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1 13:00 기준
종목명 | 현재가 | 등락률 | 거래대금(원) | 테마 포함 사유 |
---|---|---|---|---|
DGP | 1,121 | +8.10% | 2억 8,900만 | 수소발전사업 영위를 목적으로 설립한 'SL에너지솔루션'이 내년 상반기 착공을 시작으로 도심내 주유소 기반의 분산형 연료전지 융복합 발전소 건설을 본격 추진 |
노루페인트 | 8,240 | +5.78% | 21억 6,900만 | 수소연료전지와 수전해 제조에 사용되는 접착제 3종을 출시 |
한화솔루션 | 23,400 | +5.17% | 837억 4,400만 | SK디앤디와 수소연료전지 발전 사업 추진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 체결 |
평화홀딩스 | 10,160 | +2.52% | 106억 8,900만 | 자회사 피에프에스, 연료전지 가스켓 공급. |
두산 | 295,500 | +2.43% | 233억 7,400만 | 자회사, 두산모빌이노가 국내 최초 드론용 수소연료전지 KGS 인증 획득 |
유일에너테크 | 1,864 | +1.41% | 4억 800만 | 수소연료전지용 제조 설비 및 진공설비 등 제조. |
비나텍 | 24,250 | +1.25% | 2억 2,300만 | 수소연료전지용 MEA, 지지체, 촉매 등 생산. |
지엠비코리아 | 3,950 | +0.89% | 4,800만 | 수소연료전지용 전동식 워터펌프 생산. |
켐트로스 | 4,495 | +0.78% | 6억 4,300만 | 한국화학연구원과 수소차 연료전지 핵심소재인 과불화술폰산 이오노머(PFSA) 기술이전 계약 체결. |
경동도시가스 | 17,360 | +0.75% | 2,800만 | 대원그린에너지를 통해 수소연료전지발전 사업 투자 |
엘티씨 | 9,380 | +0.54% | 1억 1,400만 |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SOFC) 전해질 개발. |
코오롱ENP | 5,740 | +0.35% | 3,700만 | 수소연료전지 하우징 부품 공급 |
SJG세종 | 4,175 | +0.24% | 4,700만 | 중국 수소연료전지 시스템 전문 기업인 리파이어와 수소 센서 공급계약 체결. |
S-Oil | 52,400 | +0.19% | 27억 1,300만 |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특허를 보유한 FCI의 지분 21.05% 보유. |
디와이 | 3,840 | 0.00% | 8,600만 | 자회사 디와이오토(지분 100% 보유)는 국책과제로 수소연료전지 자동차를 위한 1.2kW 고전압 BLDC(브러시리스 직류모터) 쿨링 팬 모터 및 일체형 모터 드라이버 개발 |
두산에너빌리티 | 25,950 | 0.00% | 1,004억 6,900만 | 수소연료전지 0.47GW의 발전설비 보유 |
다산솔루에타 | 1,068 | 0.00% | 700만 | 수소차용 수소연료전지 가스켓 개발 |
현대차 | 187,150 | -0.03% | 489억 2,300만 | 수소 연료 전지 개발 |
미코 | 9,700 | -0.10% | 8억 6,200만 | 자회사 미코파워, 발전용 수소연료전지 제작. |
브이티 | 36,400 | -0.14% | 140억 8,600만 | 지난해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수소 연료전지발전소의 공사 계획인가 획득. 수소연료전지 부품사업과 수소에너지 생산, 공급사업 확장 예정 |
동아화성 | 5,430 | -0.18% | 9,300만 | 자회사 동아퓨얼셀, 고온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HT-PEMFC) 시스템 개발. |
에스에너지 | 1,635 | -0.18% | 7,100만 | 자회사 에스퓨얼셀, 건물용 수소연료전지, 발전용 수소연료전지 제조. |
디아이티 | 13,660 | -0.29% | 3억 9,600만 | 수소연료전지 검사장비 공급. |
에스퓨얼셀 | 8,050 | -0.37% | 2,500만 | 건물용 수소연료전지, 발전용 수소연료전지 제조. |
현대모비스 | 242,500 | -0.41% | 137억 6,600만 | 연료전지부품인 MEA(막전극접합체), FPS(수소공급장치) 등을 연간 3000대 규모 생산. 2022년까지 생산 능력을 4만대로 늘리고 2030년까지 70만대로 확대할 계획 |
