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21:26 기준
| 종목명 | 현재가 | 등락률 | 거래대금(원) | 테마 포함 사유 |
|---|---|---|---|---|
| 비나텍 | 52,300 | +15.45% | 121억 2,900만 | 수소연료전지용 MEA, 지지체, 촉매 등 생산. |
| 코오롱인더 | 46,000 | +9.52% | 346억 4,900만 | 수소연료전지용 수분제어장치 공급. |
| SJG세종 | 8,940 | +8.76% | 420억 6,700만 | 중국 수소연료전지 시스템 전문 기업인 리파이어와 수소 센서 공급계약 체결. |
| 두산 | 975,000 | +7.62% | 1,106억 6,000만 | 자회사, 두산모빌이노가 국내 최초 드론용 수소연료전지 KGS 인증 획득 |
| 시노펙스 | 6,300 | +5.53% | 37억 1,800만 | 수소연료전지용 강화막 공급. 현대차 수소차 분야 협력기업으로 수소차 연료전지 분리막 개발 및 상용화 진행 중 |
| 디아이티 | 15,500 | +3.61% | 27억 7,000만 | 수소연료전지 검사장비 공급. |
| 엘티씨 | 18,310 | +3.45% | 39억 9,300만 |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SOFC) 전해질 개발. |
| DGP | 1,348 | +3.22% | 2억 2,900만 | 수소발전사업 영위를 목적으로 설립한 'SL에너지솔루션'이 내년 상반기 착공을 시작으로 도심내 주유소 기반의 분산형 연료전지 융복합 발전소 건설을 본격 추진 |
| DYP | 3,165 | +2.93% | 2억 1,300만 | 수소연료전지 스택 보호부품 생산 |
| S-Oil | 88,000 | +2.68% | 250억 3,400만 |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특허를 보유한 FCI의 지분 21.05% 보유. |
| 인지컨트롤스 | 6,100 | +0.99% | 1억 3,400만 | 1인승 도심형 항공 모빌리티(UAM)에 사용할 수 있는 수소연료전지시스템을 개발 예정 |
| 제이엔케이글로벌 | 4,150 | +0.85% | 5억 7,200만 | 수소 생산 및 수소연료전지에 필요한 수소 공급 충전소 운영 부각 |
| HD현대마린엔진 | 81,900 | +0.74% | 185억 5,900만 | 가정용 1kw급 고체산화물(SOFC)형 수소연료전지 출시 |
| 디와이 | 4,240 | +0.71% | 1억 7,100만 | 자회사 디와이오토(지분 100% 보유)는 국책과제로 수소연료전지 자동차를 위한 1.2kW 고전압 BLDC(브러시리스 직류모터) 쿨링 팬 모터 및 일체형 모터 드라이버 개발 |
| 두산에너빌리티 | 78,800 | +0.51% | 2,200억 | 수소연료전지 0.47GW의 발전설비 보유 |
| 한선엔지니어링 | 9,230 | +0.33% | 8억 600만 | 블룸SK퓨얼셀의 연료전지(SOFC) 시스템용 제품 국내 최초 독점 공급. 두산퓨얼셀 SOFC 개발 참여 예정. |
| 상아프론테크 | 16,990 | +0.24% | 8억 5,500만 | 수소차 수소연료전지용 멤브레인 상용화. 수소차 연료 전지 분리막 개발. 수소연료전지 핵심 부품 국산화를 진행 중 |
| 신도기연 | 1,557 | +0.19% | 3억 7,500만 | 수소연료전지용 막전극접합체(MEA) 제조설비 제조. |
| 지엠비코리아 | 3,895 | +0.13% | 3,000만 | 수소연료전지용 전동식 워터펌프 생산. |
| 다산솔루에타 | 1,078 | 0.00% | 9,900만 | 수소차용 수소연료전지 가스켓 개발 |
