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통형 배터리 테마 설명 테마록 215 위
  • 관련 종목 15
  • 상승 종목 1
  • 하락 종목 14
-4.26% (등락룰 TOP5 종목 평균)
  • 최고 등락률 +0.98%
  • 최저 등락률 -2.35%
  • 전체 거래 대금 1,333억
  • TOP5 거래 대금 1,269억

2025-11-18 12:42 기준

일별 등락률

관련 종목
종목명 현재가 등락률 거래대금(원) 테마 포함 사유
삼진엘앤디 823 +0.98% 1,700만 2차전지 가스켓 공급
필에너지 13,780 -1.22% 5억 6,400만 전기차용 원통형, 파우치형 배터리 라인 구축
자비스 1,462 -1.42% 2억 6,600만 원통형 배터리를 공급 중인 국내 대기업 등에 원통형 배터리 관련 검사장비 납품
동국산업 2,810 -1.92% 2억 2,700만 원통형 배터리 케이스용 소재인 니켈도금강판 제조라인 신설
세아메카닉스 2,700 -2.35% 4억 400만 2차전지 부품 End Plate 생산. LG에너지솔루션에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부품 공급
동원시스템즈 26,700 -2.38% 8억 3,000만 원통형 배터리캔 생산 증가를 위해 신공장 건설
나라엠앤디 3,980 -2.57% 1억 2,500만 종속회사 나라엠텍과 나라모소기술(남경)유한공사가 전기자동차 Battery Pack/ESS 생산. LG에너지솔루션에 전기자동차 배터리팩·에너지저장장치(ESS) 등의 부품 납품
신흥에스이씨 5,110 -3.04% 9억 3,600만 원통형 배터리 부품 생산 및 설비 구축
코스모신소재 50,500 -3.26% 107억 8,600만 2차전지용 양극활물질 생산 및 전구체 국산화
나인테크 3,275 -3.82% 24억 9,100만 2차전지 조립공정의 특화된 장비(Lamination/Stacking) 생산.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생산공정 주요 장비 업체
삼성SDI 304,500 -3.94% 952억 8,700만 '지름 46㎜' 원통형 배터리 4개 라인업 구축 후 2025년 양산 계획
SKC 113,100 -3.99% 145억 5,900만 종속회사 에스케이씨에프티홀딩스 주식회사 통해 2차전지 소재인 동박 제조. 테슬라에 원통형 배터리 납품하는 파나소닉에 동박 공급
TCC스틸 16,010 -4.02% 15억 3,200만 2차전지 원통형 캔 소재인 니켈도금 강판을 생산하여 상신이디피 등 타발업체에 독점 납품
피아이이 7,750 -4.56% 37억 3,000만 원통형, 각형, 파우치형 등 2차전지의 모든 폼팩터(타입)와 전(全) 공정에 적용 가능한 AI SW, 영상처리 알고리즘 SW기술을 보유
상신이디피 12,840 -4.61% 15억 8,000만 전기자동차용 원통형 배터리 공급

테마 포커스

유사 테마

관련 뉴스

  • 1시간 전, 뉴스웨어

    [사업보고서 톺아보기]K배터리, 3분기 가동률 '뚝'…R&D는 더 쏟아부었다

    국내 배터리 업계가 지난해 강타했던 '전기차 캐즘(Chasm)'의 충격에서 서서히 벗어나고 있지만, 올 3분기 공장 가동률은 여전히 회복 모멘텀을 찾지... 1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개된 3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온 등 국내 3사의 공장 가동률은 대부분...

    뉴스 썸네일
  • 8시간 전

    [배터리 산업 전망 2026] ② 한국 3사 전고체 기술력 비교..삼성SDI·LG엔...