진성티이씨 | 8,690 | -0.46% | 5억 5,100만 | 수소연료전지용 압력판, 매니폴더 두산퓨얼셀에 독점 공급. |
범한퓨얼셀 | 14,590 | -0.48% | 1억 6,700만 | 잠수함용 연료전지모듈, 건물용 연료전지 시스템 공급 사업 영위 |
동양피스톤 | 4,665 | -0.74% | 7,500만 | 수소연료전지 스택 보호부품 생산 |
노루홀딩스 | 14,270 | -0.76% | 6,900만 | 자회사인 노루페인트가 수소연료전지와 수전해 제조에 사용되는 접착제 3종을 출시 |
삼보모터스 | 4,070 | -0.85% | 1억 1,100만 | 현대차와 수소차 연료전지 관련 기술 공동개발 |
인지컨트롤스 | 5,770 | -0.86% | 3,400만 | 1인승 도심형 항공 모빌리티(UAM)에 사용할 수 있는 수소연료전지시스템을 개발 예정 |
SK이터닉스 | 14,310 | -0.90% | 8억 2,900만 | 블룸에너지사의 고효율 연료전지 국내 공급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연료전지 사업의 개발·PF·EPC· 운영 |
코오롱인더 | 29,550 | -1.01% | 6억 500만 | 수소연료전지용 수분제어장치 공급. |
두산퓨얼셀 | 14,160 | -1.05% | 6억 2,400만 | 저온 인산형 타입의 발전용 연료전지를 국내에서 유일하게 생산. 다른 발전원 대비 설치기간이 짧으며 작은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 연료전지 주요 부품인 개질기(LNG→수소로 전환)를 활용해 향후 수소충전소 사업으로 확장 기대. |
LS머트리얼즈 | 10,320 | -1.05% | 9억 7,600만 | 미국 블룸에너지의 고효율 연료전지 주요 부품 공급사 이력 부각 |
현대제철 | 22,700 | -1.09% | 42억 7,400만 | 수소연료전지용 금속분리판 공급. |
SNT모티브 | 26,700 | -1.11% | 6억 8,100만 | 현대차그룹에 FCEV(수소차용 구동모터) 공급 |
삼영에스앤씨 | 4,230 | -1.17% | 6,400만 | 수소연료전지 배터리 효율을 10% 이상 증가시키는 수소연료전지용 온습도 센서 개발 |
한선엔지니어링 | 6,830 | -1.30% | 3억 100만 | 블룸SK퓨얼셀의 연료전지(SOFC) 시스템용 제품 국내 최초 독점 공급. 두산퓨얼셀 SOFC 개발 참여 예정. |
신도기연 | 1,843 | -1.34% | 400만 | 수소연료전지용 막전극접합체(MEA) 제조설비 제조. |
엔바이오니아 | 16,870 | -1.35% | 2,400만 | 수소연료전지의 주요부품 GDL (Gas diffusion layer) 국산화 진행 |
시지메드텍 | 1,017 | -1.83% | 34억 9,500만 | 가온셀과 수소연료전지 부품 소재 협동화 단지 공동 조성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상아프론테크 | 14,210 | -1.86% | 2억 7,200만 | 수소차 수소연료전지용 멤브레인 상용화. 수소차 연료 전지 분리막 개발. 수소연료전지 핵심 부품 국산화를 진행 중 |
지아이텍 | 2,425 | -2.22% | 3억 8,700만 | 수소연료전지 스택용 MEA 제조장비 공급 |
제이엔케이글로벌 | 4,105 | -2.26% | 2억 2,400만 | 수소 생산 및 수소연료전지에 필요한 수소 공급 충전소 운영 부각 |
평화산업 | 1,509 | -2.58% | 50억 4,400만 | 계열사인 평화씰공업이 현대차 수소연료전기자동차(FCEV)의 핵심부품 중 하나인 연료전지 스택 가스켓 공급. |
시노펙스 | 6,550 | -3.68% | 26억 1,300만 | 수소연료전지용 강화막 공급. 현대차 수소차 분야 협력기업으로 수소차 연료전지 분리막 개발 및 상용화 진행 중 |
HD현대마린엔진 | 32,600 | -3.98% | 186억 2,900만 | 가정용 1kw급 고체산화물(SOFC)형 수소연료전지 출시 |
2022-11-03 11:55 발행
2022-09-15 11:58 발행
수소차
자동차 부품
전기차 부품
2차전지
19분 전, 직썰
두산퓨얼셀, 한국남부발전과 맞손⋯"발전소 효율 향상"
3사는 기술협약을 통해 최대 40MW 규모의 수소연료전지를 활용해 최적의 종합효율을 낼 수 있는 열병합모드(열/전력 병행) 개발, 전력계통 안정화를 위한 자동발전제어(AGC) 운전 기술 고도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또한 협의체 구성, 지속적인 협업관계 유지 등으로 향후 열병합발전소에 해당 기술을 접목한...
