19 발행
전기차 부품
2차전지
ESS(전력저장장치)
자율주행
2일 전, 브릿지경제
[비바100] 기름으로 식히는 미래, 액침냉각 시대가 온다
정유업계는 액침냉각용 냉각유를 개발하며 데이터센터를 넘어 전기차 배터리, 에너지 저장장치(ESS), 우주 장비 등으로 기술의 응용 범위를 넓혀가고... ◇ 전기차 배터리에서 우주까지, 확장되는 액침의 무대 데이터센터를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혁신적 냉각 기술은 배터리, 에너지 저장장치...
2일 전, 매일경제
한국인만 ‘한국車’ 무서워 못타겠다 욕 했나?…‘안전대박→판매대박...
전기차인 기아 EV6는 아이스하키 스타를 충돌사고에서 구했다. 현대차 아반떼N은 300피트(91m) 협곡 아래로 굴러 떨어지는 추락사고에서 탑승자들을... 현대차그룹은 유럽의 대표 신차 안전성 평가 프로그램인 유로 NCAP에서도 판매 중인 모든 전용 들이 최고등급 ‘별 5개’를 획득했다. 2021년...
2일 전, e대한경제
한국 상륙 BYD 상반기 성적은
1337대 판매 ‘저조’…일본 실패 재현하나 하반기 중형세단 ‘씰’ 출시로 반전 노려 중국 전기차 브랜드 BYD의 올 상반기 국내 승용차 판매량이... 수입 전기차에 대한 수요가 한정적이라기엔 테슬라 모델Y가 상반기 1만5000대 이상 판매됐고, 아토3보다 2배 가량 비싼 아우디 Q4 e-트론도 상반기 1511대...
2일 전, 세계일보
완충 후 720㎞ 질주… “수소차 진입장벽 허문다”
수소전기차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며 독보적인 영역을 구축한 모델이다. 성능과 활용도 모두 진일보한 신형 넥쏘(사진)가 진입장벽을 뛰어넘어... 가속 페달을 밟자 전기차보다는 한층 완만하지만 내연기관차와 비교하면 빠른 가속감이 느껴졌다. 넥쏘가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까지 도달하는 데...
2일 전, 세계일보
‘성능 갑’ 국산 vs ‘고급화’ 수입… “전기차로 한판 붙자”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 보급형 전기차부터 고성능·플래그십 세단까지 다양한 제품군이 출시되며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을 것으로 보인다. ◆아이오닉6N·EV5 등 국산 전기차 출격 6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완성차 업체들은 기대를 모았던 를 중심으로 하반기에 신차를 내놓으며 수입 와...
2일 전, 한국경제
‘성장 모터’ 단 현대차...정의선의 ‘믿을맨’[2025 100대 CEO]
예측 불허의 국제 정세,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 급변과 무역 갈등, 소비자 우위 시장과 전기차 캐즘, 신흥 경쟁사들의 기술 발전과 도전, 기술 혁신 가속화와 이로 인한 산업 패러다임 변화 등 한 치 앞도 예측하기 어려운 경영환경에 직면해 있다. 장 부회장은 상품 기획부터 공급망 관리, 제조·원가·품질을...
2일 전
김연아처럼 빙글 돌아 주차… EV3 로봇주차 영상 화제
좁은 길목에서 기아 전기차 EV3가 제법 빠른 속도로 달려온다. 빈 주차 칸 앞에서 270도 회전하더니 단 한 번에 완벽하게 주차한다. 잠시 후 차체 밑에서 얇고 넓은 형태의 주차 로봇 한 쌍이 나온다. 주차 로봇은 피겨스케이팅 선수처럼 우아한 배경음악에 맞춰 빙글빙글 돌다가 다시 다른 차량 아래로...
2일 전, M오토데일리
"전기차, 다시 생각하다" 르노, 세닉 E-Tech 공개 앞두고 이색 체험 프로...
올해 999대만 프랑스에서 수입 판매 예정인 세닉 E-Tech는 르노 그룹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 'AmpR 미디움(Medium)' 기반의 가볍고 넉넉한 공간의 차체와 경쾌하고 편안한 주행 성능을 자랑한다. LG에너지솔루션의 87kWh NCM 배터리를 탑재해 1회 충전 시 최대 460km 주행이 가능하며, 차체 바닥과 배터리...
2일 전, 지피코리아
"전기차 '세닉' 미리 보세요"…르노코리아, '르노 성수'서 체험 프로그...
올해 999대만 프랑스에서 수입 판매 예정인 세닉 E-Tech는 르노 그룹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 'AmpR 미디움' 기반의 가볍고 넉넉한 차체 공간과 경쾌하고 편안한 주행 성능을 자랑한다. LG에너지솔루션의 87kWh NCM 배터리를 탑재해 1회 충전시 최대 460km 주행이 가능하며, 차체 바닥과 배터리 케이싱...
2일 전, RPM9
르노코리아, 세닉 E-Tech 체험해보는 'Rethink electric' 프로그램 진행
올해 999대만 프랑스에서 수입 판매 예정인 세닉 E-Tech는 르노 그룹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 'AmpR 미디움(Medium)' 기반의 가볍고 넉넉한 공간의 차체와 경쾌하고 편안한 주행 성능을 자랑한다. LG에너지솔루션의 87kWh NCM 배터리를 탑재해 1회 충전 시 최대 460㎞ 주행이 가능하며, 차체 바닥과 배터리...
자동차 부품 | +17.47 % |
---|---|
전기자동차 부품 | -17.47 % |
초전도체 | 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