    전고체 배터리 경쟁이 본격화되는 2026년, 한국 3사는 모두 전고체 기술의 핵심 기업으로 자리 잡았지만, 그 접근 방식은 완전히 다르게 진화하고 있다.... 전고체 배터리가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와 달리 공정·설비·소재·고객사가 통째로 재편되는 기술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한국 3사의 현재 전략은 향후...

    뉴스 썸네일
  • 8시간 전, 동아일보

    LG엔솔 ‘ESS용 LFP배터리’ 국산화 속도

    LG에너지솔루션이 2027년부터 국내에서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양산한다. 글로벌 공급망 불확실성 상승에 따라 생산기지를 다변화하려는 조치다. 17일 LG에너지솔루션은 충북 청주시 오창 에너지플랜트에서 ESS용 LFP 배터리 국내 생산 계획을 발표했다. 국내에서 ESS용...

  • 17시간 전, 이코노믹리뷰

    재계 총수들이 움직였다…'K배터리 대전환기' 총력전

    국내 재계 총수들이 AI·반도체·배터리 등 미래 신사업을 직접 챙기며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와 대규모 투자에 속도를 내고 있다. 그 중에서도 전기차(EV)·에너지저장장치(ESS)를 양 축으로 시장이 빠르게 확장되고 있는 '배터리' 분야는 공급망 재편과 기술 경쟁이 격화되는 변곡점을 맞이하고 있다. 미국의...

    뉴스 썸네일
  • 17시간 전, 울산매일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 생산 거점, 울산 유력 검토"

    삼성SDI가 울산에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 생산 기지를 구축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 중인 사실을 처음으로 공식화했다. 여기에 현대차도 한미 팩트시트(공동 설명자료) 후속 논의를 위한 민관 합동회의에서 국내 전기차 전용공장 활성화 등 중장기 투자를 약속해 울산의...

    뉴스 썸네일
  • 17시간 전, 건설경제

    BMW 그룹 코리아, '2025 BMW 그룹 협력사의 날' 행사 진행

    현재 삼성 SDI, 삼성디스플레이, LG그룹, 한국타이어, 세방전지 등 30여개의 국내 협력사로부터 전기차 배터리, 디스플레이, 타이어 등 다양한 부품을 공급받고 있다. 2010년부터 2024년까지 누적 부품 구매 금액은 약 37조원에 달했다.

    뉴스 썸네일
  • 1일 전, 컨슈머타임스

    나인테크, 전고체 전지 적층장비 개발 완료

    휴머노이드 및 서비스 로봇 등 차세대 로봇용 배터리에는 높은 에너지 밀도와 안전성이 동시에 요구되며, 고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고체 전지는 안전성·수명·에너지 밀도 측면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기 때문이다. 글로벌 완성차 및 업체들이 전고체 상용화 로드맵을 제시하는 가운데, 로봇 분야에서의...

    뉴스 썸네일
  • 1일 전

    "국내 경제, 對美 투자 여파 없어야"…이재용 450조 카드 내놨다

    삼성SDI는 이른바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 등 차세대 배터리의 국내 생산 거점을 구축하는 방안을 추진 중으로, 유력한 후보지로 울산 사업장을 검토하고 있다. 삼성SDI는 2023년 3월 국내 배터리 업계 최초로 전고체 파일럿 라인을 수원 SDI연구소에 설치한 바 있다. 이어 같은 해 말부터 시제품...

    뉴스 썸네일
  • 1일 전, YTN

    삼성, 국내에 5년간 450조 원 투자...평택 5공장 건설 개시

    삼성SDI는 이른바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 등 차세대 배터리의 국내 생산 거점을 구축하는 방안을 추진 중입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충남 아산사업장에 구축 중인 8.6세대 IT용 OLED 생산 시설을 구축 중이며 삼성전기는 2022년부터 고부가 반도체 패키지기판 거점 생산 기지인 부산에 생산 능력...

    뉴스 썸네일

실시간 테마 순위

자동차 부품 +17.47 %
전기자동차 부품 -17.47 %
초전도체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