| LS머트리얼즈 | 12,250 | -0.08% | 74억 3,000만 | 미국 블룸에너지의 고효율 연료전지 주요 부품 공급사 이력 부각 |
| 두산퓨얼셀 | 34,000 | -0.15% | 306억 5,100만 | 저온 인산형 타입의 발전용 연료전지를 국내에서 유일하게 생산. 다른 발전원 대비 설치기간이 짧으며 작은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 연료전지 주요 부품인 개질기(LNG→수소로 전환)를 활용해 향후 수소충전소 사업으로 확장 기대. |
| 시지메드텍 | 1,067 | -0.19% | 4억 8,300만 | 가온셀과 수소연료전지 부품 소재 협동화 단지 공동 조성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 평화홀딩스 | 3,630 | -0.27% | 2억 1,200만 | 자회사 피에프에스, 연료전지 가스켓 공급. |
| 현대차 | 271,500 | -0.37% | 1,047억 3,000만 | 수소 연료 전지 개발 |
| 경동도시가스 | 21,200 | -0.47% | 3억 8,500만 | 대원그린에너지를 통해 수소연료전지발전 사업 투자 |
| 노루페인트 | 8,310 | -0.48% | 3억 9,400만 | 수소연료전지와 수전해 제조에 사용되는 접착제 3종을 출시 |
| 지아이텍 | 2,070 | -0.48% | 9,600만 | 수소연료전지 스택용 MEA 제조장비 공급 |
| 현대제철 | 31,950 | -0.62% | 73억 9,600만 | 수소연료전지용 금속분리판 공급. |
| 한화솔루션 | 28,050 | -0.71% | 124억 1,300만 | SK디앤디와 수소연료전지 발전 사업 추진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 체결 |
| 에스에너지 | 1,704 | -0.81% | 6,200만 | 자회사 에스퓨얼셀, 건물용 수소연료전지, 발전용 수소연료전지 제조. |
| 삼보모터스 | 3,935 | -0.88% | 1억 5,100만 | 현대차와 수소차 연료전지 관련 기술 공동개발 |
| 평화산업 | 930 | -1.06% | 1억 5,700만 | 계열사인 평화씰공업이 현대차 수소연료전기자동차(FCEV)의 핵심부품 중 하나인 연료전지 스택 가스켓 공급. |
| 동아화성 | 5,980 | -1.16% | 2억 6,200만 | 자회사 동아퓨얼셀, 고온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HT-PEMFC) 시스템 개발. |
| 에스퓨얼셀 | 12,020 | -1.31% | 4억 6,800만 | 건물용 수소연료전지, 발전용 수소연료전지 제조. |
| 현대모비스 | 294,000 | -1.34% | 371억 7,800만 | 연료전지부품인 MEA(막전극접합체), FPS(수소공급장치) 등을 연간 3000대 규모 생산. 2022년까지 생산 능력을 4만대로 늘리고 2030년까지 70만대로 확대할 계획 |
| 범한퓨얼셀 | 31,150 | -1.42% | 50억 | 잠수함용 연료전지모듈, 건물용 연료전지 시스템 공급 사업 영위 |
| 진성티이씨 | 12,280 | -1.44% | 21억 1,600만 | 수소연료전지용 압력판, 매니폴더 두산퓨얼셀에 독점 공급. |
| 노루홀딩스 | 23,400 | -1.68% | 3억 4,700만 | 자회사인 노루페인트가 수소연료전지와 수전해 제조에 사용되는 접착제 3종을 출시 |
| 미코 | 14,060 | -1.75% | 62억 700만 | 자회사 미코파워, 발전용 수소연료전지 제작. |
| SNT모티브 | 30,750 | -2.07% | 15억 9,900만 | 현대차그룹에 FCEV(수소차용 구동모터) 공급 |
