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9 16:38 기준
종목명 | 현재가 | 등락률 | 거래대금(원) | 테마 포함 사유 |
---|---|---|---|---|
파워넷 | 2,215 | +2.31% | 2억 2,000만 | LFP(리튬인산철) 국제인증 취득 및 배터리 팩 모듈 개발을 영위하는 업체. |
LG화학 | 225,500 | +2.04% | 402억 8,800만 | 21년 10월 3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을 통해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사업 진출을 공식화했으며, ESS용 LFP 배터리 개발 진행중. |
현대차 | 192,800 | +2.01% | 1,133억 3,400만 | LFP 배터리 개발 프로젝트 진행 |
STX | 3,590 | +1.56% | 1억 4,000만 | 리튬인산철(LFP) 전지 제조 전문기술을 보유한 IBT의 지분 20%를 인수하는 주식매매계약 체결 |
세방전지 | 70,000 | +1.45% | 14억 3,600만 | LFP배터리 제조 |
LG에너지솔루션 | 350,000 | +1.16% | 533억 4,800만 | 세계최초로 각형 대신 파우치를 적용한 ESS용 LFP(리튬인산철) 배터리셀 공개 |
씨케이솔루션 | 11,920 | +1.10% | 8억 7,200만 | |
SK이노베이션 | 96,800 | +0.94% | 253억 2,100만 | LFP 배터리 개발중 |
소니드 | 535 | +0.75% | 2억 3,200만 | 제트원이브이 아메리카’ 인수통해 리튬이온 배터리팩 유통사업 진출 |
대동 | 10,500 | +0.67% | 16억 5,900만 | 리튬인산철 배터리팩 전문 제조기업에 대한 인수합병(M&A)을 추진 |
EG | 6,580 | +0.61% | 1억 300만 | LFP 배터리의 양극재 소재인 산화철 생산 |
아모그린텍 | 5,880 | +0.51% | 1억 9,300만 | LFP 배터리가 탑재된 ESS 판매 |
코윈테크 | 13,010 | +0.46% | 1억 1,000만 | 종속회사 탑머티리얼이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설계와 제조 능력을 보유. 탑머티리얼은 코발트프리 양극재(리튬인산철)를 개발해 전기 이륜차 배터리 등에 납품중. |
브이티 | 38,600 | +0.26% | 135억 3,600만 | 차세대 리튬-황 배터리 개발을 위해 한국전기연구원과 공동으로 지원 대상에 선정, 주관연구기관으로 기술 개발에 참여하며, 최종적으로 경량, 고에너지 밀도의 리튬-황 전지용 양극을 생산할 계획. |
소프트센 | 344 | 0.00% | 2억 3,900만 | 테슬라의 협력사인 ONE에 LFP 배터리 X-Ray 검사장비를 공급하며 미국 시장에 진출 |
탑머티리얼 | 26,200 | -0.19% | 4억 1,900만 | 세계 최초 전기차용 LFP 배터리 개발 이력. 미국 아워넥스트에너지 리튬인산철(LFP) 제조용 프로토 조립라인 수주. |
씨아이에스 | 7,430 | -0.27% | 10억 7,500만 | 2차전지 전공정에 해당하는 Coater M/C, Calender M/C, Slitter M/C 및 Tape Laminator 생산업체.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를 생산하는 中 CATL 등에 부품을 납품하고 있는 점이 시장에서 부각. |
엘앤에프 | 67,700 | -0.29% | 103억 1,800만 | 21년 10월 공시를 통해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개발 완료 이력이 있다고 밝힌 점이 시장에서 부각. |
그린케미칼 | 7,840 | -0.38% | 21억 9,100만 | 리튬이온 배터리 전해액 유기용매 개발 |
팬스타엔터프라이즈 | 801 | -2.32% | 33억 4,200만 | 팬스타그룹이 국내 최초로 이동통신기지국 비상전원용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시스템을 일본에 공급한 점이 시장에서 부각. 팬스타그룹은 국내에서는 팬스타트리와 팬스타엔터프라이즈, 일본에서는 현지 법인인 산스타라인과 협업을 진행중. |
2023-03-22 14:55 발행
2022-08-04 08:00 발행
2차전지
2차전지 - 소재/부품
2차전지 - 전고체배터리
전기차 - 테슬라
24분 전
"LG 투자 철회, 인니 전기차 허브 야망에 타격"
인도네시아 정부는 니켈 기반 배터리 육성을 목표로 삼았지만, 최근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에도 동일한 인센티브를 제공하면서 시장 내 LFP 전기차 수요가 급증했다. 이에 따라 니켈 중심 밸류체인 구축에 필요한 심층 투자가 위축됐다는 평가다. LG와 인도네시아 정부 간의 지분 투자 이견도...
