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6 22:10 기준
| 종목명 | 현재가 | 등락률 | 거래대금(원) | 테마 포함 사유 |
|---|---|---|---|---|
| 상신이디피 | 14,330 | +9.39% | 0 | 전기자동차용 원통형 배터리 공급 |
| 삼진엘앤디 | 808 | +1.64% | 0 | 2차전지 가스켓 공급 |
| 자비스 | 1,488 | +1.09% | 0 | 원통형 배터리를 공급 중인 국내 대기업 등에 원통형 배터리 관련 검사장비 납품 |
| 신흥에스이씨 | 5,430 | -1.81% | 0 | 원통형 배터리 부품 생산 및 설비 구축 |
| 동국산업 | 2,920 | -2.01% | 0 | 원통형 배터리 케이스용 소재인 니켈도금강판 제조라인 신설 |
| 동원시스템즈 | 27,500 | -2.31% | 0 | 원통형 배터리캔 생산 증가를 위해 신공장 건설 |
| 나라엠앤디 | 4,115 | -3.52% | 0 | 종속회사 나라엠텍과 나라모소기술(남경)유한공사가 전기자동차 Battery Pack/ESS 생산. LG에너지솔루션에 전기자동차 배터리팩·에너지저장장치(ESS) 등의 부품 납품 |
| 피아이이 | 8,190 | -3.87% | 0 | 원통형, 각형, 파우치형 등 2차전지의 모든 폼팩터(타입)와 전(全) 공정에 적용 가능한 AI SW, 영상처리 알고리즘 SW기술을 보유 |
| 세아메카닉스 | 2,800 | -3.95% | 0 | 2차전지 부품 End Plate 생산. LG에너지솔루션에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부품 공급 |
| SKC | 115,500 | -5.33% | 0 | 종속회사 에스케이씨에프티홀딩스 주식회사 통해 2차전지 소재인 동박 제조. 테슬라에 원통형 배터리 납품하는 파나소닉에 동박 공급 |
| 삼성SDI | 315,000 | -5.83% | 0 | '지름 46㎜' 원통형 배터리 4개 라인업 구축 후 2025년 양산 계획 |
| 코스모신소재 | 52,600 | -5.90% | 0 | 2차전지용 양극활물질 생산 및 전구체 국산화 |
| 필에너지 | 14,000 | -6.67% | 0 | 전기차용 원통형, 파우치형 배터리 라인 구축 |
| TCC스틸 | 17,120 | -6.70% | 0 | 2차전지 원통형 캔 소재인 니켈도금 강판을 생산하여 상신이디피 등 타발업체에 독점 납품 |
| 나인테크 | 3,330 | -7.50% | 0 | 2차전지 조립공정의 특화된 장비(Lamination/Stacking) 생산.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생산공정 주요 장비 업체 |
2023-03-06 13:39 발행
2022-07-28 08:57 발행
2차전지
2차전지 - 소재/부품
전기차 부품
반도체 유리기판
10시간 전, 비즈트리뷴
삼성 450조·현대차 125조…재계, 1300조 투자로 제조업 공동화 우려 지...
삼성SDI는 전고체 배터리 등 차세대 배터리 생산기지를 울산 후보지 중심으로 검토 중이며, 삼성디스플레이는 아산에서 8.6세대 IT용 OLED 양산 라인을 내년부터 본격 가동한다. 이재용 회장은 "국내 투자가 축소되는 일이 없도록 삼성은 국내 투자 확대, 청년 일자리 창출, 중소·벤처기업과의 상생에 더...
10시간 전, 뉴스투데이
삼성, 5년간 450조 대규모 투자…AI·반도체·배터리 ‘경쟁력 강화’
삼성SDI는 이른바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 등 차세대 배터리의 국내 생산 거점을 구축하는 방안을 추진 중으로, 유력한 후보지로 울산 사업장을 검토하고 있다. 지난 2023년 3월 국내 배터리 업계 최초로 전고체 파일럿 라인을 수원 SDI연구소에 설치한 삼성SDI는 같은해 말부터 시제품 생산에...