| 엔바이오니아 | 12,300 | -2.38% | 5억 9,100만 | 수소연료전지의 주요부품 GDL (Gas diffusion layer) 국산화 진행 |
| SK이터닉스 | 18,300 | -2.45% | 91억 8,400만 | 블룸에너지사의 고효율 연료전지 국내 공급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연료전지 사업의 개발·PF·EPC· 운영 |
| 삼영에스앤씨 | 3,660 | -2.53% | 3,600만 | 수소연료전지 배터리 효율을 10% 이상 증가시키는 수소연료전지용 온습도 센서 개발 |
| 국일제지 | 364 | -2.67% | 3억 7,000만 | 수소배터리 등 연료전지에 들어가는 베이스 페이퍼 1차 시험생산 완료 |
| 코오롱ENP | 8,150 | -2.86% | 7억 500만 | 수소연료전지 하우징 부품 공급 |
| 에이프로 | 5,590 | -3.45% | 3억 1,500만 | 영국 에너지 전문사 타이탄볼트가 영국 현지에서 진행되는 65억파운드(약 11조원) 규모의 대형 수소 프로젝트에 단독 배터리 공급사로 선정되면서 국내 리튬티타네이트 배터리 전문기업 그리너지의 기술력이 부각. 에이프로는 앞서 공시를 통해 지난해 7월 활성화장비 수주와 관련해 공시를 유보했던 고객사가 리튬티탄산화물 배터리 제조사인 그리너지 |
| 켐트로스 | 4,150 | -3.71% | 4억 9,400만 | 한국화학연구원과 수소차 연료전지 핵심소재인 과불화술폰산 이오노머(PFSA) 기술이전 계약 체결. |
| 브이티 | 21,800 | -3.96% | 165억 5,800만 | 지난해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수소 연료전지발전소의 공사 계획인가 획득. 수소연료전지 부품사업과 수소에너지 생산, 공급사업 확장 예정 |
| 유일에너테크 | 2,335 | -9.85% | 28억 4,000만 | 수소연료전지용 제조 설비 및 진공설비 등 제조. |
2022-11-03 11:55 발행
2022-09-15 11:58 발행
수소차
자동차 부품
전기차 부품
2차전지
16시간 전, 위클리 오늘
[위클리오늘] 美 관세 타결에 삼성·현대차·SK·LG, 국내 800조 투자··...
중심車·수소에 집중 현대차그룹은 내년부터 2030년까지 5년간 국내에 125조2000억원을 투자한다. 직전 5년(2019~2023년) 국내 투자액 89조1000억원보다 36조1000억원 늘어난 규모로, 연평균 25조원이 넘는다. 투자 방향은 전동화,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 인공지능·로봇, 경제로 요약된다. 현대차·기아...
19시간 전, 전자신문
머리 맞댄 이재명-재계 총수…삼성·현대차·SK, 700조 국내투자 '쾅' [이...
AI·SDV(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전동화·로보틱스·수소 등 미래 신사업에 50조5000억원, 모빌리티 경쟁력 강화를 위한 R&D에 38조5000억원, 경상투자에 36조2000억원을 배분한다. 울산 EV 전용 공장, 2027년 가동 예정인 울산 연료전지 신공장, 서남권 PEM 수전해 플랜트와 충전 인프라, 피지컬 AI...
19시간 전
현대차그룹, 내년부터 5년간 국내에 125.2조 투자...'역대 최대'
분야별로는 ▲ AI(인공지능), SDV(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 전동화, 로보틱스, 수소 등 미래 신사업 분야에 50조5천억원 ▲ 모빌리티 경쟁력 강화를 위한... 그린에너지 생태계 발전을 위해 그린 수소 생산을 위한 수전해기 개발 등에도 투자한다. 재생 에너지가 풍부한 서남권에 1GW 규모 PEM(고분자전해질막)...