24분 전, 데일리안
중국 견제에 기회…K-배터리, ESS·저가형 시장에서 반전 노린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국내 배터리 3사는 최근 리튬인산철(LFP), 나트륨 이온 배터리 등을 연구 개발하거나 사업성을 검토 중이다. LFP 배터리 분야에서 가장 빠르게 진척된 곳은 LG에너지솔루션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하반기 르노의 차세대 전기차 모델에 탑재할 ...
2시간 전, 매일경제
[대한민국 100대 CEO] 신학철 LG화학 부회장 | 석화 불황 딛고 과학 기업...
글로벌 전기차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고전압 미드니켈(Mid-Ni), 리튬인산철(LFP), 망간리치(Mn-Rich) 등 다양한 중저가 양극재 사업을 키우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친환경 소재 시장에서는 바이오 원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이탈리아 국영 에너지 기업인 ENI와 전격 손을 잡는다. 수소화 식물성 오일(HVO...
4시간 전, 조세일보
中 점유율 90% ESS 시장…관세전쟁 속 韓 반격 기회 생기나
리튬인산철(LFP) 배터리의 부상으로 지난 10년간 주도권을 중국에 내줬다. 반면 중국 기업 현재 CATL은 ESS 및 전기차 배터리 시장 모두에서 압도적인... 일부 한국 기업들은 고니켈 배터리 생산 라인을 LFP로 전환하거나, 기존 전기차 배터리 라인을 ESS용으로 변경하고 있다. 다만 전문가들은 중국산...
6시간 전, 서울신문
배터리업계, ESS로 ‘캐즘’ 돌파하나
미국 조지아주 전기차용 배터리 공장 설비 일부를 ESS 전용 리튬인산철(LFP) 생산라인으로 전환할지도 검토 중이다. 이현욱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이 중국에 고율 관세를 부과함에 따라 북미 ESS 시장에서 국내 이차전지 업체에 기회가 생길 수 있다”고 분석했다.
6시간 전, 파이낸셜뉴스
캐즘 돌파구로 'ESS' 떠오른다 ...LFP배터리 시장 각축전
ESS에 주로 탑재되는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시장은 중국의 독주 체제가 유지되고 있지만, 미국의 대중 관세 정책을 기회로 국내 배터리 업계도 시장... ESS는 전기를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꺼내 쓰는 창고와 같은 개념으로 배터리가 주로 쓰이는 분야다. 전기차와 달리 크기가 무게 등에 큰 제한이...
23시간 전, 톱스타뉴스
ESS 배터리 시장 2030년 760GWh 전망…美 관세에 한국 배터리주 반전 모...
'로모션'의 리서치 책임자 아이올라 휴즈는 "한국 기업들은 한때 하이니켈 배터리를 기반으로 배터리 시장을 주도했으나, 화재 이슈와 중국산 LFP(리튬인산철) 배터리의 성능 및 가격 경쟁력 강화로 LFP로의 전환이 가속화됐다"고 분석했다. 현재 중국 'CATL'이 전기차 및 ESS용 배터리 시장 모두를...
23시간 전
배터리 업계, 1분기도 실적 부진 지속...반전 카드 만지작
회사는 주요 고객들과 하이니켈 NCA, LFP(리튬인산철), 46파이(지름 46mm) 배터리 등 신규 프로젝트 논의를 마무리하고, 수주 확대에 나설 방침이다. 또한 전고체 배터리 업그레이드 샘플 준비 등 미래 성장 전략도 차질 없이 추진할 계획이다. 증권가에서는 관세 이슈를 부정적으로만 볼 필요는 없다는...
23시간 전, 시사저널e
ESS 키우는 배터리 3사 "정부, 세금으로 中업체 지원 말아야"
특히 안정성이 중요한 ESS 시장에선 중국산 리튬인산철(LFP) 배터리의 점유율이 급격히 확장되고 있다. 서정인 LG에너지솔루션 ESS전지 마케팅팀장도 "어렵게 키운 시장에 중국 업체가 진입하려는 움직임이 보인다"며 "정부가 이런 부분을 잘 막아야 한다. 한국 국민이 낸 세금으로 중국 업체를 지원하는 일이...
1일 전, 국제뉴스
자이글·더블유피씨·에코프로, 나트륨 이온 배터리株 강세
이 배터리는 에너지밀도가 1㎏당 175와트시(Wh)에 이르러 리튬인산철(LFP) 배터리와 비슷한 수준이고, 이에 따라 주행가능 거리가 약 500㎞이며 영하 40도에서도 충전량의 90% 이상을 유지하는 등 전력 저하가 크게 나타나지 않는다고 CATL은 설명했다. 나트륨이온 배터리는 지구상에 풍부한 나트륨을...
자동차 부품 | +17.47 % |
---|---|
전기자동차 부품 | -17.47 % |
초전도체 | 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