10시간 전
삼성, 5년간 450조원 '초대형 투자'…평택 5라인 착공·지방 투자 본격화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이 본격화된 가운데 반도체, 인공지능(AI), 차세대 배터리 등 핵심 산업에서 확실한 우위를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특히 이번... 삼성SDI는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 생산 거점으로 울산사업장을 유력 검토하고 있다. 앞서 2023년 수원 연구소에 전고체 파일럿 라인을 구축하고 고객 샘플...
10시간 전
국내 최대 450조 투자 나선 삼성전자 ‘AI·반도체 초격차’ 승부수
전남 AI데이터센터·광주 플랙트 생산라인·울산 전고체 배터리…비수도권 전방위 투자 확대 ▲삼성전자 서초사옥 모습/사진=자료 삼성이 향후 5년간... 배터리 분야에서도 삼성SDI가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의 국내 생산기지 후보지로 울산 사업장을 유력하게 검토하며 차세대 전지 산업...
10시간 전, 파이낸셜뉴스
사상 최대 국내 투자로 '화답'...삼성 평택·SK 용인 반도체 新공장 속도...
이 밖에 삼성 SDI가 전고체 배터리 생산 거점으로 울산 사업장을 검토하고 있으며, 삼성디스플레이는 내년부터 충남 아산사업장에서 8.6세대 IT용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본격 양산한다. 삼성전기는 부산을 고부가 반도체 패키지 기판 거점으로 삼고, 관련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SK그룹은 2028년까지...
10시간 전
삼성, 국내에 향후 5년간 450조원 투자
삼성SDI는 이른바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 등 차세대 배터리의 국내 생산 거점을 구축하는 방안을 추진 중으로, 유력한 후보지로 울산 사업장을 검토하고 있다. 지난 2023년 3월 국내 배터리 업계 최초로 전고체 파일럿 라인을 수원 SDI연구소에 설치한 삼성SDI는 같은해 말부터 시제품 생산에...
12시간 전, 아시아타임즈
"벤츠 잡아라"…삼성·LG, 미래 모빌리티 동맹 전면전
두 사람의 재회로 삼성과 메르세데스-벤츠는 반도체·디스플레이·전장 등 기존 협력 관계를 강화하는 동시에 전기차 배터리와 자율주행 등 미래 모빌리티 분야로 협력 폭을 넓힐 것으로 보인다. 벤츠가 전기차 라인업을 확대하며 미래차 혁신에 속도를 내고 있는 만큼 기술력을 보유한 삼성SDI와의...
15시간 전, 시사저널
국내 배터리 3사, AI발 전력난 겨냥…美 ESS 시장 공략 나선다
국내 배터리 업체들이 ESS(에너지저장장치)에서 새로운 돌파구를 찾고 있다. AI(인공지능) 산업 확산으로 전력 수요가 급증하면서, ESS 시장 성장세가 더욱 가팔라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주요 배터리 업체들은 이미 이러한 흐름을 감지하고 전기차 생산라인 일부를 ESS 전용으로 전환하는...
15시간 전, 지디넷코리아
[ZD브리핑] 李 대통령, 아프리카·중동 순방...재계 연말 인사 단행
배터리 업계 관심이 높은 전력거래소 ESS 중앙계약시장 2차 사업 설명회가 오는 17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립니다. 전력거래소는 앞서 상반기 입찰이 진행된 1차 사업 결과를 두고 나타난 업계 의견을 반영해 비가격 배점 비중을 늘렸는데요. 1차 사업에선 3사가 경쟁한 결과 삼성SDI가 70...
1일 전
30년 기술력의 힘… 파크시스템스, 주가 조정에도 흔들리지 않는다
산업용 AFM 수요는 반도체, 배터리, 디스플레이, 첨단소재 등 다양한 분야에서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회사의 성장 기반은 더욱 탄탄해지고 있다. 산업용 AFM은 연구실이 아닌 제조 및 생산 환경의 요구사항에 맞춰 자동화, 고속화, 고정밀화된 나노 계측 및 검사 장비이다. 일반적인 연구용 AFM이 나노 과학...
| 자동차 부품 | +17.47 % |
|---|---|
| 전기자동차 부품 | -17.47 % |
| 초전도체 | 0 % |