19시간 전, 조선일보
삼성 450조·현대차 125조… 역대 최대 국내 투자
AI, SDV(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 로봇, 수소 등 미래 신사업 분야에 50조5000억원을 투입한다. 고전력 AI 데이터센터와 로봇 공장 건설도 추진한다. 신제품과 핵심 분야 기술 개발 확보를 위한 R&D(연구·개발) 투자에 38조5000억원이 책정됐다. 현대차그룹은 1차 협력사가 올해 부담하는 대미 관세도 전액...
21시간 전
"관세 먹구름 걷힌 데 감사"…정의선, 125조 '사상 최대 투자' 화답
투자 금액 125조2000억원을 유형별로 분류하면 AI, SDV(Software Defined Vehicle), 전동화, 로보틱스, 수소 등 미래 신사업 분야에 50조5000억원, 기존 모빌리티... 그린 에너지 생태계 발전을 위해 그린 수소 생산을 위한 수전해기 개발 등에도 투자한다. 현대차그룹은 재생 에너지가 풍부한 서남권에 1GW 규모 PEM 수전해...
22시간 전
현대차그룹, 2030년까지 국내에 125조2000억원 투자… AI·로봇·수소 집...
이번 중장기 투자 계획 핵심은 AI·로봇 산업 육성, 수소 기반 그린 에너지 생태계 조성, 글로벌 모빌리티 생산 허브 경쟁력 강화다. 그룹은 미래... 신사업투자는 AI 자율주행·AI 자율제조·로보틱스·전동화·SDV·수소 에너지 등 미래 산업 중심으로 편성됐다. 이날 현대차그룹은 AI 고도화를 위한 'AI...
22시간 전
현대차그룹, 미래 모빌리티 혁신 허브 도약 선언
투자 금액 125조2000억원을 유형별로 분류하면 AI, SDV(Software Defined Vehicle), 전동화, 로보틱스, 수소 등 ▲미래 신사업 분야에 50조5000억원, 기존 모빌리티... 그린 에너지 생태계 발전을 위해 그린 수소 생산을 위한 수전해기 개발 등에도 투자한다. 현대차그룹은 재생 에너지가 풍부한 서남권에 1GW 규모 PEM...
1일 전, 이코노믹리뷰
[편집국에서] 800조 미래 건 기업들, 정부 페이스 메이커 되어야
현대차가 서남권에 짓겠다는 그린 수소 플랜트, 삼성이 울산에 검토 중인 전고체 배터리 공장 역시 마찬가지다. 이 모든 미래 산업은 현행 법규의 '회색지대'에 놓여 있거나, 복잡다단한 중첩 규제에 묶여 있다. 어이가 없어 헛웃음이 나오는 기분을 제대로 느낄 수 있다. 기업은 뛰는데… 지원은 '찔끔', 규제는...
1일 전
재계 '국내 투자 사수' 선언…정부 규제 철폐로 화답
세부적으로는 기존 모빌리티 강화에 39조원, 소프트웨어정의차량(SDV)·AI·반도체·수소 등 미래 사업에 50조원을 배정했다. "금년 7200명 채용에 이어 내년에는 1만명 채용을 목표로 한다"는 발언도 나왔다. 구광모 LG그룹 회장은 "향후 5년간 예정된 100조원의 국내 투자 중 60%를 소재 부품 장비에 대한 기술 개발과...
1일 전, 대경일보
삼성·SK·현대차, 5년간 수백조 투자… 산업 대전환, 지방서 불붙는다
삼성·SK·현대차 등 주요 그룹은 향후 5년간 AI, 반도체, 수소 등 첨단 산업에 수백조원을 투입하기로 했으며, 투자 상당수가 비수도권 지역에서 집행될... 연합뉴스 ◇현대차, 전기차·수소·로봇 삼각축에 125조 투입 현대차그룹은 5년간 총 125조2000억원을 투자한다. 미래 신사업(50조5000억원), 모빌리티 R&D...
| 자동차 부품 | +17.47 % |
|---|---|
| 전기자동차 부품 | -17.47 % |
| 초전도체 | 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