37분 전, 증권경제신문
두산퓨얼셀, '에너지자원 유연화 기술협력' 위한 MOU
3사는 기술협약을 통해 최대 40MW 규모의 수소연료전지를 활용해 최적의 종합효율을 낼 수 있는 열병합모드(열/전력 병행) 개발, 전력계통 안정화를 위한 자동발전제어(AGC) 운전 기술 고도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또한 협의체 구성, 지속적인 협업관계 유지 등으로 향후 열병합발전소에 해당 기술을 접목한...
37분 전, 이코노미톡뉴스
두산퓨얼셀, 남부발전·두산에너빌리티와 협력‥'친환경 발전소 구축' ...
이번 협약을 통해 최대 40MW 규모의 수소연료전지를 활용한 열병합모드 개발과 자동발전제어(AGC) 기술 고도화를 추진하며, 향후 열병합발전소에 접목할... 두산퓨얼셀은 올해 수소연료전지 기술 고도화와 글로벌 시장 확대를 중심으로 지속 가능한 성장 전략을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청정발전 입찰 시장과...
1시간 전, 브릿지경제
두산퓨얼셀-한국남부발전 ‘맞손’⋯ “발전소 효율 개선”
3사는 기술협약을 통해 최대 40㎿ 규모의 수소연료전지를 활용해 최적의 종합효율을 낼 수 있는 열병합모드 개발, 전력계통 안정화를 위한 자동발전제어 운전 기술 고도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협의체도 구성해 지속적인 협업관계를 유지하고 열병합발전소에 해당 기술을 접목한 사업모델 개발도 함께...
1시간 전, 톱스타뉴스
두산에너빌리티·남부발전, 두산퓨얼셀과 친환경 발전소 기술협약
3사는 이번 기술협약을 통해 최대 40MW 규모 수소연료전지를 기반으로 한 열병합모드 개발과 전력계통 안정화를 위한 자동발전제어(AGC) 운전 기술 고도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협의체 구성을 통해 지속적인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향후 열병합발전소에 접목 가능한 사업모델도 함께 개발하기로 했다....
1시간 전, 이투뉴스
남부발전 신세종빛드림본부, 공기업 첫 열병합모드 AGC 운전 성공
고효율 대용량 증기터빈을 통해 열수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는 한편 수소혼소가 50%까지 가능한 가스터빈을 국내 최초로 도입했다. 열병합... 3사는 향후 열병합모드 AGC 운전기술 고도화와 수소연료전지 활용 에너지효율 확대 등 발전공기업과 민간기업의 집단에너지 사업 경쟁력 제고와 발전설비...
1시간 전, 서울파이낸스
두산퓨얼셀, 남부발전과 친환경 발전소 구축 협력
3사는 기술협약을 통해 최대 40MW 규모의 수소연료전지를 활용해 최적의 종합효율을 낼 수 있는 열병합모드(열·전력 병행) 개발해 전력계통 안정화를 위한 자동발전제어(AGC) 운전 기술 고도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또 협의체 구성, 지속적인 협업관계 유지 등으로 향후 열병합발전소에 해당 기술을 접목한...
1시간 전
'업계 1·2위' 경쟁자서 동업자로…포스코-현대제철, 트럼프 관세 장벽...
이 분야에서는 포스코그룹이 국책 연구 과제이기도 한 수소환원제철 기술을 주도적으로 준비하고 있다. 양측은 리튬에서 양·음극재 등 포스코그룹의 이차전지 소재 사업 경쟁력과 현대차그룹의 모빌리티 기술력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공급망 구축과 차세대 소재 개발 분야 등 지속 가능한 협업 지점을...
1시간 전, THE FACT
남부발전, 융복합 차세대 LNG 발전 민간협력 확대
에너지 자원 유연화 기술협력 MOU 체결 “수소 생태계 조성의 마중물 역할 기대” 한국남부발전이 융복합 차세대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을 위해... 이번 MOU에 따라 △열병합 모드(열·전력 병행) 자동발전제어(AGC) 운전기술 고도화 △연료전지를 활용한 에너지 효율성 확대 △발전공기업과 민간기업의...
1시간 전
남부발전, 두산에너빌·두산퓨얼셀과 에너지 자원 유연화 기술협력 '맞...
협약에 따라▲열병합 모드(열·전력 병행) 자동발전제어(AGC) 운전기술 고도화 ▲수소 연료전지를 활용한 에너지 효율성 확대 등 발전공기업과... 협약은 단순히 에너지 자원 유연화에 그치지 않고 국가 2050 탄소중립 정책에 적극 부응해 생태계 조성의 마중물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자동차 부품 | +17.47 % |
---|---|
전기자동차 부품 | -17.47 % |
초전도체 | 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